2646 935

Cited 0 times in

당뇨병 및 공복혈당장애의 유병률과 식습관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ietary habit and prevalence of diabetes mellitus and impaired fasting glucose 
Authors
 정은경 
Issue Date
2004
Description
역학및건강증진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국민건강 영양조사자료(1998)를 토대로 미국당뇨병학회(American Diabetes Association)의 진단기준(1997)에 의해 당뇨병과 공복혈당장애의 성별 유병률을 추정하고, 우리나라 국민들의 평소 식사습관 및 과일섭취량을 조사함과 동시에, 식사습관 및 과일섭취량과 당뇨병 및 공복혈당장애의 유병률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1998.11.1~12.30까지 시행된 국민건강 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조사는 전국을 대표하는 12,189가구의 전체 가구원 39,331명 중 건강검진을 실시한 20세 이상의 인구 7,962명과 식품섭취조사를 실시한 11,267명 중 20세 이상의 인구 8,16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당뇨병과 공복혈당장애 유병률은 남·녀 모두에서 연령이 많을수록 높았고, 남성의 유병률이 여성보다 높았다. 공복혈당을 기준으로 분석한 당뇨병 유병률은 여성은 60-69세 군의 유병률이 15.92%로 가장 높았고, 남성은 50-59세 군에서 18.21%로 가장 높았다. 당화혈색소를 기준으로 분석한 당뇨병 유병률은 여성은 60-69세 군에서 11.99%, 남성은 50-59세 군에서 11.96% 였다. 공복혈당장애의 유병률은 여성은 70세 이상 군에서 19.87%로 가장 높았고, 남성은 60-69세 군에서 16.53%로 가장 높았다.

2. 식품섭취 및 식사습관과 당뇨병 및 공복혈당장애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공복혈당을 기준으로 한 경우 여성에서 당류섭취량이 증가하면 당뇨병의 위험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결과가 해석되었으나, 대상자 중 당뇨병에 이환된 경우를 제외하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당화혈색소를 기준으로 분석한 경우 남성에서 당뇨병 포함군과 제외군 모두에서 결식끼니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역상관을 보였으며, 여성에서는 당뇨병 포함군에서 과일 섭취량이 유의하였으나 제외군에서는 유의하지 않았고, 결식끼니는 당뇨병 포함군과 제외군 모두에서 유의한 역상관을 보였다.



3. 공복혈당이 126mg/dL 이상을 당뇨병 군으로 정의하였을 때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남성은 연령,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혈압, 허리·엉덩이 둘레비(WHR) 이었으며, 여성은 연령, 중성지방, 고혈압이었다. 당화혈색소가 6%를 초과한 군을 당뇨군으로 정의하였을 때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남성은 연령, L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허리·엉덩이 둘레비(WHR) 이었고, 여성은 연령, 교육수준,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혈압, 허리둘레, 허리∙엉덩이 둘레비(WHR) 였다. 공복혈당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남성은 연령, 중성지방, 허리·엉덩이 둘레비(WHR), 신체질량지수(BMI) 이었고, 여성은 연령, 중성지방 이었다.

본 연구에서 단면적 연구설계의 제한점으로 식사습관의 당뇨병 및 공복혈당장애와의 통계적 유의성을 밝히지 못하였으나, 최근 들어 당뇨병 유병률의 증가와 함께 결식이나 과식을 하는 경향이 많고 과일의 섭취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므로, 전향적 코호트 연구에 기반하여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영문]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Diabetes Mellitus(DM) and Impaired Fasting Glucose(IFG), and to examine the determinants focused on dietary habits and fruit intakes of these prevalence. We used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1998.

Of 39,331 entire family members from 12,189 families representing the nation in the 199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hich was carried out November the 1st to December the 30th, 1998. A total number of 7,962 people who were over 20 years of age and checking the health examination and 8,166 people who were 20 years of age and investigated food intake survey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Prevalence of DM and IFG was high in old age for both men and women, and higher in men than in women. The highest prevalence rate of DM based on fasting plasma glucose(defined by FPG≥126mg

dL) was 15.92% for women in the age of 60~69, and 18.21% for men in the age of 50~59. When based on Hemoglobin A1c, the prevalence of DM(defined by HbA1c>6%) was 11.99% for women in the age of 60~69, and 11.96% for men in the age of 50~59. The highest prevalence of IFG was 19.87% for women in the age over 70, and 16.53% for men in the age of 60~69.

2. As to the relation between the prevalence of DM based on fasting plasma glucose and IFG and dietary habit and fruit intake, prevalence of DM in the women decreased significantly when their glucose intake increased, but significance was disappeared when observations with morbidity of DM were excluded. When based on hemoglobin Alc, skip-eating was inversely associated with the prevalence of DM in men and women when including and excluding the observations with morbidity of DM. For women, fruit intake was inversely significant but not significant in the case of excluding the observations with morbidity of DM.

3. The prevalence of DM based on FPG was related to ag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ypertension, waist to hip ratio(WHR) for men, and age, triglyceride, and hypertension for women. Based on hemoglobin A1c, the prevelance of DM was related to age, LDL-cholesterol, triglyceride, and WHR for men, and age, educational background,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ypertension, waist circumference, and WHR for women. Factors related to IFG were age, triglyceride, WHR, Body Mass Index(BMI) for men, and age and triglyceride for women.

This study didn’t make statistical relation about dietary habit of DM and IFG. It was due to the limit of cross-sectional study. Prospective cohort study, however, is clearly needed, because the frequency of skip-eating or overeating is escalating and fruit intake along with the prevalence is rapidly increasing in our country.
Files in This Item:
T00809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800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