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 528

Cited 0 times in

Green tea consumption, abdominal obesity as related factors of lacunar infarction in Korean women : PAMOS study

Other Titles
 소공성경색 관련인자로서의 녹차의 섭취와 복부비만 
Authors
 고성규 
Issue Date
2004
Description
역학및건강증진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연구배경 및 목적 : 녹차는 심혈관계질환의 보호인자로, 그리고 복부비만은 위험인자로 많이 연구되어지고 있으나, 허혈성뇌졸중 중 특히 소공성경색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되어진바 없다. 또 소공성경색에 영향을 미치는 녹차와 복부비만의 상호작용에 대해서 역시 연구된 바가 없어, 이번 연구를 통해 녹차, 복부비만, 그리고 두 인자의 상호작용에 의한 소공성경색과의 인과관계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 2001년 4월부터 2003년 8월까지, 한국인 여성을 대상으로 환자대조군 연구를 수행하였다. 5곳의 한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233명의 처음 발병한 소공성경색환자와 연령별 짝짓기를 한 204명의 소공성경색과 관련되지 않은 대조군이 선정되었다. 모든 자료는 검사자간 신뢰도를 제고한 전공의에 의해 설문지, 인터뷰, 신체계측 및 생화학적 검사를 통해 모아졌으며, 로지스틱회귀분석에 의해 다양한 모델의 혼란변수를 통제하여 분석하여졌다.

연구결과 : 녹차를 마시지 않으면서 복부비만을 가진 군에 비해, 녹차를 마시면서 복부비만이 없는 군의 경우, 연령만 보정한 경우와 연령 및 식이요인을 보정한 경우 유의한 수준에서 소공성경색에 대한 보호효과를 가졌으나 (OR, 0.23; 95% CI, 0.09, 0.59; OR, 0.21; 95% CI, 0.08, 0.56), 연령, 식이요인, 심혈관위험요인을 보정한 경우와 거기에 더해 지질인자를 보정한 경우에는 위험비를 떨어뜨리긴 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OR, 0.34; 95% CI, 0.08, 1.42; OR, 0.49; 95% CI, 0.12, 1.89). 각각 녹차와 복부비만을 독립적으로 보았을 경우, 녹차의 경우 상호작용을 고려한 경우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나 복부비만의 경우 위험요인으로 모든 보정의 예에서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 소공성경색에 대해 녹차와 복부비만이 상호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보이나, 모든 혼란요인을 통제한 상태에서는 유의성을 잃었다. 상호작용을 잃은 이유에 대해서는, 만성적인 질환인 소공성경색이 단 하나의 요인, 즉 녹차의 섭취나 복부비만 등의 요인에 의해 유의수준을 가질 정도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하기는 어렵다고 볼 수도 있으며, 또 하나는 소공성경색의 위험인자로 보정된 고혈압 및 지질인자 등이 위험인자가 아닌 중간인자로서 작용을 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과잉보정의 문제를 생각할 수 있다.

한편, 독립적으로 녹차와 복부비만이 소공성경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경우, 녹차가 상호작용에 미치는 요인이 큰 것으로 보인다. 녹차만의 경우와 녹차와 복부비만 상호작용의 경우 모두, 위의 제기된 문제를 고려하여 좀더 명확한 인과관계, 혹은 보호인자로서의 작용을 확실히 규명하기 위해서는, 잘 계획되고, 대규모의, 그리고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앞으로 유전역학적인 연구도 수행하여, 환경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유전적인 요인까지 고려한 상호작용에 대해 연구가 필요하겠다.





[영문]Background and Purpose : Green tea is well recognized as a protective factor, and abdominal obesity as a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The relationship of green tea consumption, abdominal obesity, and interactive effects of both factors with lacunar infarction still remain unclear. Our purpose was to evaluate interaction of green tea consumption and abdominal obesity as related factors for lacunar infarction in Korean women.

Methods : A hospital-based, incident case-control study, restricted to women, was conducted from April 1, 2001 to August 31, 2003 in Korea. Cases (n=233) of first incident lacunar infarction were enrolled and matched by age to stroke-free hospital controls (n=204). All subjects were interviewed, examined and ha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Odds ratios (ORs) of lacunar infarction were driven in multivariate analysis after adjustment for demographic factors, diet factors, conventional vascular risk factors and atheogenic index.

Results : Compared with the non green tea consumer and obese women group, only the green tea consumption and non obese women group had a protective effect of lacunar infarction when adjusted for age, and age plus diet factors (OR, 0.23; 95% CI, 0.09, 0.59; OR, 0.21; 95% CI, 0.08, 0.56 respectively), but lost their significance after adjustment for age, diet factors, vascular risk factors and full model included atherogenic index factors (OR, 0.32; 95% CI, 0.09 to 1.01; OR, 0.49; 95% CI, 0.12, 1.89 respectively).

Conclusions : The interaction of green tea consumption and non obesity have reduced risk of lacunar infarction, but not after adjustment for age, diet factors, vascular risk factors and atherogenic index. Also individually green tea consumption and abdominal obesity have failed to find an independent relationship with lacunar infarction after adjustment by all risk factors. Green tea consumption and green tea consumption with non obese group seemed to have a protective effect for lacunar infarction. In the results of our study, these results still remain controversial, and then we need further and larger study to get at the root of real causal effect of both relationships.
Files in This Item:
T00808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99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