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40 1334

Cited 0 times in

근력 종목선수들의 영양소 및 영양 보충제 섭취 실태와 영양지식

Other Titles
 Nutritional status, knowledge, and dietary supplementation practices of strength athletes : bodybuilders, weight lifters 
Authors
 조성숙 
Issue Date
2004
Description
역학및건강증진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이 연구는 보디빌더 34명, 역도선수 24명을 대상으로 신체계측을 하였고 설문지를 이용하여 사회?환경적인 요인, 일반 건강 사항, 식생활, 영양 지식, 영양 보충제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근력 종목선수들의 영양 섭취 실태를 조사하고, 영양 및 영양 보충제에 대한 지식, 보충제 섭취 여부, 종류, 빈도, 이유 등을 알아봄으로서 앞으로 근력 종목 선수, 코우치들을 대상으로 근육량 증가를 위한 영양 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시하는데 기초 자료로 삼고자 연구를 실시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자의 연령은 보디빌더 27.0세, 역도선수 20.9세이었고, 보디빌딩과 역도를 해온 기간은 보디빌더 4.9년, 역도선수 8.3년이었고(p<0.01), 일년에 시합에 참가하는 횟수는 보디빌더와 역도선수 각각 3.6회, 3.7회이었다(p<0.01). 보디빌더, 역도선수의 평균 신장은 각각 173.5㎝, 171.8㎝이었고, 평균 체중은 보디빌더 82.3㎏, 역도선수 85.3㎏이었다(p<0.01). 비만도를 나타내는 체질량 지수는 근력 종목선수의 비만도 지표로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체지방량은 보디빌더 8.3%, 역도선수 7.6%이었다.

영양 및 건강에 관한 정보를 얻은 경험은 많은 편이었고(보디빌더 100%, 역도선수 66.7%), 건강 관련 서적 및 잡지나 코우치 및 트레이너로부터 영양 및 건강에 관한 정보를 주로 얻고 있었다. 영양에 대한 관심도 많은 편이었고(보디빌더 64.7%, 역도선수 100%) 앞으로 전문가와의 교육이나 상담을 통하여 영양 및 건강 관련 정보를 얻고 싶어하였다.

보디빌더의 단백질 섭취 비율은 높고(총 에너지 섭취량 중 27.1%) 지방 섭취 비율은 낮았다(총 에너지 섭취량 중 8.7%). 보디빌더는 칼슘과 리보플라빈 섭취량이 권장량보다 적었으며(78.7%, 86.3%) 역도선수는 비타민과 무기질 섭취량이 권장량 이상이었다. 그러나 영양 보충제로부터 섭취한 미량 영양소를 포함하면 권장량 이하를 섭취하는 영양소는 없었다.

기초 영양과 운동에 관련된 영양지식은 낮았고(보디빌더 5.0/10점, 역도선수 5.5/10점) 특히 영양 보충제와 관련된 지식은 낮았다(보디빌더 6.9/10점, 역도선수 7.8/15점). 영양 보충제를 복용하는 선수가 많았고(보디빌더 78.1%, 역도선수 79.2%), 보충제를 복용해 온 기간은 평균 1~2년 정도이었고, 복용하는 보충제 종류는 단백질과 아미노산 제품, 종합 비타민?무기질 제재, 크레아틴, 스포츠 음료 등이었다. 약국이나 건강 식품점에서 직접 구입하거나 코우치나 트레이너가 구입하여 주는 경우도 있었다. 보충제를 복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믿고 있었고 건강을 위하여 또는 근육을 만들기 위하여 보충제를 복용하고 있었다. 연령, 운동 경력, 운동시간이 영양 지식이나 영양보충제의 복용 종류수나 평균 영양 충족도비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운동선수들은 운동을 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영양에 대해 잘 모르고 있고, 여러 종류의 영양 보충제를 복용하고 있다. 영양과 영양 보충제에 대해 운동선수들이 친근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교육자료가 개발되고 영양상담 및 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영문]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dietary intake and nutrition knowledge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and type of supplement use, and to determine the frequency, reasons for use of supplements.



Method : Thirty-four male bodybuilders (mean age=27.0 years), twenty- four male weightlifters (mean age=20.9 years) participated in the study. Participants completed a comprehensive survey detailing their supplementation patterns, a 35 item nutrition knowledge and twenty-four hour dietary recall methods. Twenty-four hour dietary recall methods were analyzed using Computer Aided Nutritional analyzer.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termined by independent t-test, chi-square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 Surveys results indicated that bodybuilders (100%) received more nutrition information than weightlifters (66.7%). Health magazines, and coaches were the primary nutrition sources. Nutritional knowledge was not enough.

In this study, 78.1% of male bodybuilders and 79.2% of male weightlifters reported using nutrient supplements, with protein powders, multivitamins and minerals most often taken. Over the half of the respondents (bodybuilders 79.4%, weightlifters 50.6%) used them to gain muscle mass and to stay healthy. Percent calories from carbohydrate, protein, and fat was 64.2%, 27.1%, and 8.7% for male bodybuilders, and 66.3%, 18.6%, and 15.1% for male weightlifters. Although dietary calcium (78.7%) and riboflavin (86.3%) intakes for male bodybuilders were below the RDA, dietary intakes of micronutrients were not deficient. Supplements provided at least 50% of total micronutrient intake for all but two vitamins for bodybuilders and three for weightlifters.



Conclusion : Twenty-four hour recall dietary intake and nutrition knowledge of strength athletes show some misconceptions and nutrient unbalance(including supplements). Specific sport nutrition education applicable to athletes, especially strength athletes, is recommended. Generally speaking more attention should be given by family, teachers, and physicians to enhance physical activity, nutrition knowledge, and good dietary practice among strength athletes.

Professionals may then target particular categories of athletes for educational programs aimed at optimal nutrition for athletic performance.
Files in This Item:
T00807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99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