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1 839

Cited 0 times in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청소년의 건강행위 및 심혈관질환 위험요인 분석

Other Titles
 Adolescents health behavior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ccording to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uthors
 주미현 
Issue Date
2004
Description
보건학과/박사
Abstract
[한글]

이 연구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청소년 자녀의 건강행위 및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 자료는「199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와「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원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12~19세 청소년 2,123명(남자 1,066명, 여자 1,057명)이었다.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수입, 부의 직업, 부모교육으로 측정하였으며, 각각 상위층, 중위층, 하위층으로 구분하였다. 건강행위에는 흡연, 음주, 운동을 포함시켰고,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에는 총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공복시 혈당,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BMI, 허리둘레 등을 포함시켰다. 이 중 3개 이상의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을 가진 자를 심혈관질환 고위험군으로 구분하였다.

이후 각각의 건강행위와 심혈관질환 위험요인 및 심혈관질환 고위험군에 대하여 자녀의 연령,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부모의 건강행위 또는 부모의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을 보정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이때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변수의 각각의 상위층을 기준군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자녀의 건강행위 차이는 다음과 같다.

남자는 부가 흡연을 할 때 흡연을 할 경우가 높았으며(OR=3.52), 사회경제적 지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음주는 남녀 모두 부모교육과 강한 역상관 관계를 보였다. 즉, 남자는 부모교육 상위층에 비하여 중위층(OR=2.53)과 하위층(OR=2.36)에서 음주할 경우가 높았고, 여자는 부모교육 상위층에 비하여 하위층(OR=1.96배)에서 음주할 경우가 높았다. 남자의 경우, 운동을 하지 않는 비운동의 경우는 부모교육 상위층에 비하여 중위층(OR=0.61)과 하위층(OR=0.59)에서 낮았다.



둘째,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자녀의 심혈관질환 위험요인 차이는 다음과 같다.

남자는 BMI에서, 여자는 중성지방, 공복시 혈당, 수축기혈압에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역상관 관계를 보였다.

남자는 부의 직업 상위층에 비하여 중위층(OR=3.74)과 하위층(OR=4.17)에서 심혈관질환 고위험군이 많았다. 여자는 부모교육 상위층에 비하여 하위층(OR=2.37)에서 심혈관질환 고위험군이 많았던 반면에 수입에서는 상위층에 비하여 중위층(OR=0.60)에서 심혈관질환 고위험군이 적었다.



이상을 종합하면, 건강행위와 관련하여서는 음주가 남녀 모두에게서 부모교육과 강한 역상관 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심혈관질환 고위험군은 남자에게서는 부의 직업과 역상관 관계를 보였고, 여자에게서는 부모교육과 역상관 관계를 보였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청소년기부터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건강위험행위 및 심혈관질환 위험요인 차이가 부분적으로 존재하며, 성(性)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청소년기부터 심혈관질환 예방사업, 특히 낮은 사회경제적 집단의 청소년에게 초점을 둔 사업이 필요하다. 이는 청소년기의 건강행위나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의 차이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점차 뚜렷해지면서 성인기의 건강불평등을 형성할 가능성을 고려할 때 더욱 중요하다.

요컨대 가능한 심혈관질환이 발생하기 이전인 청소년 시기부터 사회적 맥락에서의 건강증진사업 및 포괄적인 보건정책을 통한 심혈관질환 예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on the health behavior and CVD risk factors in their adolescent children. The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obtained in 1998 and 2001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1,066 boys and 1,057 girls aged 12 to 19 years were included into the analysis.

The methods of statistical analysis used were Χ2-test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 this present study socioeconomic status (SES) was measured by monthly household income, paternal occupational class, and parental education. Health behavior (smoking, drinking, exercising) and a set of risk factors for CVD (total cholesterol, HDL and LDL cholesterol, triglyceride, fasting blood sugar,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Body Mass Index, and waste circumference) were included. The subjects who had 3 more CVD risk factors were defined as the CVD “high risk group”.

In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child’s age, socioeconomic status, and paternal health behavior or CVD risk factors, were controlled for. The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was divided into high, middle and low levels. In each of the 3 indicators used to measure socio economic status (income, paternal occupational class, parental education), the highest socioeconomic group was used as a reference group.



The main findings of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re presented below.



Firstly, the differences in health behavior of children according to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re as follows.

The father’s smoking status had a strong effect on the rate of smoking in boys. When adjusted for the child’s age and the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the significant effect of father’s smoking status remained (OR =3.52). The indicators of SES (income, paternal occupational class, parental educa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oy’s smoking status.

Drinking had a strong reverse association with parental education in both boys and girls. Boy’s drinking rates were higher in the middle and the low parental education levels, (OR=2.53 and OR 2.36, respectively), than in the high parental education level. In girls, the drinking rate was highest in the low parental education level (OR=1.96).

However, the non-exercising rate was lower in the middle and in the low parental education level, (OR=0.61 and OR=0.59, respectively), than in the high parental education level.



Secondly, the differences in CVD risk factors according to the level of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re as follows.

In boys,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showed an inverse association with BMI. In girls,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showed an inverse association with triglyceride and fasting blood sugar levels, and with systolic blood pressure.

More boys from the middle and low paternal occupational class, were in the CVD high risk group (OR=3.74 and OR=4.17, respectively), compared to those from the high paternal occupational class. In girls the effect of paternal occupational class was not significant. More girls from the lowest parental education level were in the CVD high risk group (OR=2.37). In contrast, fewer girls from the middle income level were in the CVD high risk group (OR=0.60), compared to those from the high income level.



In summary, these results showed a strong inverse association between drinking and parental education in both boys and girls. An inverse associ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CVD high risk group and paternal occupational class in boys, and parental education in girls.



The findings of this study underlies the necessity to initiate the prevention of CVD at young ages and to focus especially on lower SES groups. This is important, considering that adolescents unhealthy behavior and CVD risk factors in lower SES groups may become more pronounced in older age and lead to even greater inequalities in health. Thus, health promotion should be done in a social context and through comprehensive public health policies.
Files in This Item:
T00800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97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