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1053

Cited 0 times in

흉통 환자의 관상동맥조영술 소견,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와 죽상경화반 조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ronary angiographic finding, the carotid artery intima-media thickness and the atheromatous plaque in pati 
Authors
 박용숙 
Issue Date
2005
Description
간호학교육 전공/석사
Abstract
[한글]

최근 경제발전과 생활양식의 서구화 및 인구의 노령화 등으로 인해 심혈관계질환은 계속해서 중요한 사망원인이 되고 있다. 심혈관계질환에 의한 사망의 주 원인 질환은 관상동맥질환으로, 임상에서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을 평가하기 위한 가장 유용한 검사는 관상동맥조영술이며, 최근에는 혈관내초음파가 도입되어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 정도를 더욱 예민하게 평가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진단방법은 침습적인 검사방법으로 환자에게 불편감을 초래하며 비록 적은 수에서지만 치명적인 합병증을 초래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관상동맥 죽상경화증의 유무와 심한 정도를 비침습적 방법으로 예측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오래 전부터 있어 왔다.본 연구는 관상동맥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비침습적 검사로서의 경동맥 초음파검사 소견에 관한 조사 연구로서 2003년 11월부터 2005년 3월까지 흉통을 주소로 경기도 성남시에 소재한 한 개의 종합병원 심장혈관센터를 내원하여 관상동맥조영술 검사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경동맥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여 총경동맥 및 경동맥구에서의 내막-중막 두께를 측정하고 죽상경화반 유무를 관찰하였다. 또한 흡연,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비만 등의 죽상경화 위험인자 동반 유무를 조사하여 이들 위험인자와 관상동맥질환 유무,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 및 경동맥내 죽상경화반 유무와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관상동맥 조영술 검사상 관상동맥질환이 있는 질환군과 관상동맥질환이 없는 정상군간의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 및 경동맥 죽상경화반 유무와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version 11.0을 이용하여 전산통계 처리 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대상자는 총 101명으로서 남자 60명(59.4%), 여자 41명(40.6%)이었다. 평균 연령은 64세이었으며, 60-69 세가 47.5%로 가장 많았다. 교육수준은 초졸 이하가 46명(45.5%)으로, 직업은 무직이 52명(51.5%)으로, 월평균 소득은 100만원 미만인 경우가 48명(47.5%)으로 가장 많았다.2) 죽상경화 위험인자 중 흡연은 59명(58.4%), 고혈압은 72 명(71.3%), 당뇨병은 42명(41.6%), 고지혈증은 72명(71.3%), 비만은 57명(56.4%)에서 관찰되었다.3) 질환군은 총 71명(70.3%)으로 평균나이는 65.2세이었으며, 그 중 남자가 46명(64.8%), 여자 25명(35.2 %)으로 남자가 많았다. 질환군 중 단일혈관질환 환자는 32명(45.1%), 이혈관질환 환자는 18명(25.4%), 삼혈관질환 환자는 21명(29.5%)이었다. 정상군은 총 30명(29.7%)으로 평균 나이는 61.3세이었으며 그 중 남자가 14명(46.7%), 여자가 16명(53.3%)으로 여자가 약간 많았다.4) 질환군의 경동맥구 및 총경동맥의 내막-중막 두께는 각각 1.09 ± 0.35mm, 0.93 ± 0.18mm로서 정상군 0.92 ± 0.11mm, 0.87 ± 0.11mm에 비해서 유의하게 두꺼웠다(t=3.646, p=.000 및 t=2.091, p=.040). 또한 경동맥구의 내막-중막 두께는 정상군 0.92 ± 0.11mm, 단일혈관 질환군 0.96 ± 0.14mm, 이혈관 질환군 1.17 ± 0.31mm, 삼혈관 질환군 1.23 ± 0.51mm로서 관상동맥질환의 정도가 심할수록 경동맥구의 내막-중막 두께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rho=0.335, p=.001). 반면 총경동맥의 내막-중막 두께는 관상동맥질환 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5) 경동맥구의 죽상경화반은 정상군은 7명(23.3%)에서 관찰된 반면, 질환군은 58명(81.7%)에서 관찰됨으로서 정상군에 비해 질환군에서 유의하게 자주 관찰되었다(X2=31.309, p=.000). 그러나 총경동맥의 죽상경화반은 정상군은 4명(13.3%), 질환군은 23명(32.4%)에서 관찰됨으로서 양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X2=3.912, p=.053). 관상동맥질환의 정도에 따라 비교할 때 경동맥구 죽상경화반은 정상군 7명, 단일혈관 질환군 22명, 이혈관 질환군 17명, 삼혈관 질환군 19명에서 관찰되어 관상동맥질환이 심할수록 유의하게 자주 관찰되었다(X2=35.628, p=.000). 반면, 총경동맥의 죽상경화반은 관상동맥질환 정도와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X2=4.607, p=.203).6) 관상동맥질환은 흡연(X2=11.053, p=.002), 고혈압(X2=6.721, p=.015), 당뇨병(X2=5.852, p=.017), 고지혈증(X2=10.167, p=.002) 및 비만(X2=6.784, p=.015) 등 위험인자 모두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내막-중막 두께의 경우 경동맥구 내막-중막 두께는 고혈압(t=2.498, p=.014), 당뇨병(t=2.591, p=.013)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총경동맥의 내막-중막 두께는 고혈압과(t=1.997, p=.049)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죽상경화반의 경우 경동맥구의 죽상경화반만이 고혈압(X2=6.763, p=.012) 및 당뇨병(X2=8.633, p=.004)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7) 죽상경화 위험인자, 총경동맥과 경동맥구의 내막-중막 두께 및 총경동맥과 맥구의 죽상경화반 존재 여부를 이용하여 관상동맥질환 유무 예측을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관상동맥 질환 존재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들은 경동맥구 죽상경화반, 흡연, 고지혈증 및 비만 등으로 확인되었고, 이들로부터 산출된 회귀식은 관상동맥질환 유무 = 5.559 – 3.345 * 경동맥구 죽상경화반 – 2.454 * 비만 – 2.419 * 흡연 - 1.694 * 고지혈증이었으며 이 회귀식으로부터 관상동맥질환 유무를 예측할 수 있는 설명력은 64.1%이었다(R2 = 0.641).결론적으로 관상동맥 질환을 진단하기위한 비침습적 검사법으로 경동맥 초음파검사법은 유용한 것임이 증명되었다. 특히 경동맥구 내막-중막 두께의 증가 및 죽상경화반의 존재는 관상동맥질환 유무 및 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임으로서 관상동맥질환 진단을 위해 유용한 검사법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총경동맥의 경우 죽상경화반의 존재와 관상동맥 질환 유무 및 정도와는 유의한 관련이 없었으며, 총경동맥의 내막-중막 두께의 증가는 관상동맥질환 정도를 예측하기에는 어렵지만 관상동맥질환 유무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관상동맥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비침습적 방법으로는 경동맥구의 초음파 소견이 중요한 것으로 규명되었다.



[영문]The cardiovascular disease remains to be an important cause of death. The major cause of cardiovascular mortality is the coronary artery disease. The most precise diagnostic tool for the coronary artery disease is the coronary angiography. The recently developed intracoronary ultrasound technique detects the coronary atherosclerosis more precisely. However these methods are painful and invasive techniques accompanied by the rare but fatal complication. Therefore so many efforts have been made to evaluate the presence and the severity of the coronary artery disease noninvasively.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role of the carotid ultrasound examination in the noninvasive diagnosis of the coronary artery disease. From November 2003 to March 2005, the 101 patients, who visited the cardiovascular center in a general hospital in Sunggnam-city, Kyunggi-do due to the chest pain and performed the coronary angiography, were enrolled. They also performed the carotid ultrasound examination, and the intima-media thickness was measured and the presence of the atheromatous plaque was observed in the both common carotid arteries and both carotid bulbs. The risk factors of the atherosclerosis - smoking,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hyperlipidemia and the obesity - were evaluat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isk factors and the coronary artery disease,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and carotid atheromatous plaque was tested. The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and the presence of the carotid atheromaotus plaque were compared between the coronary artery disease group demonstrated by the coronary angiography and the normal coronary angiography group (normal CAG group).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WIN version 11.0.The results are as follows;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atients are as follows: the total number was 101, with 60 male and 41 female and with average age of 64 years. The most frequent level of education was below the primary school graduate in 40 cases (45.5 %), the occupation the unemployed in 52 cases (51.5 %), the monthly income below one million won in 48 cases (47.5 %).2) Among the atherosclerosis risk factors, smoking was observed in 59 cases (58.4 %), hypertension in 72 cases (71.3 %), diabetes mellitus in 42 cases (41.6 %), hyperlipidemia in 72 cases (71.3 %), and obesity in 57 cases (56.4 %).3) The coronary artery disease group was 71 cases (70.3 %) with the average age of 65.2 years, and 46 males (64.8 %) and 25 females (35.2 %). In the coronary artery disease group, the single vessel disease patients were 32 cases (45.1 %), the two vessel disease 18 cases (25.4 %), and the three vessel disease 21 cases (29.5 %). The normal CAG group was 30 cases (29.7 %) with the average age of 61.3 years, and 14 males (46.7 %) and 16 females (53.3 %)4) The carotid bulb and the common carotid artery intima-media thickness in the coronary artery disease group were 1.09 ± 0.30 mm and 0.93 ± 0.18 mm respectively, an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0.92 ± 0.11 mm and 0.87 ± 0.11 mm respectively) in the normal CAG group (t=3.646, p=.000, t=2.091, p=.040 respectively). And the carotid bulb intima-media thicknes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he coronary artery disease, with 0.92 ± 0.11 mm in the normal CAG group, 0.96 ± 0.14 mm in the one vessel disease group, 1.17 ± 0.31 mm in two vessel disease group, and 1.23 ± 0.51 mm in the three vessel disease group. (rho=0.335, p=.001). On the other hand the common carotid artery intima-media thickness was not related to the severity of the coronary artery disease.5)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the carotid artery bulb atherosclerotic plaque between the normal CAG group (7 cases, 23.3%) and the coronary artery disease group (58 cases, 81.7%) (X2=31.309, p=.000).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the common carotid artery atherosclerotic plaque between the normal CAG group (4 cases, 13%) and the coronary artery disease group (23 cases, 32.4%) (X2=3.912, p=.053). The frequency of atheromatous plaque in the carotid artery bulb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he coronary artery disease (X2=35.628, p=.000). On the other hand the frequency of the common carotid artery atheromatous plaque was not related to the degree of the coronary artery disease (X2=4.607, p=.203).6)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coronary artery disease and all the risk factors - smoking(X2=11.053, p=.002), hypertension(X2=6.721, p=.015), diabetes mellitus(X2=5.852, p=.017), hyperlipidemia(X2=10.167, p=.002) and obesity(X2=6.784, p=.015). On the other hand, the carotid bulb intima-media thickness was associated only to hypertension(t=2.498, p=.014) and diabetes mellitus(t=2.591, p=.013), the common carotid artery intima-media thickness only to hypertension(t=1.997, p=.049), and the carotid bulb atheromatous plaque only to hypertension(X2=6.763, p=.012) and diabetes mellitus(X2=8.633, p=.004).7) The regression equation to predict the presence of the coronary artery disease from the risk factors, the carotid artery intima-media thickness and the carotid artery atheromatous plaque was as follows: The presence of coronary artery disease = 5.559 – 3.345 * the carotid bulb atheromatous plaque – 2.454 * obesity – 2.419 * smoking - 1.694 * hyperlipidemia, with the strength of association 64.1%(R2=0.641).In conclusion, the carotid ultrasound examination was very useful in the noninvasive diagnosis of the coronary artery disease. Especially the carotid bulb intima-media thickness and the atheromatous plaque were in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resence and with the severity of the coronary artery disease. The common carotid artery intima-media thickness was also related to the presence but not to the severity of the coronary artery disease.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62650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88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