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09 1178

Cited 0 times in

일상생활 스트레스(Daily Hassles)가 근로자의 사회심리적 안녕상태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daily hassles on workers' psychosocial wellbeing 
Authors
 임남구 
Issue Date
2004
Description
보건학과/박사
Abstract
[한글]

근로자의 사회심리적 안녕상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직무 스트레스 뿐만 아니라 직무외적 영역인 일상생활 스트레스를 동시에 평가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근로자의 사회심리적 안녕상태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직무 스트레스에 초점을 두어 수행되었고,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사회심리적 안녕상태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직무 스트레스가 근로자의 사회심리적 안녕상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사무직 근로자 215명, 생산직 근로자 397명, 서비스직 근로자 126명 등 총 738명을 연구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직업적 특성, 직무 스트레스, 일상생활 스트레스, 상사 지지, 동료 지지, 가족 지지, 친구․지인 지지, 사회심리적 안녕상태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직무 스트레스보다 근로자의 사회심리적 안녕상태와 더 높은 관련성을 보였다.

둘째, 일일수면시간이 짧을수록, 근무년수가 짧을수록, 월급 만족도가 낮을수록 사회심리적 안녕상태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나빴다. 직무 스트레스 영역인 직무 자율성이 낮을수록, 일상생활 스트레스인 인간관계 관련 스트레스, 가정 및 일반생활 관련 스트레스, 건강 관련 스트레스, 여유 없는 생활 관련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사회심리적 안녕상태가 나빴다. 또한 상사 지지와 동료 지지가 낮을수록 사회심리적 안녕상태가 나빴다.

결론적으로 근로자의 사회심리적 안녕상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직무 스트레스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스트레스도 동시에 평가해야 한다. 사업장내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사업주의 노력이 필요하며 인간관계, 가정 및 일반생활, 여유 없는 생활과 관련된 일상생활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근로자 개인의 노력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더불어 정부는 근로자의 정신건강 향상을 위해 직무 스트레스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다각도의 제도적 방안을 수립해야 하고 각종 물적 지원을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As a part of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workers'' psychosocial wellbeing, it is increasingly necessary to evaluate their daily hassles, which is off-job, in addition to job stress. Most researches on workers'' psychosocial wellbeing, however, have been focused on job stress and there have been few research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hassles and psychosocial wellbeing.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daily hassles and job stress on workers'' psychosocial wellbeing. For the analysis, it surveyed 738 subjects, which were 215 office workers, 397 manufacturing workers and 126 service workers, with regard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job stress, daily hassles, supervisors'' support, coworkers'' support, families'' support, friends-acquaintances'' support and psychosocial wellbe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daily hassles was more closely correlated with psychosocial wellbeing than job stress.

Second, when daily sleeping time was short, the number of service years was low and satisfaction with wage was low, psychosocial wellbeing was significantly poor. When job latitude, a part of job stress, was low and when daily hassles related to interpersonal relations, family and daily life, health and busy life was high, psychosocial wellbeing was poor. In addition, when supervisors'' support and coworkers'' support were low, psychosocial wellbeing was poor.

In conclusion, in order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workers'' psychosocial wellbeing, it is necessary to evaluate not only job stress but also daily hassles. Moreover, employers need to make efforts to reduce workers'' job stress at workplace and individual workers need to make efforts to reduce daily hassles related to interpersonal relations, family and daily life and busy life. Furthermore, the government should prepare multilateral plans to reduce daily hassles as well as job stress and provide various material supports in order to improve workers'' mental health.
Files in This Item:
T00831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77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