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7 537

Cited 0 times in

Characteristics of social behavior of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measured by proximal spacing in immersive virtual reality environment

Other Titles
 가상현실공간에서 대인 접근 행동으로 측정한 양극성 조증 환자의 사회 행동 특징 
Authors
 김어수 
Department
 Dept. of Psychiatry (정신과학교실) 
Issue Date
2008
Description
Dept. of Medicine/석사
Abstract
[한글]연구목적: 사회적/감정적 행동은 접근-회피의 차원에서 이해될 수 있다. 조증 환자에서 정서처리의 긍정 편향이 보고되어 온 바대로, 조증 환자는 부적절하게 가까운 대인거리를 유지하는 등, 사회적 행동에 있어 결손을 보일 가능성이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기술을 이용하여 조증 환자들의 비언어적 사회 행동을 측정하였다.

연구방법: 20명의 조증 환자와 나이와 성별을 맞춘 20명의 정상대조군이 참여하여,‘자기소개하기 과제’를 수행하였다. 이들은 가상공간내에서 성별과 감정가가 다른 여섯 명의 아바타 (남,녀/행복,중립,분노)를 순차적으로 만났으며, 자기를 소개하기에 가장 가까운 거리까지 다가간 후 간단한 인사를 먼저 건내고, 아바타의 소개를 듣고, 이후 자신의 소개를 하였다. 이 기간 동안 피험자와 아바타간의 대인거리와 피험자의 시선각도를 측정하였다. 피험자의 특성불안, 각 아바타에 대한 정서가와 각성도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애초의 예상과 달리, 조증 환자들은 정상군에 비하여 더 긴 대인거리를 유지하였고, 시선도 더 회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예상대로, 환자군 내에서는 조증 점수가 높을수록 대인거리는 줄어드는 것이 관찰되었다. 정상대조군에서는 특성불안이 높을수록 더 먼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드러났으나, 환자군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아바타의 얼굴 정서에 따른 차별적 거리 두기 행동은 조증 환자에서는 행복한 아바타에서 (가장 근거리), 정상군에서는 화난 아바타에서 (가장 원거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이하게, 조증 환자의 시선은 아바타의 소개를 들을 때보다 자신의 소개를 할 때 더욱 회피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차이는 특성불안과 관련된 것으로 보이나, 정상군에서는 두 기간에서의 시선 차이가 없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얻은 회피적 사회 행동이라는 결과는 다음의 시사점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외현적인 조증 증상에도 불구하고, 조증 환자들이 암묵적으로는, 우울증과 비슷한, 부정적인 사회인지구조를 내재화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종종 호전적인 증상으로 인한 어려움 가운데에서도, 치료자의 세련된 대인거리 조절 및 이용과, 부정적 인지구조에 대한 인지적 치료 접근이 조증 환자들과의 안전한 치료적 관계형성 및 치료과정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Objective: Bipolar manic (BM) patients have been associated with mood-congruent positive bias in emotional processing. Given that social/emotional behaviors can be organized along a basic approach-withdrawal dimension, we speculated that BM patients would exhibit abnormal social behaviors, having difficulties in regulation of approach-withdrawal patterns in social encounters (i.e., immoderate approach behavior).

Methods: We measured interpersonal distance (IPD) and the degree of gaze aversion of twenty BM patients and age-matched 20 normal controls (NCs) during a self-introduction task with six avatars (happy, angry, neutral/male, female) using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 technology. Trait-anxiety and affective valence and arousal to each avatar were also measured.

Results: BM patients demanded significantly greater IPD and showed more averted gaze than NCs, even though more manic patients approached the avatars more closely. Trait-anxiety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IPD only in NCs. Discriminating spatial behavior was apparent towards happy avatars (closest) in BM patients, but towards angry avatars (farthest) in NCs. BM patients, but not NCs, averted their gazes further while speaking than while listening, which seemed associated with trait-anxiety.

Conclusions: These findings on avoidant patterns of nonverbal social behaviors suggest that the negativistic social cognition, similar to that found in patients with depression, is implicitly internalized in BM patients. Sophisticated use of interpersonal space and cognitive therapeutic approaches would be helpful in developing secure therapeutic relationships with BM patients.
Files in This Item:
TA01093.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Psychiatry (정신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Kim, Eosu(김어수) ORCID logo https://orcid.org/0000-0001-9472-9465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12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