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1 1072

Cited 0 times in

4세 설소대 단축증 아동과 정상 아동의 혀의 최대 신장 길이 및 혀의 운동성에 따른 치조음 발음 양상의 비교

Other Titles
 Comparisons of lingual function and alveolar sounds in 4 year old Korean children with and without ankyloglossia 
Authors
 최재남 
Issue Date
2002
Description
언어병리학 협동과정/석사
Abstract
[영문]

[한글]



설소대 단축증이란 혀와 구강저의 연결 부위인 설소대(lingual frenulum)가 비대되거나(

thickened), 단단히 고정되어 있거나, 혹은 과도하게 짧아서 섭식(feeding)이나 말(speec

h)을 할 때 혀의 운동을 방해하는 양상으로 발견되는 선천성 기형으로 증상은 단축 정도

에 따라 다양하다. 설소대 단축증을 평가할 때는 혀의 길이 및 모양, 혀의 운동성, 조음

적인 측면이 모두 고려되어져야 한다는 주장들이 있어 왔다. 그러나 혀는 움직이지 않는

기준점(non-mobile landmarks)이 없기 때문에, 설소대 단축증에 대한 객관적이고 과학적

인 평가 방법이 없는 실정이며, 또한 혀의 길이 및 혀의 운동성과 발음과의 관련성에 대

한 자료도 부족한 실정이다. 설소대 단축증에 대한 정확한 진단 및 평가와 치료를 하기

위해서는 설소대 단축증 아동과 정상 아동의 혀의 길이 및 혀의 운동성과 발음 양상을 비

교하는 절차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음정확도에 대한 설소대 단

축증의 영향이 두드러지기 시작하는 연령을 4세로 정하고, 4세 설소대 단축증 아동과 정

상 아동 각 11명씩 총 22명을 대상으로 (1) 혀의 최대 신장 길이, 혀 운동성, 치조음 발

음 양상에 두 집단간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2) 혀의 최대 신장 길이와 치조음정확

도간 상관관계, 혀의 운동성과 치조음정확도간 상관관계, 혀의 최대 신장 길이와 혀 운동

성간 상관관계에 있어서 두 집단 내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4세 설소대 단축증을 가진 실험군 아동은 정상 아동군보다 혀의 최대 신장 길이가 더

짧았다.

2. 실험군은 정상군보다 혀의 운동성이 더 부족했다.

3. 실험군은 정상군보다 그림자음검사의 조절자음정확도가 더 낮았다.

4. 실험군은 정상군보다 낱말치조음정확도와 문장치조음정확도가 더 낮았고, 실험군이

정상군보다 낱말 및 문장치조음확도가 더 낮은 치조음은 /ㅅ/, /ㅆ/, /ㄹ/ 이었다.

5. 실험군과 정상군 집단 내에서 혀의 최대 신장 길이와 조절자음정확도 및 혀의 운동성

과 조절자음정확도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6. 실험군 집단 내에서 혀의 최대 신장 길이와 혀의 운동성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4세 설소대 단축증 아동과 정상 아동 집단간에 혀의 최대 신장 길이, 혀

의 운동성, 자음정확도 및 치조음정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혀의 최

대 신장 길이 혹은 혀의 운동성과 같은 말이 아닌(nonspeech) 과제로 아동의 조음능력을

예견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앞으로는 각 집단의 연구 대상자를

늘리고 대상자의 연령을 다양하게 확대한 유사한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

핵심되는 말 : 설소대 단축증, 혀의 최대 신장 길이, 혀의 운동성, 치조음, 그림자음검

사, 조절자음정확도



Comparisons of Lingual function and alveolar sounds in 4 year old Korean children

with and without ankyloglossia



Ankyloglossia, often referred to as 'tongue tie', is a congenital condition,

recognized by an unusually thickened, tightened or shortened lingual frenulum,

which limits movement of the tongue in activities connected with feeding and which

has an adverse impact on both dental health and speech. A common definition and

objective measurements have been rare because the tongue is a complete soft tissue

structure without non-mobile landmarks. Thus, impressionistic judgements rather

than quantitative data continue to dominate descriptions of lingual morphology.

Before any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between ankyloglossia and oral motor

dysfunction or speech disorders can be established, an objective and replicable

system of measurement for lingual function(lingual length, lingual movement), and

the performances of speech articulation must be evaluated. Therefore, the current

study aimed to 1) compare of Lingual function(maximum lingual length-protrusion and

lingual movement) and alveolar sounds between 4 year old Korean children with and

without ankyloglossia, 2)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① maximum lingual

length-protrusion(MLL-P) and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s(PCC) focused on

alveolar sounds, ② lingual movement and PCC focused on alveolar sounds, ③ MLL-P

and lingual movement. Twenty-two 4 year old children participated as subjects in

the study: a control group of 11 normal children and an experimental group of 11

children who were previously diagnosed as having ankyloglossia.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Children with ankyloglossia(experimental group) displayed significantly shorter

MLL-P than 4 year normal children(control group).

2. Experimental group displayed significantly worse lingual movement than control

group.

3. Experimental group displayed significantly lower PCC in Picture consonants test

than control group.

4. Experimental group displayed significantly lower PCC of alveolar sounds than

control group.

(1) Experimental group displayed significantly lower PCC of 7 alveolar sounds in

the word level than control group.

(2) Experimental group displayed significantly lower PCC of 7 alveolar sounds in

the sentence level than control group.

(3) Experimental group displayed significantly lower PCC of /s/, /s'/, /r/, /l/

both in the word level and in the sentence level than control group.

5. There were low correlation between MLL-P and PCC , between lingual movement

and PCC in each group.

6. There was significantly high correlation between MLL-P and lingual movement of

experimental group.
Files in This Item:
TA0087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91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