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724

Cited 0 times in

말기 신부전증 환자의 세포 면역 장애에 관한 연구

Authors
 하성규 
Issue Date
1989
Description
의학과/박사
Abstract
[영문]

[한글]

말기 신부전증 환자의 세포 면역 장애 요인 및 투석이 면역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

기 위해 건강 성인 및 말기 신부전증 환자를 대상으로 말초 혈액 T림프구 및 T림프구 아

형, Phytohemagglutinin (이하 PHA로 약기) 및 concanavalin A (이하 Con A로 약기) 자극

에 대한 림프구 아세포반응, 억제 세포 활성도, interleukin-2 (이하 IL-2로 약기) 산생

능등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말초 혈액 총 T림프구수 및 억제 T(CD8T)림프구수 비율은 건강 대조군 및 환자군 사

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보조 T(CD4T)림프구수의 비율은 건강 대조군에 비해 환자

군 전부에서 의의있게 저하되어 있는 소견을 보였다(p<0.05), CD4/CD8 T세포비는 혈액 투

석군 및 지속성 외래 복막 투석군에서 건강 대조군에 비해 의의있게 저하된 소견을 보였

으며(p<0.05),투석 시작전군과 건강 대조군 사이에는 의의있는 차이가 없었다.

2. PHA자극 지수는 혈액 투석군이 건강 대조군에 비해 의의있게 낮았으며(p<0.05), 다

른군 사이에는 통계학적으로 의의있는 차이가 없었다(p>0.1). Con A자극 지수는 각군 사

이에 통계학적으로 의의있는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p>0.1).

3. 말초 혈액 림프구의 억제 T림프구 제거 지수(suppressor cell removal index)는 투

석시작전군에서 건강 대조군, 혈액 투석군, 지속성 외래 복막 투석군에 비해 통계학적으

로 의의있는 상승을 보였다(p<0.05).

4. 말초 헐액 림프구의 IL-2 산생능은 투석 시작전군이 혈액 투석군 및 지속성 외래 복

막 투석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의의있게 낮았으며(P<0.05), 건강 대조군과 비교하여 낮

은 경향이있으나 통개학적으로 의의있는 차이는 없었다(p>0.1).

5. PHA 자극 지수와 보조 T림프구 수 비율 사이의 상관관계는 투석시작 전군에서는 r=-

0.06, 혈액 투석군에서는 r=-0.002, 지속성 외래 복막 투석군에서는 r=0.25로 유의한 상

관관계는 없었다.

6. IL-2산생능과 보조 T림프구수 비율 사이의 상관관계는 투석 시작전군에서는 r=0.28,

혈액 투석군에서는 r=0.32, 지속성 외래 복막 투석군에서는 r=-0.02로 각군 공히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말기 신부전증 환자의 세포 면역 장애의 일부는 보조 T림프구

수의 비율 감소, 억제 세포 기능 항진 및 IL-2 산생능 저하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며, 이

러한 세포면역 장애 요인중 일부 즉 억제세포 기능항진 및 IL-2 산생능 저하는 투석 치료

에 의해 회복되는경향을 보이었다. PHA 자극 지수 및 IL-2 산생능과 보조 T림프구수 비율

사이에는 전 환자군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관찰 할 수 없었다.





Studios on Cell-Mediated Immunity in Patients with End Stage Renal Failure



Sung Kyu Ha

Depatment of Medic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Won Young Lee, M.D. and Joo Deuk Kim, M.D.)



The dominant immunologic defect in uremia resides in the cellular immune system.

To investigate the immunologic defects in uremia, several parameters (i.e. total T

cells, T cell subset, suppressor T cell function, interleukin-2 (IL-2)

productivity) of cell-mediated immunity were examined in 85 predialysis uremic, 83

hemodialysis and 39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roportions of total T cells and suppressor T cel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uremic patients group and the control. However, the

proportions of helper T cell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uremic patients group

than in the control (p<0.05).

2) Stimulation indices of phytohemagglutinin (PHA) and concanavalin A (Con A)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uremic patients group and the control

except hemodialysis group which showed significantly lower value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3) Suppressor cell removal index after Con A stimul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redialysis group than in the control, hemodialysis and CAPD group (p<0.05).

4) IL-2 productivity of peripheral blood lymphocyt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predialysis group compared to those of the hemodialysis and CAPD group

(p<0.05).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dialysis uremic and the control group.

5) Correlations between stimulation indices of PHA, IL-2 productivity and the

proportions of helper T cell in the uremic patients group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1).

In conclusion, cellular immune defects in uremia may be related to decreased

proportion of helper T cell, enhanced suppressor cell function and decreased

production of IL-2. Decreased proportion of helper T cell in uremic patient was not

improved by dialysis. However, decreased IL-2 productivity and enhanced suppressor

cell function in predialysis uremic Patient were improved by dialysis therapy.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timulation indices of PHA, IL-2

productivity and the proportions of helper T cell in uremic patient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370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 3. Dissertation
Yonsei Authors
Ha, Sung Kyu(하성규)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85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