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477

Cited 0 times in

한국인 남자 알콜의존환자에서 시각적 인식의 대뇌 비대칭성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시욱-
dc.date.accessioned2015-12-24T09:28:00Z-
dc.date.available2015-12-24T09:28:00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816-
dc.description의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영문] [한글] 지금까지의 연구들에 의하면 대뇌의 좌반구는 언어적, 논리적 및 분석적 기능과 순차적 인 정보의 처리에 우세한 반면, 우반구는 비언어적, 시각-공간적 기능과 전체적이며 동시 적인 정보처리와 감정적 기능에 우세하다. 알콜은 대표적 향정신성 물질의 하나로서 급성 투여시는 물론 만성 남용시에도 전체적으로 대뇌기능에 영향을 미쳐, 기억, 인식, 주의, 언어 등과 같은 지적기능에 장애를 줄 뿐 아니라 우울, 불안, 흥분 등 감정적 장애를 초 래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장기적인 알콜투여가, 한글과 한자로 된 언어적 자극과 시각-공 간적인 얼굴자극에 대한 시가적인식에 있어, 대뇌 비대칭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순간노출기법을 사용하여 규명하는 것이 었다. 피험자는 알콜의존 환자군과 정상대조군 각각 50명으로 전원 남자로서 20세에서 65세까 지이며 오른손잡이이다. 이들에게 순간노출기법으로 1글자 및 2글자로 된 한글단어와 한 자단어, 그리고 얼굴그림으로 된 시각자극을 컴퓨터와 특수 모니터를 사용하여 피험자의 좌 또는 우시야에 중앙응시점으로 부터 3° 거리에 150msec 동안 제시하고 이를 가능한 한 빨리 읽거나 표정을 인식하고 판단하는 과제를 수행하게 하였다. 측정변인은 반응시간 과 정답율로서, 이를 종속변수로 하고 정상군과 알콜의존군의 집단조건, 좌우의 시야조건 , 글자 종류와 얼굴그림의 자극조건 등을 독립변수로 하여 anova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언어자극인 글자에 대한 정답율은 알콜의존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 장년군에서 청년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우시야(좌반구)에서 좌시야(우반구)에서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특히 한글단어들에 대해서는 우시야(좌반구)에서 정답율이 높고, 한자단어들에대해서는 좌시야(우반구)에서 정답율이 높았다. 위와 같은 경향들은 청년군 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그러나 얼굴인식에 대한 정답율에는 유의한 차이나 상호작용이 없 었다. 두 집단간에, 모든 자극 종류별로 좌시야의 정답율을 우시야의 정답율로 나눈 비율을 비교했을 때, 모두 정상군에서 보다 알콜의존군에서 낮았으며, 특히 청년군 한글 1글자 단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어 우반구 장애를 시사하고 있었다. 2. 글자에 대한 반응시간은 알콜의존군이 장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주로 한글에서, 짧 았으며, 장년군에서 청년군에 비해 유의하게 길었으며, 좌시야(우반구)에서 우시야(좌반 구)보다 유의하게 길었다. 연령조건과 자극조건간에 유의한 상호작용이 있어 장년군에서 2글자 단어에서 반응시간이 매우 길었다. 그러나 얼굴인식에 대한 반응시간에는 유의한 차이도 없었고, 각 조건간 유의한 상호작용도 없었다. 두 집단 간에, 모든 자극 종류별로 좌시야의 반응시간을 우시야의 반응시간으로 나눈 비율을 비교했을 때, 모두 정상군에서 보다 알콜의존군에서 높았으며, 특히 장년군 한자 1글자 단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어 역시 우반구장애를 시사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한국인에 있어 한글인식은 다른 문화권의 표음문자 인식에서와 같이 좌 반구에서 우세하나, 한자인식은 우반구에서 우세함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알콜의존 환자 에서 정상군에 비해 인식의 정확도는 낮으나 반응시간은, 특히 한글에 대해, 짧음을 보여 주며, 우반구가 상대적으로 더 장애되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찬 인식과제 수행은 연령에 따라 감퇴함을 보여주고 있으나, 연령에 따른 대뇌 비대칭성의 변화는 발 견되지 않았다. Brain Asymmetry of Visual Recognition in Korean Male Patients with Alochol Dependence Si Wook Chung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nisity (Directed by Professor Chae Won Klm, M.D.) Recent studies on brain asymmetry suggest that the left hemisphere is specialized in verbal and analytical function and sequential information processing while the right hemisphere is specialized in nonverbal, visual-spatial function, holistic information processing and emotional function. Alcohol, one of the typical psychotropic substances, induces impairment of intellectual functions such as cognition and speech and emotional reactions such as depression, anxiety and excitement, on chronic consumption as well as acute administ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ronic alcohol consumption on the brain asymmetry in visual recognition of verbal stimuli(Hangul and Chinese words) and visual-spatial stimuli(faces). To 50 right-handed normal adult males and 50 right-handed males of the same age with a diagnosis of alcohol dependence, visual stiumuli of Hangup words, Chinese words and face drawings were presented tachistoscopicalty in the right or left visual field for 150 msec. Subjects were instructed to read the words and recognize the emotional expression of the faces as fast as possible. The correct response rate and the reaction time were measur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rrect response rate for words was lower in the alcohol dependent group than the normal group, lower in the older group than in the younger group and higher in the right visual field(the left hemisphere) than in the left visual field(the right hemisphere). Especially, the rate for Hangul words were higher in the right visual field while the rate for Chinese words was higher in the left visual field. These trends was more remarkable in the younger group. The ratio of the correct response rate in the left visual field divided by that in the right visual field was lower in the alcohol dependent group, and was significantly lower for Hangul one-letter words in the younger group, suggesting impairment of the right hemisphere in alcohd dependent group. The reaction time for the words, mainly for Hangul words, was shorter in the alcohol dependent group than the normal group. Generally it was longer in the older group than the younger group and longer in the left visual field than the right visual field. In paricular, reaction time was longer for two-letter words in the older group. The ratio of the reation time in the left visual field divided by that in the right visual field was higher in the alcohol dependent group, and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Chinese one-letter words in the older group, again suggesting impairment of the right hemisphere. With respect to the correct response rate and reaction time for the face stimuli, there were neither significant differences nor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condi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Koreans, the recognition of Hangul words was superior in the left hemisphere, as in the recognition of phonetic letters of other languages, while the recognition of Chinese words was superior in the right hemisphere. Also, in the alcohol dependent group, the correct recognition was impaired but the reaction time was shorter, especially for Hangul words, and the right hemisphere was more impaired than the left hemisphere was. All of these task performances seemed to be more impaired with aging,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found in brain asymmetry with aging.-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한국인 남자 알콜의존환자에서 시각적 인식의 대뇌 비대칭성에 관한 연구-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382-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ung, Si Wook-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