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559

Cited 0 times in

사후 경과시간에 따른 치아 경조직의 변화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옥선남-
dc.date.accessioned2015-12-24T09:25:28Z-
dc.date.available2015-12-24T09:25:28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718-
dc.description치의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영문] [한글] 인체는 사망하게 되면 일정한 변화가 진행되는데 이러한 변화를 추적하여 사후 경과시 간을 추정하고자 맙은 선인들이 연구하여 왔으나 사후 장시간 경과하여 사체가 고도로 부 패하거나 백골화했을 경우 지금까지의 고전적 방법으로는 사후 경과시간 추정이 대단히 곤란하다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치아는 물리적. 화학적 저항성이 강하여 사후 변화가 서서히 일어난다는 점에 착안하여 치아 경조직의 변화를 관찰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 보고자 일부 학자에 의해 서 연구가 시도되었으나 실험 기간이 짧아 실제로 장시간 경과한 사체에 대한 적용에는 난점이 있었다. 더우기 국내에서의 치아 경조직에 의한 사후 경과시간 추정에 관한 연구 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어서 이 분야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감정 실무에서 절실하다 하 겠다. 이에 저자는 1983년 12월부터 1987년 9월까지 발거한 18세에서 85세에 이르는 한국인 남녀의 치아 124개를 대상으로 발거 후 경과시간에 따른 변화를 상아질 팽윤도, 법랑질 및 백악질표면의 균열도를 중심으로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아질 팽윤도는 발거후 급격히 증가하여 7개월 경과시까지 비교적 높은 수치를 나 타내고 그후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 팽윤도 x에 대한 경과시간 y를 설명하기 위한 회귀방정식은 y=29.43-1.13x였다. (P <0.05) 3. 법랑질 표면의 균열은 발거 1년후 형성되기 시작하여 20개월을 전후하여 현저히 증 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4. 백악질에서는 발거 후 3개월부터 균열이 일어나기 시작하여 16개월 경과시 수지상균 열이 시작되었으며 이 후 균열은 계속 증가하였으며 법랑질과 비교할 때 균열속도는 더욱 빨리 진행되었다. 5. 상아질 팽윤도와 법랑질 및 백악질 표면의 균열도 검사를 병행할 경우 특히 사후장 시간 경과된 사체의 사후 경과시간 추정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A STUDIES OF CHANGES OF THE TEETH AS THE TIME ELAPSED SINCE DEATH Sun Nam Ock D.D.S., M.S.D. DePt. of Dental Science, Graduate School, Yonsei Univ. (Directed by Prof Chong Youl Kim D.D.S., M.S.D., Ph.D.) When the men die, uniform changes progress. Many investigators have studied about the time after death, but it's very difficult to measure the time elapsed since death, particularly in highly decomposed or probably skeletonized bodies. But the teeth are very stable to the changes of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nd their changes are very slow. At this point of view, the author studied this theme as one of the pioneers in our country. In this study, the author observed the degree of the dentinal expansion and the crack of enamel and cementum of talc teeth which had been extracted from December, 1983 to September, 1987. The teeth were extracted from the male and female who was 18 to 85 year old. The results are followed: 1. The degree of dentinal expansion increased rapidly until 7 months with high degree and then decreased slowly. 2. The equation of regression for representing x as the degree of the dentinal expansion and y as the time elapsed Since death, is y=29.43-1.13 X (p<0.05) 3. The crack of the enamel surface seemed to begin at 1 year from extraction and to increase apparently before or after 20 months. 4. The crack of the cementum began at 3 months from extraction and dendrite crack began at 16 months from extraction After this the crack increase continuously and the rate of cracking were more rapid as compared with that of enamel. 5. It seems to be useful to measure the time elapsed since death using the degree of dentinal expansion and the crack of enamel and cementum, particularly in the old bodies after death.-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사후 경과시간에 따른 치아 경조직의 변화에 관한 연구-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6286-
dc.contributor.alternativeNameOck, Sun Nam-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