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541

Cited 0 times in

산후 자가면역성 갑상선염의 면역학적 연구

Authors
 김현만 
Issue Date
1985
Description
의학과/박사
Abstract
[영문]

[한글]

1976년 Amino 등은 자가면역성 갑상선질환 환자에서 분만후에 일시적으로 갑상선기능저

하증 또는 갑상선중독증이 발생됨을 보고하였으며, 그 후 산후 자가면역성 갑상선염의 발

생에 있어서 자가면역 조절기능의 관련여부에 대한 몇몇 연구보고가 있었다. 산후 자가면

역성 갑상선염 환자에서 항갑상선항체의 역가가 높다든지 또는 이런 환자의 갑상선 조직

검사상 다수의 임파구 침윤이 관찰되는 것 등으로 보아서 자가면역기전이 본 질환의 발생

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본 질환의 발생기전으로는

임신중에 억제되어 있던 면역조절기능이 분만 후에 반동현상(rebound phenomenon)을 일으

켜서 세포성 면역이 항진되므로써 항갑상선항체의 생산을 증가시키고 이로써 갑상선 파괴

가 초래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과거의 보고들은 본 질환환자와 정상 비임신여성을 비교한

연구이며 정상 산후여성과의 비교가 아니기 때문에 그 의의를 논하기에는 불충분할 것으

로 생각된다. 또한 정상 산후여성에 있어서의 면역상태에 관한연구도 아직 알려지지 않았

다.

산후 자가면역성 갑상선염은 Hashimoto병과 동일 질환 또는 그 변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환자가 산후 3∼6개월에 발생하고 90%이상의 환자가 산후 10개월 이내에

회복되어서 정상 갑상선기능을 유지하며, 다음 분만시 대부분의 환자에서 동일한 일시적

인 갑상선기능 이상이 재발하지만 다시 정상 갑상선기능으로 회복된다는 몇가지 본 질환

의 특성이 있다. 이러한 가역성을 참고로 한다면, 본 질환에 대한 연구는 인체에서의 표

적장기 파괴에 관한 in situ연구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자가면역에 의하여 초래되는

기능적 결함을 이해할 수 있는 유일한 인체연구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한국인의 정상 산후여성 및 산후 자가면역성 갑상선염 환자에 있어서

자가면역 조절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1985년 3월부터 9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

대학 부속 세브란스병원 내과에 내원하였던 25예 (제 1군)의 산후 자가면역성 갑상선염

환자, 11예의 정상 산후 여성 (제 2군) 및 11예의 정상 비임신여성 (제 3군)을 대상으로

면역학적 연구를 하였다. 말초혈액으로부터 Ficoll-Hypaque gradient 비중원침법으로 임

파구를 분리하였고, 총 T임파구는 E-rosette법으로, helper T세포(Th)와 suppressor T세

포(Ts)는 형광단일클론항체 (OKT4, OKT8)로써, T세포 자극시험은 phytohemagglutinin 및

concanavalin A로써, B임파구는 EACrosette법으로, 그리고 K세포에 의한 세포독성은 (51)

**Cr방출검사법으로 측정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갑상선 기능검사상 제 1군은 모두 기능저하 상태를 보였고 항 microsome항체는 88%

에서 양성이었으며 제 2군과 제 3군은 모두 정상 갑상선기능 및 항갑상선항체 음성을 보

였다.

2. 순환 T임파구는 제 1군, 제 2군 및 제 3군에서 각각 68.0 9.0%, 71.7 5.7%, 73.4 5.

0%로 각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helper T세포는 제 1군(40.0 13.1%)에서 제 2군(5

4.4 13.0%)과 제 3군(59.6 7.5%)에 비하여 유의하게 저하되어 있었으나 suppressor T세포

는 제 1군(26.0 10.3%), 제 2군(31.0 11.9%), 제 3군(25.8 6.3%)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

으며, Th/Ts는 제 1군(1.97 1.81%)이 제 2군(1.86 0.48%)과 제 3군(2.34 0.63)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순환 B임파구는 제 1군(19.7 7.8%)과 제 2군(18.3 4.8%)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

으나 제 3군(13.3 5.9%)에 비하여 전자의 두군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

4. K세포의 세포독성지수는 제 1 군(0.41 0.13%)과 제 2군(0.42 0.11%)간에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나 제 3군(0.29 0.07%)에 비하여 전자의 두군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

5. 환자군에서 항 microsome항체 역가는 혈청 T^^3치(r=-0.5594) 및 T^^4치(r=-0.5551)

와 유의한 역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산후시기, 갑상선기능, 소변내 옥소배설량, helper T

세포군, suppressor T세포군, Th/Ts, 순환 B임파구군 및 K세포의 세포독성지수간에는 유

의한 상관관계를 볼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산후 자가면역성 갑상선염 환자에서의 면역항진 상태는 본 질환이 유발

될 수 있는 조건이지만, 정상 산후여성에서도 유사한 변화를 보였기 때문에 그 발생에 있

어서 다른 원인 또는 유발인자가 관여될 것으로 사료된다.





An Immunological Stndy on Autoimmune Postpartum Thyroiditis



Hyeon Man Kim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Kap Bum Huh, M.D.)



Autoimmune postpartum thyroiditis (PPT) introduced by Amino et al., is

characterized by several clinical aspects and is thought of as one of the

organ-specific autoimmune diseases. As mentioned by Jansson et al., the

reversibility and the organ-specificity of PPT apparently provide a unique human

model for in situ studies on target organ destruction and functional impairment by

autoimmune mechanisms.

The present studs was designed to investigate whether immunomodulation during the

postpartum period might induce this disease, by comparing the circulating

lymphocyte subsets and antibody-dependent cellular cytotoxicity (ADCC) between

normal postpartum women and PPT patient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ellows:

1.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irculating total T lymphocyte subsets, and

Th/Ts ratio were found among 25 PPT Patients, 11 normal Postpartum women and 11

normal nonpregnant women.

2. In PPT patients, helper T lymphocyte subsets were less than those of normal

postpartum or nonpregnant women. But B lymphocyte population and ADCC activity were

similar to those in normal postpartum women, although the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normal nonpregnant women.

3. In PPT patients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ntithyroid microsomal antibody titer, serum T^^3 and T^^4 levels.

In conclusion, the immunological changes observed in PPT patients were similar to

those in normal postpartum women, suggesting that come other causative or

triggering factors might be responsible for the occurrence of this disease.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424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62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