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563

Cited 0 times in

경피적 관동맥 확장성형술에서 관동맥 및 협착병소의 형태학적 특징과 조기결과에 관한 고찰

Authors
 탁승제 
Issue Date
1989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영문]

[한글]

경피적 관동맥 확장성형술(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PTCA)은

그동안 축적된 많은 경험과 발달로 인해 최근에는 관동맥 이식혈관의 협착, 다혈관 질환,

완전폐쇄 및 급성 심근경색증에서 혈전용해제와의 병합요법등 여러 방면으로 시술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발달에도 불구하고 아직 시술 중 급작스러운 관동맥 폐쇄

에 의한 급성 심근경색과 응급 관동맥우회로술 등 여러 허혈성 합병증의 위험이 있으며,

시술의 성공여부 및 합병증에서 물론 여러 임상적 요인들이 관여하지만 협착병소의 관 동

맥 조영상의 특징이 매우 큰 영향을 주는 인자로 생각되고 있다.

본 연구자는 1983년 5월부터 1989년 9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세브란스병원에

서 시행한 PTCA 229예 중 급성 심근경색과 연관된 경우를 제외한 164예 212개소의 협착병

소의 관 동맥 조영상의 형태학적 특징과 ACC/AHA PTCA Subcommittee 분류를 시술의 결과

및 합병증과 비교 고찰하여 그 관계를 밝혀서, 조기결과를 예측하고 시술에 적합한 협착

병변을 밝히려고 하였다.

1. 대상환자의 임상적 특징은 164예 중 불안정성 협심증이 121예, 안전성 협심증이 38

예, 이형 협심증이 5예이었고, 진구성 심근경색의 과거력이 있었던 경우가 38예 있었다.

연령은 30세부터 77세까지로 평균연령은 55 9세 이었다. 남자가 126예, 여자가 38예로 78

%가 남자이었다. 위험인자는 흡연이 111예로 68%, 고혈압이 78예로 47%, 당뇨병이 28예로

17%, 고콜레스테롤혈증(cholesterol≥220㎎%)이 154예 중 30예로 19%이었다.

2. 관동맥 조영상 관동맥질환의 정도는 단일혈관질환이 104예로 63%, 다 혈관질환이 60

예로 37%이었고, PTCA를 시행한 협착병변의 분포는 좌전하행지가 140개소(66%), 우관동맥

이 48개소(23%), 좌 회선지가 24개소(11%)이었다.

3. PTAC는 164예에서 183회, 212개 병소에서 시행하여서 175개소, 82.5%에서 성공하였

고, 협착병소의 위치에 따른 성공율은 좌전하행지가 85.7%, 우관동맥이 77.1%, 좌회선지

가 75.0%이었고, 1차 시술은 182개소 중 149개소(81.8%)에서 재협착에 의한 2차 혹은 3차

시술은 30개소 중 26개소(86.6%)에서 성공하였다. 단일 혈관질환에서는 127개소중 108개

소(85.0%)에서, 다혈관질환에서는 85개소중 67개소(78.8%)에서 성공하였고, single lesio

n시술은 168개소중 139개소(82.7%), multi lesion 시술은 44개소 중 36개소 (81.8%)에서

성공하였다.

4. 200개 협착병소에서 관동맥 및 협착병소의 ACC/AHA PICA Subcommittee 분류기준에

따른 형태학적 분류가 가능하였고, A형이 15개소, B형이 178개소, C형이 7개소이었다. PT

CA의 성공률은 A형은 86.6%, B형은 83.1%, C형이 42.8%로 C형에서 A또는 B형보다 성공률

이 의의있게 낮았고(p<0.005), 허혈성 합병증은 A형은 없었고, B형이 10개소(5.6%)에서 C

형은 3개소(42.8%)에서 발생하여서, C형에서 의의있게 많았고(P<0.05), acute closure sy

ndrome역시 A형에서는 없었고, B형은 6개소(3.4%), C형은 2개소(28.5%)에서 발생하여 C형

에서 의의있게 많았다(p<0.005).

5. 실패한 37개소의 원인을 보면 유도도자의 삽입실패가 2개소(5.4%), guidewire가 협

착병소를 통과하지 못했던 경우가 4개소(10.8%), 풍선도자가 통과하지 못했던 경우가 10

개소(27%)로 협착병소에 풍선도자가 도달하거나 통과하지 못했던 경우가 총 16개소(43.2%

)이었고, 풍선확장 실패가 13개소(35.1%), acute closure syndrome에 의한 실패가 8개소(

21.6%)이었다.

6. 시술과 관련된 합병증을 보면 시술부위 212개소 중 모두 37개소(17.4%)에서 한 가지

혹은 그 이상의 합병증이 발생했고, 그 중 관동맥 박리가 10개소(4.7%),PTCA시 관동맥

조영상 시술부위의 급성폐쇄가 4개소(1.8%), 분지폐쇄가 5개소(2.3%), 관동맥 경련이 6개

소(2.8%), 관동맥원위부 혈전색전이 4개소(1.8%)에서 있었고, guidewire fracture emboli

sm이 1개소에서 있었다. PTCA시술 183회 중 13예(7.1%)에서 허혈성 합병증 (혹은 지속적

흉통)이 발생하였고, 그 중 acute closure syndrome이 8예(4.4%), 급성 심근경색이 7예(3

.8%), 응급 관동맥 우회로술이 3예(1.7%)있었고, 전신적 혈전색전증이 2예(1.1%)에서 있

었고, 심실성 부정맥으로 1예(0.5%)가 사망하였다.

7. 관동맥 조영상 협착병소의 형태학적 특징 중 협착병소의 길이(p<0.05)와 accessibil

ity(p<0.05)가 시술의 성공여부에 대한 예측인자이었고, 허혈성 합병증은 주분지 포함여

부(p<0.05)와 eccentricity(p<0.05)가, acute closure syndrome은 accessibility(p<0.05)

와 eccentricity(p<0.05)가 예측인자이었다. ACC/AHA PTCA Subcommittee의 협착병소의 형

태학적 분류는 성공여부와 acute closure syndrome의 예측인자이었고(p<0.05), 허혈성 합

병증과는 통계적 의의는 없었으나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p=0.063). 그 외에 시술과 연관

된 혹은 시술 후 인자로는 관동맥 박리(p<0.01), 시술 후 관동맥 내경협착(p<0.05). 풍선

도자/관동맥 지름비율((p<0.01))이 허혈성 합병증의 예측인자이었고, 관동맥 박리는 acut

e closure syndrome의 예측인자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관동맥 조영상 관동맥 및 협착병소의 형태학적 특징이 시술의 결과와 밀

접한 관계가 있고, 특히 매우 중요한 위험인자가 협착병소의 길이, accessibility 및 ecc

entricity 임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인자들 및 연관된 합병증을 잘 파악함으로써 시술

의 결과를 예측하고 시술에 적합한 환자를 선택할 수 있고, 허혈성 심장질환에서 경피적

관동맥 확장 성형술의 역할 및 위치를 정확히 확립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oronary angiographic predictors for immediate results of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Seung Jea Tahk, M.D.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Woong-Ku Lee, M.D.)



Certain angiographic patterns outlining the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vessels and defining lesion characteristics have recently been shown to greatly

influence the likelihood of a successful dilation. In 1988, ACC/AHA Subcommitte on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proposed the lesion-specific

classification as a guide for estimating the likelihood of a successful procedure

as well as the likelihood of developing abrupt vessel closure. To determine the

lesion-specific predictors for successful dilation and complication after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nine angiographic charateristics of

200 lesions in 164 patients who underwent coronary angioplasty between May, 1983

and September, 1989 were analyzed.

1. Successful dilation, defined as a reduction in stenosis diameter to less than

50% without acute myocaridal infarction or emergency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occurred in 175 of 212 lesions(82.5%).

2. Successful dilation occurred in 13 of 15 type A lesions (86.6%), 148 of 178

type B lesions (83.1%) and 3 of 7 type C lesions (42.8%) (p<0.05 for A or B vs C).

3. Acute closure syndrome occurred in none of type A lesions, 6 of type B

lesions(3.4%), 2 of type C lesions (28.5%) (P<0.005 for A or B vs C).

4.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lesion-specific characteristic predictors

for successful dilation were length of lesion (p<0.05) and accessibility(p<0.05);

for ischemic events were major branch involvement (p<0.05) and

eccentricity(p<0.05); for acute closure syndrome were accessibility (p<0.05) and

eccentricity(p<0.05).

5. Procedural predictors for ischemic events were coronary artery dissection

(p<0.01), post-PTCA diameter stenosis(p<0.05) and balloon/artery diameter

ratio(p<0.01); for acute closure syndrome was coronary artery dissection(p<0.005).

In this analysis, we found that angiographic lesion-specific characteristics

relate very importantly to procedural success and were able to define three major

independent lesion-specific risk factors whose presence beforehand decreased

successful dilation and increased the likelihood of acute closure. In the absence

of any of these risk factors, the risk of acute closure is very small. Thus,

identification of these factors and their associate risk should improve patient

selection and better define the role of PTCA in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6027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52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