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576

Cited 0 times in

당뇨병 환자에서 안저 촬영에 의한 당뇨병성 망막증의 추적관찰

Other Titles
 A follow-up study of diabetic retinopathy by fundus photography in diabetic patients 
Authors
 정춘희 
Issue Date
1990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당뇨병성 망막증은 중요한 당뇨병성 합병증으로서 실명의 가장 흔한 원인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당뇨병성 망막증의 조기 발견, 진해의 지연 및 치료가 필수적인 데 비하여 이에 대한 인식 및 연구가 부족한 실정에 있다.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에서 polaroid 안저 촬영 또는 형광 안저 촬영을 시행하여 안저 소견의 변화를 평균 1.4±1.1년 추적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당뇨병의 이환기간에 따른 망막증의 진행 여부를 비교해 보면 이환 기간이 4년이하인 당뇨병에서는 추적 기간 중 망막증이 진행되지 않았고 5-9년에서는 20.0%, 10-14년에서는 39.1%, 15년 이상에서 50.0%로 이환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망막증이 유의하게 진행되어 있었다.

2) 혈압이 망막증의 진행에 미치는 영향을 망막증이 진행된 군에서 수축기 혈압이 134.2±16.4mmHg, 망막증이 진행되지 않았던 군에서는 129.2±19.1 mmHg로 양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망막증의 진행여부와 내원 당시의 공복 혈당치를 살펴보면 망막증이 진행된 군에서 공복 혈당이 225.5±73.8mg/dl, 진행되지 않은 군에서는 157.4±35.9mg/dl로 진행된 군에서 유의하게 공복 혈당이 높았으며 (p<0.05), 당화 혈색소는 망막증이 진행된 군에서는 9.8±1.9%, 진행되지 않은 군에서는 8.0±1.8%로서 망막증이 진행된 군에서 의미있게 증가되어 있었다(p<0.05).

4) 추적 관찰 후의 망막증의 진행여부와 단백뇨의 양을 비교해 보면 망막증이 진행된 군에서 단백뇨의양이 1427.1±1144.9mg으로 망막증이 진행되지 않은 군의 200.6±197.8mg보다 의미있게 증가되어 있었다(p<0.05). 또한 단백뇨의 양이 24시간에 300mg이상인 경우에서 그미만인 경우보다 진행된 빈도가 높았다.

5) 추적 관찰 동안 치료 방법에 따른 망막증의 진행 여부를 살펴보면 경구 혈당 강하게나 인슐린 치료군에서 식사 및 운동요법 군보다 의미있게 망막증이 진행된 것을 볼 수 있었다.

6) 추적 관찰 동안 치료 방법을 변화시켜 엄격한 혈당 조절을 한 경우, 식사 및 운동요법에서 경구 혈당강하제나 인슐린으로, 경구 혈당 강하제에서 인슐린으로 치료 방법을 변경시켰을 때 각각 33.3%, 75.0%, 100%에서 망막증이 진행되어 있었다. 즉 경구 혈당 강하제나 인슐린 특히 인슐린으로 치료 방법을 변경하였을 때 변경하지 않았을 때의 13.3%보다 의미있게 망막증이 진행되어 있었다.

7) 망막증의 정도를 파악함에 있어서 polaroid 망막 촬영과 형광 안저 촬영을 비교해보았을 때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r=0.6945, p<0.001), 일치하지 않는 경우를 보면 대부분이 polaroid 안저 촬영에서 형광 안저 촬영에서 보다 과소 평가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당뇨병성 망막증의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로서 내원시 환자의 연령, 이환 기간, 높은 공복 혈당 및 당화 혈색소와 추적 관찰 기간중 증가된 단백뇨, 인슐린의 사용 및 치료방법의 변경 등을 들 수 있으며, 당뇨병성 망막증의 조기 발견 및 치료를 위해서는 반드시 polaroid 안저 촬영과 필요한 경우에는 형광 안저 촬영술을 시행하고 망막증의 유무를 파악하여 당뇨병의 치료방침을 결정하고 치료에 따른 추적관찰을 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Recently, diabetic retinopathy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late complications of diabetes mellitus as it is one of the most common causes of blindness. Therefore, the importance of prevention and early detection using methods such as fundus photography and fluorescein angiography cannot be overemphasized.

In this study, 76 diabetic patients were followed by polaroid fundus photograph and/or fluorescein angiograph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rogression of diabetic retinopathy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its progression during the follow-up period were studi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between the unchanged group and the progressed group.

2)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rogression of diabetic retinopathy and the duration of diabetes mellitus.

3) The prevalence of diabetic retinopathy in patients with a duration of diabetes mellitus greater than 10 yea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patients with a duration of less than 10 years.

4) The progression of diabetic retinopath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initially elevated fasting blood sugar, initially elevated glycosylated hemoglobin and increased amount of proteinuria during the follow-up period.

5) Insulin therapy and the change of oral hypoglycemic agent and/or diet to insulin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progression of diabetic retinopathy.

6)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findings of polaroid fundus photography and those of fluorescein angiography. In those cases which showed different results between the two methods, the mean retinopathy levels of polaroid fundus photography were udnerstimated compared to those of fluorescein angiography.

In conclusion, the above findings suggest that age, the duration of diabetes mellitus, initial poor glycemic control, increased proteinuria during the follow-up period, and the change of therapeutic modality may contribute to the progression of diabetic retinopathy. It is suggested that polaroid fundus photography would be a good screning tool for the early detection of diabetic retinopathy and it should be performed as a routine procedure in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995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47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