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469

Cited 0 times in

단층방사선 사진을 이용한 혼합치열기 반대교합 환자의 악관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in Anterior Cross-bite Patients of Mixed Dentition Using T.M.J. Tomogram 
Authors
 전수연 
Issue Date
1990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영문]

[한글]

반대교합 환자의 악관절부위에 대한 연구는 환자의 진단, 치료 및 예후의 추정에 있어

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저자는 혼합치열기의 정상교합 아동 19명과 임상적으로 전치부 절단 교합위치가 가능한

반대교합환자 8명, 절단교합위치가 불가능한 전치부 반대교합환자 14명을 선정하여 중심

교합과 중심교위 관계에서 좌우측의 악관절 단층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각각에서의 관

절와에 대한 하악과두의 위치관계를 측정,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중심교합 및 중심교위 관계에서 전방, 후방 및 상방 관절공폭의 평균값을 정상군,

전치부 절단교합이 가능한 군 및 전치부 반대교합군에서 각각 구하였으며 각 군간의 관절

공폭의 차이에 대하여 유의성 검정을 하였다.

2. 중심교합과 중심교위 관계간의 평균값의 차이는 세군 모두 후방 관절공폭과 상방 관

절공폭에서 유의차이를 보였다.

3. 중심교합과 중심교위 관계간의 전방 관절공폭에 대한 후방 관절공폭의 비율의 평균

값은 절단교합이 가능한 군과 정상군에서 유의차이를 보였다.

4. 중심교합 상태에서 중심교위로 이동시 관절와에 대한 하악과두의 위치는 상군에서는

후상방으로 변하였고, 전치부 절단교합이 가능한 군에서는 후방으로 변위하며, 전치부

반대교합 군에서는 거의 변화되지 않았다.





A STUDY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IN ANTERIOR CROSS-BITE PATIENTS OF MIXED

DENTITION USING T.M.J, TOMOGRAM



Soo Yeon Chun, D.D.S.

Dept. of Dent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Associate Prof. Young-Chel Park, D.D.S., M.S.D., Ph.D.)



It is important to study the temporomandibular joint of anterior cross-bite

patient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The author obtained tomograms of right and left temporomandibular joint of the

children with normal occlusion (control group: 19 children, 38 sides), the children

with anterior cross-bite capable of edge-to-edge occlusion (A group: 8 children, 16

sides) and incapable of edge-to-edge occlusion (B group: 14 children, 28 sides) in

centric occlusion and centric relation.

The joint spaces were measured and compared.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mean scores of the anterior joint space, the posterior joint space and the

superior joint space in centric occlusion and centric relation for the 3 groups

were obtained. ANOVA test was taken for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joint space

among three groups.

2. The mean difference between centric occlusion and centric rel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osterior joint space and the superior joint space of

all the three groups.

3. The mean score of the proportions of the anterior space/posterior space

between centric occlusion and centric rel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ildren with anterior cross-bite capable of edge-to-edge occlusion and the

children with normal occlusion.

4. When the mandible moved from centric occlusion to centric relation, condylar

head moved posteriorly and superiorly in normal group, posteriorly in the children

with anterior cross-bite capable of edge-to-edge occlusion and scarcely moved in

the children with anterior cross-bite incapable of edge-to-edge occlusion.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868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46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