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67 518

Cited 0 times in

기능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운동신경계의 유효 뇌신경 연결성 평가

Other Titles
 Evaluation of effective motor connectivity using functional MRI 
Authors
 김재창 
Issue Date
2013
Description
의과학과/석사
Abstract
목적 : 본 연구에서는 기능자기공명영상(fMRI) 자료의 동역학적 인과성 모델링(Dynamic causal modeling, DCM) 방법이 유효 뇌신경 연결성을 적절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인지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건강한 오른손잡이 성인 남성 9명을 모집하여 순차적 수의운동 과제를 수행하며 기능자기공명영상을 획득했고, 뇌경두개자기자극(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TMS) 후와 거짓자극(Sham) 후에도 각각 순차적 수의운동 과제를 수행하며 기능자기공명영상을 획득했다. 위 실험으로 얻어진 기능뇌영상을 바탕으로 자기자극 전후의 인과적 연결성 변화를 DCM을 통해서 모델링했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유효 뇌신경 연결들을 확인하였다.결과 : TMS 전,후 운동 신경계의 유효 뇌신경 연결성 변화를 확인해 본 결과, 주운동영역(primary motor area, M1)억제가 운동신경계의 전반적인 뇌신경 연결성을 떨어뜨리는 효과를 보였다. 또한 오른 손가락 수의운동을 할 때, 좌측 보조운동영역(SMA)에서 좌/우측 M1 영역으로 향하는 유효 뇌신경 연결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좌측 운동전영역(PMC)에서 보조운동영역과 주운동영역으로 향하는 유효 뇌신경 연결성 역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결론 : 본 연구에서는 TMS를 통해 좌측 M1영역을 억제한 후 얻어진 뇌기능영상에 DCM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억제영역을 포함하여 운동 신경계 유효 뇌신경 연결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 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01283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459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