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 1994

Cited 0 times in

K-MBI와 한글 PEDI를 이용한 영유아 뇌성마비 평가

Other Titles
 Evaluation for infants with cerebral palsy using the Korean version of MBI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PEDI 
Authors
 신원호 
Issue Date
2013
Description
역학건강증진학과 건강증진교육전공/석사
Abstract
연구 배경: 본 연구는 영유아 뇌성마비 아동과 정상발달 아동을 대상으로 K-MBI와 한글 PEDI를 실시하여 장애 유무에 따른 두 평가 도구의 영역별 차이와 변별력을 비교하고, 연령에 따른 세부적인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만 1세부터 5세 미만의 뇌성마비 아동 66명과 정상 발달 아동 6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뇌성마비 아동은 경직형 뇌성마비 진단을 받은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서울 소재 종합병원 재활의학과에서 평가 의뢰된 아동을 표집 하였다. 정상 발달 아동은 서울 소재 3개의 어린이집에서 모집하였으며, 정상 발달 유무를 판별하기 위하여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DDST)를 시행하여 발달 지연이 없는 대상자를 정하였다. 조사 기간은 2012년 5월부터 동년 9월까지 진행하였으며, 두 검사는 모두 동일한 날짜에 평가가 이뤄졌다. K-MBI와 한글 PEDI 평가는 모두 검사자 1명에 의해서 시행되었으며, 아동의 관찰과 함께 아동을 잘 알고 있는 부모 1명과 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평가하였다. 자료의 통계분석은 SPSS version 18.0와 MedCalc version 12.3을 사용하였다. 뇌성마비군과 정상군에서 두 평가의 변별력을 비교하기 위해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ROC) 분석을 이용하여 곡선 아래 영역(Area under the ROC curve, AUC)을 비교하였고, AUC 비교는 DeLong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두 집단 간에 연령별 K-MBI 점수와 한글 PEDI 점수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K-MBI와 한글 PEDI 모두 정상군과 뇌성마비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K-MBI의 경우 보행, 의자/침대 이동, 계단 오르기 순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한글 PEDI에서는 기능적 기술 부분과 보호자 도움 부분 양측에서 이동 영역, 신변처리 영역, 사회적 기능 영역 순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두 평가의 변별력 비교를 위하여 AUC 차이를 비교한 결과 총합, 신변처리 영역, 이동 영역 모두에서 한글 PEDI가 K-MBI보다 AUC가 넓게 나왔으며, 한글 PEDI 보호자 도움 부분의 이동 영역을 제외하고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영유아 뇌성마비 아동의 장애 유무를 변별하는데 한글 PEDI가 현재 뇌병변 장애 판정 기준으로 사용되는 K-MBI 보다 높은 변별력을 가진다. 임상에서 뇌성마비 아동의 뇌병변 장애등급 판정시, 평가 시간이나 비용이 더 많이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PEDI와 같이 아동의 일상생활을 보다 적절히 평가 할 수 있는 도구로 보완하거나 대체하는 것이 필요하다.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129803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447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