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56 1936

Cited 0 times in

중환자실 환자에게 적용한 욕창발생위험사정도구의 전자의무기록 활용 평가

Other Titles
 Evaluation of EMR use for pressure ulcer risk assessment tools In ICU patients 
Authors
 김은경 
Issue Date
2013
Description
임상간호전공/석사
Abstract
중환자실 환자에게 적용한 욕창발생위험사정도구의 전자의무기록 활용 평가본 연구는 욕창발생 위험사정도구인 Cubbin & Jacson scale을 중환자실 환자에게 적용하였을 때 욕창발생 예측 타당도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확인하고 Cubbin & Jacson scale의 전자의무기록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위하여 시도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연구 대상자의 특성을 보면 남자가 63%로 많았고, 평균 연령은 59.77세였다. 중 환자실 체류기간은 평균 1.43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이 병동으로 이동하였을 확 인하였다. 진료과는 외과가 53.1%로 과반수이상이었고 인공호흡기와 억제대를 50%이상의 대상자에게 적용하였다. 욕창발생자는 118명으로 욕창발생률은 14.2%로 분석되었다.2. 일반적, 임상적 특성 중 중환자실 체류기간, 퇴실 시 상태, 당뇨, 부종, 인공호 흡기, 억제대, 평균혈압에서 두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Cubbin & Jackson scale에서는 연령과 피부상태를 제외한 체중, 의식수준, 운동 성, 혈역학적 상태, 호흡, 영양상태, 실금, 위생 여덟 항목에서 욕창발생과 유의 한 관계를 보였으며, Baden scale에서 감각인지, 습기, 체위변경, 영양, 마찰/전 단력의 다섯 항목이 욕창발생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 도구 개발자가 제시하고 있는 경계점수에서 Cubbin & Jackson scale과 Braden scale 두 도구의 예측타당도를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로 확인하 였을 때 Cubbin & Jackson scale은 72.0%, 68.8%, 27.7%, 93.7%이며, Braden scale은 93.2%, 16.6%, 15.6%, 93.7%였다. ROC 곡선하 면적은 Cubbin & Jackson scale은 .763, Braden scale .711로 계산되었다. 5. Cubbin & Jacson scale 세부항목 중 연령, 의식수준, 호흡, 실금은 구조화된 데 이터 항목과 완전히 대응이 가능하였고, 피부상태는 표준 진술문으로 대응이 가 능하였으며, 체중, 혈역학적 상태, 영양은 2개 데이터의 조합으로 유도가 가능한 보완적 대응을 보였고, 신체 활동과 개인위생은 EMR기록으로 찾을 수 없는 불 완전 대응의 관계를 나타내 EMR 데이터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변 수들의 결측률은 연령, BMI 등은 0%, 의식수준에서 34%(474건), 평균혈압에서 1.5%(21건), 호흡상태 37.3%(519건), Braden scale에서 34.6%(482건), 심근수축제 의 실시유무는 3%(42건)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Cubbin & Jackson scale이 Braden scale보다 ROC 곡선하 면적이 다소 높게 분석되었으나 중환자에게 적용하기 위하여 전향적으로 그 타당도를 검증해 보아야 하겠다. 또한 Cubbin & Jacson scale의 전자의무기록의 활용면에서 불완전 대응관계를 보인 신체활동과 위생을 제외한 여덟 항목을 전자의무기록에서 발견할 수 있어 그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미 간호사에 의해 저장되고 있는 자료들은 자동 입력되고 간호사의 판단이 필요한 부분만 입력할 수 있도록 보완한다면, 모든 항목을 간호사가 직접 기록하는 번거로움을 없애 이중 업무를 감소시킬 수 있어 업무 속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욕창 발생 고위험대상자에 대한 경고 메시지 등을 통해 욕창이라는 간호결과를 예방하는데 기여할 것이라 기대한다.
Files in This Item:
T012668.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442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