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817

Cited 0 times in

일 지역 농촌 코호트 주민의 혈압수준에 따른 고혈압 발병 위험요인 비교

Other Titles
 A comparison of hypertension risk factors according to blood pressure level in a cohort of regional residents 
Authors
 김소영 
Issue Date
2013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본 연구는 일 지역 농촌 코호트 주민의 혈압수준에 따른 고혈압 발병 위험요인 비교하기 위한 횡단면적 조사연구이었다.본 연구의 대상은 농촌지역사회기반 코호트(Genomin Regional Cohort, KGRC) 2차반복조사에 참여한 W시의 지역주민 128명이었다. 자료수집 장소는 Y대학교 평생건강관리센터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2년 9월 17일부터 2012년 10월 19일까지 총 5주간 이었다. 혈압측정은 수은혈압계(ALPK2, Japan), 허리둘레는 줄자, 신체계측은JENIX DS-102(Dong sahn jenix)를 이용하였으며 혈중지질농도 및 공복혈당의 분석은혈청자동분석장치인 ADVIA 1800(Bayer Inc., USA)을 이용하였다. 설문도구로는 장세진(2000)의‘스트레스’, Jeon & Chungbuk CHP research team(2003)의 ‘고혈압 지식수준’을 이용하였으며 생활습관 특성은 농촌지역사회기반 코호트 설문지의 규칙적신체활동 유무, 1회 운동시 운동시간, 흡연유무, 음주유무, 영양소 섭취량을 활용하였다. 영양소 섭취량의 분석은 DS 24 program을 이용하였으며, 통계 분석은 SPSS Win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X2-test, ANOVA로 분석하였다.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일반적 특성에서 연령과 교육수준을 조합한 군 분류에 따른 혈압수준의 분석 결과, 정상혈압군과 고혈압전단계군에서는 저연령 고학력군의 비율이 각각 12명(52.2%), 19명(38%) 으로 가장 높았으며, 고혈압 약물복용군에서는 고연령 고학력군의 비율이 17명(44.7%)으로 가장 높았다(x2=27.53, p=.001). 연령과 교육수준을 조합한 군 분류에 따른 혈압수준을 분석한 결과는 정상혈압군과 고혈압전단계군에서는 저연령 고학력군의 비율이 각각 12명(52.2%), 19명(38%) 으로 가장 높았으며, 고혈압약물복용군에서는 고연령 고학력군의 비율이 17명(44.7%)으로 가장 높았다(x2=27.53,p=.001).2) 혈압수준별 건강관련 특성의 분석결과, 질병인지에서 고지혈증을 인지하고 있는대상자의 비율은 고혈압 약물복용군에서 가장 높았고(x2=9.58, p=.022), 고혈압가족력의 경우 혈압수준이 높아질수록 고혈압 가족력이 있는 경우의 비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x2=13.34, p=.004). 폐경의 경우 혈압수준이 높아질수록 폐경여성의 비율이높아지는 경향이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5).3) 혈압수준별 생리적 특성의 분석결과, 혈압수준이 높아질수록 고밀도콜레스테롤,여성의 허리둘레, 체질량지수가 비정상인 경우의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나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5).4) 연령과 교육수준의 조합군에 따른 혈압수준별 생활습관 특성의 분석결과, 흡연하지 않는 대상자의 경우, 정상혈압군에서는 저연령고학력군이 11명(52.4%)으로 가장높았으며, 고혈압 약물복용군에서는 고연령고학력군이 17명(50%)으로 가장 높았고,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x2=31.44, p=.000). 음주를 하는 대상자의 경우, 정상혈압군에서는 저연령저학력군의 비율이 각각 4명(50%)으로 가장 높았으며, 고혈압 약물미복용군에서는 고연령저학력군의 비율이 4명(50%)으로 가장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x2=18.24, p=.041). 규칙적신체활동을 하는 대상자의 경우 정상혈압군에서는 저연령고학력군이 5명(55.6%)으로가장 높았으며 고혈압 약물복용군에서는 고연령고학력군이 10명(45.5%)으로 가장 높았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x2=20.82, p=.020).5) 혈압수준별 스트레스 수준의 분석결과 정상혈압군의 스트레스 평균이 18.8점(SD=7.23)으로 가장 높았고 고혈압 약물복용군의 스트레스 평균이 13.5점(SD=8.63)으로 가장 낮았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6) 혈압수준별 고혈압 지식수준의 분석결과 고혈압 약물복용군의 지식수준 평균이18.1점(SD=1.67)으로 가장 높았고 고혈압전단계군의 지식수준 평균은 16.7점(SD=2.83)으로 가장 낮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2.684,p=.050). 혈압수준별 고혈압 지식수준의 문항별 정답율은 유전적 요인 영역의‘나이가 들수록 고혈압의 위험요인이 높아진다’는 문항과 질병 정의 영역의‘혈압이140/90mmHg 이상이면 고혈압이다’라는 문항의 정답율이 고혈압 약물복용군에서 각각97.4%(x2=7.19, p=.036), 92.1%(x2=11.10, p=.011)로 가장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본 연구결과 연령, 고지혈증, 고혈압가족력, 흡연, 음주, 규칙적 신체활동, 고혈압 지식수준이 혈압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다양한 변인들이 혈압수준에 따라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유추할 수 있어 혈압수준별 위험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후속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상혈압에서 고혈압 전단계 및 고혈압으로의 이행을예방하고 관리를 향상 시킬 수 있는 혈압수준별 중재전략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442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