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5 1385

Cited 0 times in

가정산소요법 적용 환자의 호흡곤란과 기능 상태

Other Titles
 Dyspnea and functional health status in patients receiving home oxygen therapy 
Authors
 나정아 
Issue Date
2011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본 연구는 가정산소요법을 적용받는 환자의 호흡곤란 정도와 기능 상태를 파악하여 가정산소요법 적용 환자의 특성과 간호요구에 적합한 간호계획의 수립 및 효율적인 수행을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1년 4월 16일부터 6월 6일까지 서울 소재 A병원에 등록된 환자 중 가정에서 산소요법을 적용받은 환자 83명을 대상으로 외래 방문 시 또는 가정방문을 통해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Baseline Dyspnea Index(BDI; Mahler, Weinberg, Wells, & Feinstein, 1984), Medical Outcome Study Short Form-36(MOS SF-36: Ware, Sherbourne, 1992)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7.0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 t-test, ANOVA, 피어슨 상관분석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호흡곤란 정도는 BDI(Baseline Dyspnea Index) 총 평균 12점 만점에 5.54(±3.39)로써 대상자들은 비교적 심하게 호흡곤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교육정도가 중졸 이하일 경우(F=4.10), 직업이 없는 경우(t=-3.46), 가족의 월수입이 100만원 미만일수록(F=3.77), 주 간호제공자가 본인이 아닐 경우(F=17.18), 진단받은 기간이 5년 이상일수록(t=2.03) 호흡곤란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진단명에 따라 호흡곤란 정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결핵성파괴폐 그룹(BDI 3.17±1.72)이 호흡곤란이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대상자의 가정산소요법 관련 특성에 따른 호흡곤란 정도는 가정용 인공호흡기적용 군보다는 비강캐뉼라를 이용한 산소요법 적용군(t=12.75)에서, 산소량이 1리터 이상일수록(F=11.04), 하루 평균 산소사용 시간이 8시간 이상일수록(F=8.95), 산소요법 이전에 약물요법을 받았던 경우(t=13.59), 그리고 산소기계를 능숙하게 작동할 수 없는 그룹이 호흡곤란이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2. 대상자의 기능 상태는 총 평균은 100점 만점에 49.38(±22.13)로 나타나 대상자들의 기능 상태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8개 하부 영역 중 신체적 통증(70.33±32.12)이 가장 높았으며, 전반적 건강인식(38.50±20.30)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하부영역의 점수를 합산한 결과는 정신적 건강영역(47.79±23.48)이 신체적 건강 영역(50.98±23.66)보다 낮게 나타났다. 교육정도가 중졸이하인 경우(F=3.31), 직업이 없는 경우(t=7.16), 주 간호제공자가 본인이 아닌 경우(F=16.37)에 기능 상태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진단받은 기간이 5년 이상일수록 기능 상태가 낮았으며, 진단명에 따라서도 기능 상태의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는데 혈액암 그룹(PH :18.13, MH :32.29)이 두 영역 모두 가장 낮게 나타났고 이러한 차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했다(p<.05). 가정산소요법관련 특성에 따른 기능 상태는 가정용 인공호흡기적용 군보다는 비강캐뉼라를 이용한 산소요법 적용하는 그룹이(PH :t=17.20, MH : t=20.22), 산소량이 1리터 이상일수록(PH :F=11.80, MH : F=7.51), 하루 평균 산소사용 시간이 8시간 이상일수록(PH :F=9.84, MH : F=5.65), 산소요법 이전에 약물요법을 받았던 그룹(PH :t=10.47, MH : t=17.45)에서 기능 상태가 더 낮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3. 대상자의 호흡곤란 정도와 기능 상태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대상자의 호흡곤란 정도는 신체적 건강 영역(r=.818, p=.000), 정신적 건강 영역(r=.712, p=.000)과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호흡곤란 정도가 양호할수록 신체적 건강 영역과 정신적 건강 영역의 기능 상태도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가정산소요법 적용 환자의 기능 상태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호흡곤란을 완화시키는 것이 필수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정산소요법 적용 환자들이 호흡곤란을 완화시키고 기능 상태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환자들이 가정산소요법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자가 간호를 포함한 충분한 교육과 훈련이 이루어져야 하며, 아울러 가정산소요법 적용 환자의 특성에 따른 간호중재 마련과 함께 정서적인 측면에 대한 중재방안이 필수적으로 요구됨을 시사한다.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113806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397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