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9 598

Cited 0 times in

두 가지 평가 방법을 이용한 복합레진의 반투명도에 대한 평가

Other Titles
 Evaluation of translucency of resin composites by two different methods 
Authors
 김도현 
Issue Date
2011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이번 연구의 목적은 복합레진의 translucency parameter (TP)와 light transmittance (%T)를 측정하여 1) 제조사별로 다른 7종의 복합레진 및 dentin, enamel, translucent의 세 가지 shade category 간에 반투명도의 차이가 있는지, 2) 두 가지 반투명도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얻어진 결과 사이에 연관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함이다. Beautifil II(BF), Denfil(DF), Empress Direct(ED), Estellite Sigma Quick(ES), Gradia Direct(GD), Premisa(PR), Tetric N-Ceram(TC) 7종의 복합레진에 대하여 dentin A3, enamel A3, clear translucent에 해당하는 세 가지의 shade를 선택하여 총 21종의 복합레진에 대하여 직경 10 ㎜, 두께 1 ㎜의 디스크형 시편을 각각 10개씩 제작하였다. TP 측정을 위하여 각각의 시편에 대하여 흰색 배경과 검정색 배경 위에서의 시편의 색상을 colorimeter룰 사용하여 측정한 후 CIELAB color scale로 나타내어 TP를 계산하였고, %T 측정을 위하여 Spectrometer와 computer software를 이용하여 가시광선 영역에 해당하는 380-780 ㎚ 구간에서의 시편을 통과한 빛의 mean light transmittance (%T)를 구하였다. 복합레진의 종류와 shade category에 따른 TP 및 %T를 비교하기 위하여 two-way ANOVA를 시행하였고, 동일한 shade category에 해당하는 7종의 복합레진 및 동일한 복합레진 종류에 해당하는 세 가지 shade category에 대하여 각각 one-way ANOVA를 시행한 후 Tukey’s test로 사후검정 하였다. 두 가지 평가 방법을 이용한 결과간의 연관성 분석을 위하여 Pearson 상관계수를 사용한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모든 통계 분석 과정은 95% 유의수준 하에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복합레진의 종류와 shade category에 따라 TP 및 %T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p<0.05). 동일한 shade category에서의 복합레진 종류에 따른 TP는 3가지 shade category에서 각각 다양한 순서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p<0.05), 동일한 복합레진 종류에서의 shade category에 따른 TP는 7종의 복합레진에서 각각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동일한 shade category에서의 복합레진 종류에 따른 %T는 세 가지 shade category에서 각각 다양한 순서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p<0.05), 동일한 복합레진 종류에서의 shade category에 따른 %T는 BF와 ES를 제외한 5종의 복합레진에서 각각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두 가지 평가 방법에 의한 결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r=0.626, p<0.05). 7가지 복합레진 종류에 대한 상관분석에서, ES를 제외한 6종의 복합레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r=0.763-0.992, p<0.05). 세 가지 shade category에 대한 상관분석에서, 세 가지 shade category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r=0.403-0.528, p<0.05). 이번 연구에서 두 가지 평가 방법에 의한 결과는 동일한 종류의 복합레진에 대하여 각각 상관분석을 시행한 경우 전체 결과에 대하여 상관분석을 시행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이로 미루어 볼 때 서로 다른 종류의 복합레진의 반투명도를 평가할 때에 있어서는 반투명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평가 방법을 사용하여야 하며 복합레진의 반투명도 평가를 위한 정확한 기준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Files in This Item:
T012168.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392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