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3 833

Cited 0 times in

가족결속력, 모아애착, 양육효능감이 유아를 위한 어머니의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perceived family cohesion,maternal attachment & parenting efficacy on mothers' infant health promotion 
Authors
 함정숙 
Issue Date
2012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본 연구는 가족결속력, 모아애착, 양육효능감이 유아를 위한 어머니의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예측 설계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원주시에 소재한 7곳의 어린이집과 Y대학부속 병원을 이용하는 12개월 이상 36개월 이하의 유아를 둔 어머니로 148명이 최종 분석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1년 10월 4일부터 10월 14일까지였으며, 사용된 도구는 안양희(1988)의 ‘가족결속력’, 한규은(2001)의 ‘모아애착’, 백종화(2002)의 ‘양육효능감’, 김신정(2007)의 ‘유아 건강증진행위 측정도구’ 이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사후검정,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유아 어머니의 가족결속력은 평균 40.5(±5.60)점 이었으며, 모아애착은 평균 116.9(±12.79)점이었다. 양육효능감은 평균 31.6(±5.08)점이었고 유아를 위한 어머 니의 건강증진행위는 평균 113.0(±13.77)점 이었다.2) 일반적 특성과 가족결속력의 차이는 어머니의 건강상태(r=-.194, p=.018), 음주유 무(-2.895, p=.046), 경제적 수준(F=3.53, p=.03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고 유아의 경우 건강상태(r=-.233, p=.004), 성격(F=6.159, p=.001)과 유 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 특성과 모아애착의 차이는 어머니의 학력(t=-.2120, p=.036), 건강상태(r=-.209, p=.011), 수유형태(t=2.040, p=.044), 음주유무(t=-1.577, p=.005), ), 경제적 수준(F=3.53, p=.03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고 유아의 경우 건강상태(r=-.268, p=.001), 성격(F=12.90, p=.001)에 따라 유의 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 특성과 양육효능감의 차이는 어머니의 학력(t=-2.618, p=.010), 건강상태(r=-.260, p=.001), 수유형태(t=2.361, p=.021), 식사습관(t=2.317, p=.022), 음주유무(t=-2.042, p=.043)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의 경우 건강상태(r=-.337, p=.001), 성격(F=2.784, p=.043)에 따라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 일반적 특성과 유아를 위한 어머니의 건강증진행위와의 차이는 어 머니의 가족형태(t=2.418, p=.017), 계획된 임신여부(t=1.997, p=.048), 건강상태 (r=-.271, p=.001), 수유형태(t=3.747, p=.000), 식사습관(t=2.235, p=.027), 운동유무 (t=4.227, p=.000), 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의 경우 건 강상태(r=-.261, p=.001)), 성격((F=4.688, p=.004)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3) 유아를 위한 어머니의 건강증진행위와 가족결속력(r=.436, p<.001), 모아애착 (r=.628,<.001), 양육효능감(r=.549,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보 였다.4) 유아를 위한 어머니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가족결속력, 모아애착, 양육효능감, 가족형태, 출생순위, 모유수유 여부이었다. 이들 변인의 총 설명력(Adj R²)은 53%이었다.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회귀모형의 독립변인들 간에는 다중공선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olerance:.5∼.9, VIF:1∼2.5). 본 연구결과 가족결속력, 모아애착, 양육효능감이 유아를 위한 어머니의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유아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변인을 규명하기 위한 후속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또한 간호실무에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필요로 하며 어머니의 가족결속력, 모아애착, 양육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중재전략이 필요하다.
Files in This Item:
T01213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389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