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4 385

Cited 0 times in

스티렌 제조공장 대정비 작업 근로자의 에틸벤젠 노출과 요중 대사산물 배설과의 관계

Other Titles
 Urinary metabolites excretion of turnaround process workers exposed to airborne ethylbenzene 
Authors
 여진희 
Issue Date
2011
Description
산업보건학과/석사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스티렌 제조 공장 대정비 작업 참여 근로자를 대상으로 스티렌 및 에틸벤젠의 공기 중 노출을 파악하고 요중 대사산물인 만델릭산(MA)과 페닐글리옥시릭산(PGA)의 농도를 비교하여 공기 중 노출에 따른 요중 대사산물의 배설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연구대상 및 방법: 대정비 작업 참여 근로자를 대상으로 수동식 포집기를 이용하여 공기 중 스티렌과 에틸벤젠을 측정하고, 요중 대사산물의 분석을 위해 작업 전과 작업 후 소변을 매일 2회 채취하였다. 또한 요중 대사산물의 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업요인과 생활습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사기간 동안 모든 직종 근로자의 개인 시료에서 스티렌은 검출되지 않았다. 에틸벤젠 노출농도는 조정실 근로자의 개인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고, 생산직 근로자의 개인 시료에서 0.130±0.212 ppm, 하청업체 근로자의 개인 시료에서 0.248±0.344 ppm이었다. 요중 대사산물의 농도는 생산직 근로자에서 만델릭산이 0.069±0.062 g/g creatinine, 페닐글리옥시릭산이 0.028±0.048 g/g creatinine이었다. 작업 전과 후에 따른 요중 대사산물의 농도 분석결과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공기 중 에틸벤젠의 농도와 작업 후 요중 만델릭산 농도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0001).결론: 대정비 작업 기간 중 모든 근로자의 개인 시료에서 스티렌은 검출되지 않았고, 에틸벤젠은 노출기준 이하이었으며 요중 대사산물의 농도는 0.036±0.005 g/g creatinine으로 노출 기준인 0.7 g/g creatinine 이하의 농도이었다. 대정비 작업 특성상 사용하는 수동식 포집기의 과소평가와 에틸벤젠의 피부흡수, 스티렌의 검출한계 이하의 노출 등을 고려하여 작업환경측정과 생물학적 모니터링의 동시 평가가 필요하다. 향후 에틸벤젠에 대한 생물학적 모니터링 연구를 통한 우리나라 근로자 특성에 맞는 생물학적 노출지표(Biological exposure indices) 설정이 필요하다
Files in This Item:
T01204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380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