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2 637

Cited 0 times in

설측 교정장치로 상악 6전치 견인시 견인 방법에 따른 상악 구치부 초기 응력 분포에 관한 광탄성 분석법적 연구

Other Titles
 (A) photoelastic analysis about initial stress distribution on maxillary posterior periodont 
Authors
 이정현 
Issue Date
2004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상악 제1소구치를 발치한 중등도의 고정원(moderate anchorage)이 요구되는 설측 교정치료에서 통상적인 상악 6전치 후방견인 방법과 크로스오버(Cross-over) 견인 방법간의 견인력의 크기에 따른 상악 구치부의 응력 분포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견인력은 150gm, 300gm 그리고, 450gm의 크기에 따라 비교되었고 150gm을 적정한 견인력으로 보았다. 제1소구치가 제거된 편측 상악 모형은, 치조골은 관탄성재(PL-2)로 치아는 레진 인공치로 제작되었다. 견인방법과 견인량에 따라 광탄석 분석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1. 두 방법에서 적정한 견인력인 150gm을 가했을 때 수직 휨 현상 및 수편 휨 현상이 잘 일어나지 않았다.2. 통산적인 설측 견인 방법에서 견인력이 증가할수록 수직 휨 현상(Vertical bowing effect)이 및 수평(Transverse bowing effect) 휨 현상이 더 잘 일어났다.3. 크로스오버 견인 방법에서 견인력이 증가할수록 수평 휨 현상이 통상적인 설측견인시와는 반대 방향으로 더 잘 일어났고 수직 휨 현상도 더 잘 일어났다.4. 동일한 견인력에서 통상적인 설측 견인 방법이 크로스오버 견인 방법 보다 수직 휨 현상 및 수평 휨 현상이 잘 일어났다.







[영문]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the stress distribution between the conventional en-masse retraction method and the cross-over en-masse retraction method as magnitude of retraction force in the lingual orthodontic treatment to require moderate anchorage. magnitudes force of 150gm, 300gm, and 450gm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One side maxillary model without first bicuspid was fabricated using a photoelastic material(PL-2) to stimulate alveolar bone and resin teeth to stimulate teeth. Through the photoelastic analysis taken at each cas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Both vertical bowing effect and transverse bowing effect were hardly occurred in two retraction methods by application of optimal force 150gm.

2. In conventional lingual retraction method, the increase of retractive force led to the increase of vertical bowing effect and transverse bowing effect.

3. In cross-over retraction method, the increase to retractive force led to the increase of vertical bowing effect and transverse bowing effect opposite to that in conventional lingual retraction method.

4. For the same retraction force, the conventional lingual retraction method generated vertical bowing effect and transverse bowing effect more than cross-over en-masse retraction method.
Files in This Item:
T00802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83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