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4 679

Cited 0 times in

하지수술을 받는 소아에서 술 후 통증조절을 위한 지속적 경막외 방법과 지속적 정주법의 비교

Other Titles
 Comparison of continuous epidural analgesia and continuous intravenous analgesia for postoperative pain contr 
Authors
 김기환 
Department
 Dept. of Pediatrics (소아청소년과학교실) 
Issue Date
2004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최근 소아용 경막외강 바늘과 카테터의 개선으로 소아에서도 경막외 마취 및 통증조절이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소아의 하지수술 특히 다발절개가 요구되는 수술을 받는 소아환자에서 술 후 지속적인 통증조절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양측 또는 다발절개를 요하는 하지의 계획수술이 예정된 소아 남여 91 명을 대상으로 전신흡입마취와 병용한 경막외마취 후 지속적 경막외 진통법과, 단독 전신흡입마취 후 지속적 fentanyl 정맥주입 진통법 간에 술 중 seveflurane의 요구량과 술 후 진통효과 그리고 합병증 등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구명하고자 하였다.

모든 환자는 thiopental sodium 6 mg/kg과 rocuronium 0.6 mg/kg으로 마취유도 후 기관내 삽관하여 sevoflurane으로 전신마취 하였다.

전신마취 직후 경막외 카테터를 거치하고 1% lidocaine 0.7 mL/kg과 fentanyl 1 μg/kg을 일시에 주입하여 전신마취와 병행한 후 수술종료 후 0.5% lidocaine을 1 mL/hr의 속도로 자가통증조절기를 통해 지속주입하거나(E 군, n = 61) 경막외마취는 하지 않고 마취시작 직후부터 fentanyl을 자가통증조절기를 통해 0.25 μg/kg/hr - 1.0 μg/kg/hr 속도로 정주하여(I 군, n = 30) 술 후 48 시간까지 유지하였다.

수술 중 혈압과 맥박수를 술 전 안정 시 값의 ± 10%로 유지하기 위한 호기말 sevoflurane 농도를 기록하였으며, 술 후 병실 도착 시, 도착 후 6 시간 그리고 24 시간에 환자를 방문하여 Objective Pain Score (OPS), Parent Visual Analog Scale (PVAS), 술 후 구역 및 구토, 요저류, 가려움증 그리고 호흡억제 여부와 진정정도 등을 관찰하였다.

수술 중 적정 마취유지를 위한 sevoflurane 농도는 E 군에서 수술시작 시, 시작 후 30 분, 1 시간 그리고 2 시간에서 각각 1.5 ± 0.5, 1.2 ± 0.5, 1.0 ± 0.5 그리고 1.1 ± 0.5로, I 군의 2.3 ± 0.6, 2.1 ± 0.5, 2.0 ± 0.5 그리고 1.9 ± 0.7보다 4 시간대 모두에서 유의하게 낮게 유지할 수 있었다(P < 0.05).

술 후 OPS는 병실도착 후 6 시간에 E 군에서는 2.3 ± 2.0으로 I 군의 3.2 ± 1.8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P < 0.05), 술 후 PVAS는 병실도착 직후, 이후 6 시간 그리고 24 시간에 E 군에서 3.8 ± 2.6, 2.7 ± 2.2 그리고 1.6 ± 2.0으로, I 군의 4.9 ± 2.2, 4.3 ± 2.1 그리고 2.2 ± 1.5에 비해 유의하게 낮아(P < 0.05) E 군에서 보다 효과적인 진통이 되었다. 술 후 구역 및 구토의 빈도는 E 군과 I 군이 각각 16.7% 와 30% 로서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그 밖의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적으로 다발절개가 요구되는 수술을 받는 소아에서 sevoflurane 전신마취하에 병행하여 lidocaine 경막외마취를 시행하면 sevoflurane 단독 전신마취에 비하여 술 중 sevoflurane의 요구량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비교적 안정된 마취관리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lidocaine을 이용한 지속적 경막외 진통법이 fentanyl 지속 정주 진통법에 비하여 심각한 합병증없이 더 효과적인 술 후 통증완화를 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영문]In recent years epidural anesthesia and analgesia techniques have been used in pediatric surgery ow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pediatric epidural catheter. Furthermore, the need for postoperative pain control, in pediatric patients undergoing lower extremities surgery with multiple incision sites, is increasing.

We compared combined general-epidural anesthesia and analgesia technique with intravenous fentanyl analgesia after general anesthesia in terms of intraoperative sevoflurane concentration, postoperative analgesic effect and complications in a group of pediatric patients.

We randomly allocated 91 pediatric patients undergoing lower extremities surgery into an epidural lidocaine group (n = 61) and an IV fentanyl group (n = 30).

All patients were induced with thiopental sodium 6 mg/kg and rocuronium 0.6 mg/kg, while anesthesia was maintained with sevoflurane. During the operation, end-tidal sevoflurane concentration was controlled to maintain the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within 10% of preoperative values.

At the postoperative period, Parent Visual Analog Scale (PVAS), Objective Pain Score (OPS) and the incidence of nausea

vomiting were checked immediately after the patient''s arrival at the general ward, and at 6 and 24 hours later.

Intraoperative end-tidal sevoflurane concentration was mo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epidural lidocaine group than in the IV fentanyl group (P < 0.05). Postoperatively OPS was significantly lower at 6 hours after arrival at the general ward and PVAS was significantly lower immediately after arrival at the general ward, and at 6 and 24 hours later, in the epidural lidocaine group compared to in the IV fentany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Combined general-epidural anesthesia technique significantly reduced intraoperative end-tidal sevoflurane concentration compared to general anesthesia alone. Furthermore, continuous patient controlled epidural analgesia reduced postoperative pain scores significantly more than continuous patient controlled IV fentanyl analgesia, without any associated serious complications.
Files in This Item:
T007968.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Pediatrics (소아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Kim, Ki Hwan(김기환)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77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