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1 990

Cited 0 times in

림프구 교차반응 양성인 환자에서 신장이식

Other Titles
 Kidney transplantation in patient with cross-match positive live donor 
Authors
 허규하 
Issue Date
2004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수혜자와 기증자 사이에 시행한 림프구 항체 반응이 양성일 경우에는 신장이식의 금기증으로 여겨왔다. 이들은 림프구 교차반응이 음성인 기증자가 생길 때까지 기다려야만하며 생체 기증자가 있더라도 림프구 교차반응 양성일 확률이 높다.

본 연구자는 2002년 1월부터 2003년 2월까지 생체 기증자에 대한 림프구 교차반응 양성인 1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하여 음성으로 전환시키고자 혈장 사혈(plasmapheresis), 감마 글로부린(gamma globulin) 정주 및 강력한 면역억제제를 투여하였다. 대상군은 남자가 5명, 여자가 5명이었으며 평균나이는 44.9(35~60)세였다. 3명의 환자는 재이식을 시행받는 경우이었다. 10명의 환자중 혈액투석을 시행받는 환자는 7명이었고 복막투석을 시행받는 환자는 3명이었다. 투석 기간은 9개월에서 120개월까지 다양하였다. 림프구 교차반응 음성으로의 전환을 유도하기 위하여 혈장 사혈을 시행하면서 감마 글로부린 정주, 타크로리무스(Tacrolimus), MMF(Mycophenolate mofetil), 및 스테로이드를 병용한 강력한 면역억제 요법을 사용하였다. 혈장 사혈은 환자에 따라 두 번에서 여섯 번까지 시행하였고 감마 글로부린은 7일간 정맥 투여하였고 수술 후 ATG(또는 OKT3)를 5-10일간 투여하였다.

10명중 9명에서 음성 전환에 성공하여 신장 이식 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모든 예에서 초급성 거부반응은 발생하지 않았고 4명에서 급성 거부반응이 있었으나 항거부반응 치료 후 급성 거부반응 이전의 신장 기능으로 회복되었다. 이식 후 발생한 합병증으로는 신이식후 당뇨 5예, 바이러스 감염증 3예, 구내염 1예 등이었다. 수술후 1년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환자들의 평균 크리아티닌은 1.5 mg

dl 내외로 좋은 이식신 기능을 보였다. 이중 1명의 환자에서는 이식 후 1년이 경과한 이후부터 크리아티닌이 증가하는 소견을 보여 이식신의 조직 검사를 시행한 결과 BK 바이러스 신증으로 진단하였다. 그 외 나머지 8명의 환자는 현재까지 양호한 이식신 기능을 보이고 있다.

결과적으로 림프구 교차반응 양성인 환자도 혈장 사혈 및 강력한 면역억제제 투여를 병합하여 림프구 교차반응이 음성으로 전환될 경우 신장이식이 가능하였으며 이식 후 단 기간의 성적은 양호하였다. 공여 장기가 부족한 현실정에서 본 연구 결과를 응용하여 림프구 교차반응 양성 반응을 보이는 공여자도 장기 제공자로서 적극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It is well-known that kidney transplantation cannot be done if recipient has circulating antibodies showing positive lymphocyte cross-match to the organ donor. Unfortunately, these patients also show high rate of positive lymphocyte cross-match to live donors when they have donor candidates in their family members and have to be on dialysis until compatible donor comes up. We performed combination therapy with plasmapheresis, intravenous gamma globulin injection and potent immunosuppression in patients who had positive LCX to their living donors.

As results, ten patients, five women and five men who showed positive lymphocyte cross-match to their living donors, underwent the conversion trials between January 2002 and February 2003.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44.9 (35-60) years and the duration of dialyses varies from 9 to 120 months.

We used combination therapy with plasmapheresis, intravenous gamma globulin injection, tacrolimus, mycophenolate mofetil (MMF) and steroids. Kidney transplantation was preformed immediately after negative conversion of LCX as a semi-elective procedures. Five to ten day courses of ATG (or OKT3) were used as an induction immunosuppression after transplantation. Tacrolimus, MMF, and steroids were also used as a maintenance immunosuppression.

We could achieve negative conversion of LCX in nine out of ten patients, and kidney transplantations were performed successfully in these 9 patients. There was no hyperacute rejection during the operations, but acute rejection episodes developed in four patients during their early postoperative periods. Steroid pulse therapy was used as a primary therapy to treat acute rejection episodes and all four patients showed complete recovery of their graft function after the treatments.

We did successful kidney transplantation in nine patients who achieved negative conversion of LCX to their donors after the combination therapy with plasmapheresis, IV immunoglobulin, and potent immunosuppression. All patients showed excellent graft function since their operations and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complications except four reversible acute rejection episodes. Therefore, we report that the use of combination therapy in patient who has LCX positive living donor is successful. Further long-term study with more patients is needed for evaluation of the efficacy of this trial.
Files in This Item:
T00788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Surgery (외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Huh, Kyu Ha(허규하) ORCID logo https://orcid.org/0000-0003-1364-6989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69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