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3 324

Cited 0 times in

The effect of sibutramine on the serum adiponectin level in obese women

Other Titles
 비만 여성에서 sibutramine이 혈중 adipocytokine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윤수지 
Issue Date
2004
Description
Dept. of Medicine/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에서는 비만 여성에서 sibutramine이 체성분 변화와 혈중 adi- ponectin 농도 및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다른 질환을 동반하지 않은 28명의 비만 여성(BMI >25kg/m2)을 대상으로 하였고, 평균 연령은 34.5±13.7세, 평균 체질량지수는 31.0±4.1kg/m2였다. 12주간 매일 10mg의 sibutramine을 복용하도록 하였고, 공복 후 혈청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인슐린, C-peptide, 유리지방산, TNF-α 및 adiponectin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모든 환자에서 체성분석 검사를 시행하였고, 요추 4~5와 대퇴 중간수준에서 컴퓨터단층촬영을 시행하여 복부 피하지방 및 내장지방, 대퇴부 저밀도 근육 면적을 측정하였다. 체질량지수는 31.0±4.1에서 28.7±4.2kg/m2, 체지방량은 30.6±5.9에서 26.4±6.1kg, 체지방률은 37.8±3.8에서 35.0~4.3%으로 투여 8주 후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감소를 보였다(p<0.01). 복부 피하지방 및 내장지방 면적도 315.7±125.6에서 263.7±117.9cm2와 114.8±41.1에서 91.9 ±33.1cm2로 투여 8주 후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p<0.01). 반면 대퇴부 저밀도 근육 면적은 투여 4주 째부터 17.2±7.5에서 11.6±5.9cm2으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감소를 보였다(p<0.01). 인슐린 저항성 지표인 HOMA score는 2.76±1.37에서 2.20±1.12로 투여 4주째부터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p<0.01). 혈중 adiponectin 농도도 5.34±1.27에서 6.37±1.67µg/mL로 투여 4주째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p<0.01). 혈중 TNF- α 농도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12.25±2.75 to 11.47±2.39pg/mL). 본 연구에서 혈중 adiponectin, 유리 지방산, 중성지방과 HOMA score 및 대퇴부 저밀도 근육의 변화는 체중 감량을 선행하였다. 즉, 인슐린 저항성과 유리 지방산 대사의 변화가 체중의 감량보다 선행되었다. 이는 sibutramine 투여 시 혈중 adiponectin 농도가 증가되고, 여기에 유리 지방산 대사, β3-adrenoreceptors, 또는 uncoupling protein의 변화가 관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sibutramine on serum adiponenctin levels, body mass index, body composition and insulin resistance in obesity women. Twenty-eight healthy, non-diabetic, obese(BMI >25kg/m2) women(mean age: 34.46±13.67years, BMI: 31.00±4.10kg/m2)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nd designed as sibutramine 10mg, administered orally, once daily for 12 weeks period. We assessed body composition, and measured the level of serum adiponectin, TNF-α, insulin, C-peptide and various biochemical parameters. Twelve weeks of 10mg/day sibutramine treatment achieved signi- ficant decrease in BMI from 31.00±4.10 to 28.72±4.16kg/m2(p<0.01), total fat mass from 30.61±5.86 to 26.39±6.10kg(p<0.01), percent body fat mass from 37.75±3.75 to 34.99±4.30%(p<0.01). Abdominal subcutaneous and visceral adipose tissue area were reduced from 315.74±125.35 to 263.71± 117.87cm2 and from 114.77±41.14 to 91.88±33.05cm2(p<0.01). Cross- sectional area of low density muscle(LDM) at the mid thigh decreased from 17.22±7.45 to 11.58±5.90cm2(p<0.01). Insulin resistance(IR, as measured using the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decreased from 2.76±1.37 to 2.20±1.12(p<0.05). Serum adiponectin levels were increased from 5.34±1.27 to 6.37±1.67μg/mL(p<0.01). Serum TNF-α level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d(12.25±2.75 to 11.47±2.39pg/mL). In this study, the change of HOMA-IR, adiponectin, free fatty acids, triglyceride and mid thigh low density muscle preceded weight loss. Therefore, the change of insulin resistance, fatty acids metabolism and energy homeostasis preceded weight loss. It is highly likely that this is in part caused by altered fatty acid metabolism, β3-adrenoreceptors, or uncoupling protein. which is led by the increase in plasma adiponectin level.
Files in This Item:
T00783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64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