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4 471

Cited 0 times in

우리나라 기혼여성의 첫 출산간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determinants of the first birth interval among the Korean married women 
Authors
 이경애 
Issue Date
2003
Description
국제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



현재와 같이 출산력 수준이 낮을 때에는 조그마한 출산력 수준의 변화에도 사회가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다. 인구학자들 사이에서 이러한 출산력의 변화와 관련하여 출산기간에 관심이 모아져 왔다. 현재의 낮은 출산력 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출산기간의 문제-이 연구에서는 결혼부터 첫 자녀출산까지 걸리는 시간인 첫 출산간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오히려 저 출산의 시대에 더 큰 중요성을 갖는다.

이 연구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조사한 2000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사회 경제적인 특성들과 결혼연령, 결혼코호트, 첫 임신시 인공유산 경험, 남아선호, 가족의 세대형태에 따라 첫 출산간격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조사당시 임신중인 경우를 포함하여 첫 출산간격이라는 기간을 종속변수로 모형화 할 수 있는 생존분석을 이용했다.

분석결과 결혼연령이 상승할수록 첫 출산간격이 감소한다는 일반적인 주장과는 달리 1985년 결혼코호트이후에는 23-25세 준거범주에 비해 늦게 결혼할수록 첫 출산간격이 길어진다고 밝혀졌다.

결혼코호트의 효과를 잘 살펴보면 1980-84년을 기준으로 그 이전의 결혼코호트들에서 각각 모수 측정치가 음수로 준거범주보다 첫 출산간격이 길게 나타나지만 첫 출산간격 자체는 점점 짧아져 오는 경향을 보이며 그 이후의 결혼코호트들에서 첫 출산간격이 다시 점점 길어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남아선호와 가족의 세대형태에 따라서도 첫 출산간격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는 전통적인 제도나 가치도 첫 출산간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시사한다. 강한 남아선호 사상을 가진 여성들은 그렇지 않은 여성들에 비해 첫 출산간격이 짧아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고, 3세대 미만의 가정이 그렇지 않은 가정의 여성들에 비해 첫 출산간격이 길게 나타났다. 첫 임신시 인공유산경험을 한 경우의 여성들이 그렇지 않은 여성들에 비해 첫 출산간격이 길게 나타났다.

저 출산력 시대에 개인의 생애과정과 가족의 변화, 출산력을 비롯한 인구학적 측면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첫 출산간격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영문]

Korea society is susceptible to even tiny changes of the fertility rate because currently the fertility rate is low. So demographers are interested in the fertility duration. So the studies on the effects of factors influencing on the fertility duration which can affect the degree of low fertility (on this study fertility duration means the interval between marriage and the first child birth) get more important meanings in the era of low fertility rate.

This study is based on the Year 2000 Korea National Fertility Survey carried out by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We analyse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marriage age, marriage cohort, artificial abortion experiences in the first pregnancy, son preference notion and the types of family generations as independent variables. A dependent variable was the first birth interval and the survival analysis was used. The pregnant women were also included in the analysis.

This analysis showed the opposite results to the general opinion that the first birth interval decreases as the marriage age goes up. Based on the age of 23-25 As the marriage age gets higher, the first birth interval goes longer since 1985.

The results of the study about the effects of marriage cohort are as follows.

Before 1980-84, we can observe that the parameter has minus value and the first birth interval gets longer than the standard year. But the intervals between the measurements gradually get smaller. From the latest marriage cohort, we can see the first birth interval gets longer and longer. The son preference tendency and the types of family generations also give influences to the firth birth interval. This means that the traditional systems and values can affect the first birth interval. The women who strongly prefer boys to girls have shorter first birth interval than the others. And the women who consist of less than 3 generations have longer first birth period than the others. Also the women who experienced artificial abortion have longer first interval.

Our analysis suggests the necessities of ongoing research and concerns about the first birth intervals which can have major influences on personal life courses, changes of family and fertility rates in low fertility society.
Files in This Item:
T007718.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53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