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3 896

Cited 0 times in

구강설암에서 조음 및 연하기능의 술후평가

Other Titles
 Postoperative assessment of speech and swallowing functions in oral tongue cancer 
Authors
 김재원 
Department
 Dept. of Otorhinolaryngology (이비인후과학교실) 
Issue Date
2003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구강설은 구강암 중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지역이며 이 중 측면 전 2/3 부위에서 가장 잘 호발한다. 그러므로, 초치료로 수술이 시행될 때 이들 병변의 가장 적합한 수술은 부분설절제술(partial glossectomy)이나 반설절제술(hemiglossectomy)이다. 이를 위한 재건 방법으로는 이차치유나 일차봉합, 피부박층이식, 국소 또는 유리피판이 있다. 하지만, 재건이 우수하게 되었다 하더라도 연하기능이나 조음기능, 저작기능 같은 중요한 구강 기능이 수술 후 때로 심각한 장애를 보이는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구강설암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구강 기능을 보존하면서 암종을 완전히 절제하는 것은 아직도 두경부 외과의에게는 많은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구강설암환자에 있어서 술후 연하기능 및 조음기능을 평가하여 결손크기와 재건방법에 따른 술후 연하기능 및 조음기능의 소실을 예측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알아봄으로써 술후 연하기능 및 조음기능의 보존에 도움을 얻고자 하였다.

구강설암 환자 중 초치료로 수술을 시행하였고 병리 소견 상 모두 편평세포암종 이었으며 술후에 언어의 이해도, 조음의 정확도, 조음선별검사, 교대운동검사, 혀 운동성 검사 등 5단계의 조음기능 평가를 시행하였고, Modified barium swallow (MBS) test, 연하검사, 연하능력도 검사 등 3단계의 연하기능을 평가하였던 1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소견을 같이 분석하였다.

3예에서 일차봉합을 시행하였으며, 7예에서 전완유리피판술을 시행하였다. 일차봉합군은 언어기능 평가와 연하기능 평가 상 치경음에서 약간의 오조음이 되는 것 외에 나머지 기능은 정상에 가까운 수치를 보였다. 유리피판군에서는 많은 운동 제한과 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에서 오조음이 되었으나 모두 대화 가능한 범위에 속함을 알 수 있었고 연하기능 평가 상 저하된 구강설의 회전 측방운동과 많은 구강 내 잔류물, 지연 연하반사로 인한 저하된 인두벽의 움직임, 후두개곡 내의 잔류물, 불완전한 후두 거상과 폐쇄 소견과 함께 흡인 소견이 관찰되었으며 연하 능력도 역시 저하된 소견을 보였다.

결손부위와 피판크기의 비에 따른 술후 기능 결과를 살펴보면 결손 부위에 비해 2배 미만의 작은 피판이 사용된 경우 더 빠른 구강섭식과 기관캐뉼라발거가 시행되었으며 더 우수한 조음 기능 및 연하기능을 보였다.

구강설의 결손이 장경 3 cm이내이고 일차 봉합한 경우의 술후 조음 및 연하기능은 정상과 거의 같았다. 구강설의 결손에 대한 피판의 크기가 2배 이상 큰 경우 상대적으로 더 많은 무운동성 지역이 있는 구강설 조직의 움직임을 방해하고 연하반사를 지연시켜 술후 조음 및 연하기능 회복을 지연시킴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근거로 술전에 결손크기와 재건방법에 따라 술후 조음 및 연하기능을 예측하고 상담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고 피판의 작도 시 술후 기능을 위해서 좀 더 기능적인 피판 작도가 필요하리라 생각되었으나 좀 더 정확한 예측 및 상담을 위해서는 더 많은 예의 전향적인 연구와 술전과 술후를 비교 평가하는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되었다.





[영문]



Partial glossectomy or hemiglossectomy is the treatment of choice in the early stage of the oral tongue cancer because the most common site is anterior two-third of the lateral border of the oral tongue. The reconstruction methods such as secondary healing, primary closure, skin graft, local or regional flap and distant free flap have been used to reconstruct the defect of the oral tongue. Sometimes the oral cavity functions such as swallowing and articulation may be seriously disabled after surgery despite excellent reconstruction. So, preservation of the functions and oncologic resection of cancer in the treatment of oral tongue cancer are challenging problems for head and neck surgeon.

We evaluated speech and swallowing functions in postoperative stage in the patients with oral tongue cancer to help predict the postoperative status of speech and swallowing according to the size of defect and the reconstruction methods.

In the oral tongue cancer patients treated by surgery as initial management, speech function tests (speech intelligibility score, articulation score, predominant class of errors, diadochokinetic test, and tongue mobility test) and swallowing function tests (MBS test, deglutition test, and swallowing ability score) were performed and reviewed operation findings.

In the primary repair group, the speech and swallowing function test was nearly normal except mild mis-articulation of the lingua alveolars. In the free flap group, the speech function was intelligible despite impaired tongue mobility and mis-articulation of the lingua alveolars, the lingua palatals and the lingua velars. Impaired lateral tongue movement, marked stasis in oral cavity, delayed swallowing reflex on MBS test resulted in decreased pharyngeal peristalsis, stasis in vallecula, incomplete laryngeal closure and elevation and aspiration. Swallowing ability was also impaired.

In less over-reconstructed group according to tongue defect and reconstruction volume ratio, much earlier oral diet start, seal-up and more excellent speech and swallowing function were observed because adynamic portion was relatively small.

We observed that the postoperative speech and swallowing functions were not affected in the group with less than 3 cm of the tongue defect and the reconstruction with primary closure. The lingua alveolars were mainly affected on postoperative speech evaluation in primary closure and free flap group irrespective of defect volume. Speech function and swallowing functions in less over-reconstructed group were superior to those in over-reconstructed group

We will consider that this study aids in counseling the patients and predicting the postoperative status of speech and swallow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size of primary defect and the reconstruction methods. For better prediction of the postoperative functional status, we should need plans of prospective functional evaluations and comparison assessments of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status are needed.
Files in This Item:
T00760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Otorhinolaryngology (이비인후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Kim, Jae Won(김재원)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41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