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493

Cited 0 times in

Incidentally visualized bile duct during transjugular intrahepatic portosystemic shunt-can be used as landmark for portal vein puncture?

Authors
 이광훈 
Issue Date
2003
Description
Dept. of Medical Science/석사
Abstract
[한글]

목적: 관상면과 시상면의 자기공명영상을 통해서 간문맥과 담도의 위치관계를 분석하고, 경경정맥 간내 문맥정맥 단락술시 담도가 간문맥 천자의 경계표가 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대상 및 방법: 2000년 3월부터 2002년 3월 까지 경경정맥 간내 문맥정맥 단락술을 시행받은 60명의 환자들 중 우간정맥으로부터 우간문맥 또는 문맥분지 부위로 시술 된 57명의 환자들을 분석하였다. 간 종양 또는 담도 질환으로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하는 200명의 환자들에서 true fast imaging with steady-state precession (true-FISP) 이라는 촬영기법을 이용하여 간문맥과 담도의 위치관계를 분석하였다.결과: 간내 경로촬영술상 57명의 환자들 중 8명에서 (14%) 담도가 보였고, 담도조영술을 얻을 수 있었다. 이렇게 얻은 담도를 경계표로 하여 3명에서 우간문맥을 5명에서는 문맥분지 부위를 천자할 수 있었다. 자기공명영상 분석에서, 문맥분지 부위가 담도분지 부위에 대해서 179명에서 (89.5%) 후내측에 위치하였고, 13명에서 (6.5%) 후측에, 8명에서 (4%)는 내측에 위치하였다. 우간문맥은 우간내담도에 대해서 80명에서 (40%) 후하측에 위치하였고, 70명에서 (35%) 후측에 위치하였고, 50명에서는 (25%) 우간내담도가 우간문맥의 중간 부분 또는 원위부 3분의 1 지점을 횡단하였다.결론: 간문부에서의 간문맥과 담도의 위치관계에 대한 충분한 이해는 경경정맥 간내 문맥정맥 단락술을 시행함에 있어서 유용하리라 생각되고, 경경정맥 간내 문맥정맥 단락술 도중에 보일 수 있는 담도가 간문맥을 천자하는 경계표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Purpose: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rtal vein (PV) and the bile duct using coronal and axial magnetic resonance (MR) imaging and to assess whether the biliary tree can be used as landmark for PV puncture during a transjugular intrahepatic portosystemic shunt (TIPS).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2000 to March 2002, a TIPS was performed in 60 patients. In 57 of these patients, a TIPS tract was created from the right hepatic vein to either the right PV or the PV bifurcation. MR images using true fast imaging with steady-state precession (true-FISP) for evaluating anatomic relationships between the PV and bile duct were obtained from 200 patients suspected of hepatic tumor or biliary disease.RESULTS: The bile duct was visualized by tractogram in 8 of the 57 (14%) patients, and a cholangiogram was also obtained from these eight patients. Moreover, using the bile duct as a landmark, we successfully accessed the right PV in three patients and the PV at the bifurcation level in five patients. On MR images, the PV bifurcation was located posteromedially to the bile duct in 179 cases (89.5%), posteriorly in 13 (6.5%) and medially in 8 (4%) at the hepatic hilar level. The right PV was located posteroinferiorly to the right bile duct in 80 cases (40%), and posteriorly in 70 (35%). In the remaining patients (n=50, 25%), the bile duct crossed at the midpoint or at the distal one-third of the right PV.CONCLUSION: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anatomic relationship between the PV and bile duct at the liver hilum is useful for successfully performing TIPS, and the incidentally visualized bile duct during TIPS can be used as landmark for PV puncture.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55935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26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