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1 879

Cited 0 times in

진행된 특발성 파킨슨병 환자에서 시상하핵 심부뇌자극과 레보도파 투여가 운동개시시간과 운동수행시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 of subthalamic nucleus-deep brain stimulation and levodopa treatment on movemen 
Authors
 오승헌 
Department
 Dept. of Neurology (신경과학교실) 
Issue Date
2003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파킨슨병은 흑색 치밀부의 신경멜라닌 세포의 소실로 인해 진전, 운동 완서증, 강직, 체위성 반사의 소실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질환이다. 파킨슨 병에서 운동완서증이 일어나는 원인은 현재까지 확실한 기전이 알려져 있지 않지만, 반응시간검사를 이용한 이전의 연구들에서 파킨슨병 환자들은 운동 을 수행하는 능력이 저하되어 있는 것이 밝혀져 있다. 그러나 파킨슨병 환자 들에서 적절한 운동을 수행하기 위해 운동을 개시하거나 계획하는 능력에 장애가 있는지의 여부는 현재까지 확실하지 않다. 또한 파킨슨병의 임상 양상을 호전시키는 레보도파가 반응시간검사에서 측정한 운동 측정치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에서도 확실한 결론이 없다. 양측성 시상하핵 심부뇌자극술은 파킨슨병의 운동 기능 이상을 유발하는데 주요 병태생리적 요인으로 알려진 시상하핵의 과활성화를 억제하여 임상적으로 운동완서증을 포함한 파킨슨병의 임상 증상들을 효과적으로 호전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시상하핵 심부뇌자극술이 어떠한 작용으로 운동 완서증을 호전시키는지에 대한 정량적인 연구는 현재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시상하핵 심부뇌자극술을 시행한 파킨슨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시상하핵 심부뇌자극과 레보도파 투여 유무에 따라 운동개시시간과 운동수행 시간을 측정하여 운동완서증의 호전에 미치는 시상하핵 심부뇌자극과 레보 도파의 작용 기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시상하핵 심부뇌자극술을 시행한 6명의 파킨슨병 환자와 6명의 정상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시상하핵 심부뇌자극술을 시행한 환자들은 3-6개월동안 심부뇌자극과 레보도파 용량을 고정시킨 후 반응시간검사를 시행하였다. 환자군은 drug-off/DBS-off, drug-off/DBS-on, drug-on/ DBS-off, drug-on/DBS-on 상태로 나누어 단순형 반응시간검사와 선택형 반응시간검사, 시각 경고 자극을 준 단순형 반응시간검사를 시행하였다. 정상 대조군도 가상적으로 설정한 처치 상황에 맞춰 반응시간검사를 시행하였다. 운동 측정치로는 운동개시시간과 운동수행시간의 중위값을 분석하여 측정 하였고 운동계획시간은 선택형 반응시간검사와 단순형 반응시간검사의 운동 개시시간 차이로 정하였다.환자군에서 시상하핵 심부뇌자극을 가하거나 레보도파를 투여하면 파킨슨병의 임상 양상과 함께 시각 경고 자극을 주지않은 단순형 반응시간 검사, 단서를 제공하지 않은 선택형 반응시간검사, 시각 경고 자극을 준 단순형 반응시간검사 모두에서 운동개시시간과 운동수행시간이 단축되었다. 환자군에서 레보도파와 심부뇌자극을 동시에 처치했을 때 운동개시시간은 가장 많이 단축되었으나 정상 대조군에서 측정한 운동개시시간보다 유의하게 연장되었다. 운동계획시간은 시상하핵 심부뇌자극을 가하거나 레보도파를 처치하여도 유의한 호전을 보이지 않았고 시각 경고 자극을 이용하여 단축된 운동개시시간은 심부뇌자극이나 레보도파를 처치하여도 더 단축되지 않았다. 레보도파를 처치하지 않았을 때 시상하핵 심부뇌자극은 임상 양상이나 운동 개시시간, 운동수행시간의 뚜렷한 효과를 볼 수 있었으나 레보도파를 투여한 후 시상하핵 심부뇌자극을 가하면 임상 양상 과 운동수행시간의 미미한 효과 만 관찰되었고 운동개시시간은 호전되지 않았다. /이상의 효과를 종합할 때 파킨슨병 환자에서 시상하핵 심부뇌자극과 레보도파는 운동을 개시하거나 수행할 때 작용하는 효현근의 활성도를 호전 시켜 운동 개시 능력과 수행 능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생각되며 계획 능력을 조절하는 역할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시상하핵 심부뇌자극과 레보도파는 뇌기저핵의 공통된 신경로를 통하여 효현근의 활성도를 증가 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된다.



[영문]

Idiopathic Parkinson’s disease (IPD) is a neurodegenerative disorder is characterized by tremor, bradykinesia, rigidity, loss of postural reflex due to progressive loss of neuro-melanin cell in substantia nigra pars compacta (SNpc). Although the pathophysiological mechanism of bradykinesia in IPD is unclear, it is widely accepted that function of movement execution is impaired in IPD by reaction time test in previous studies. However, it is unclear whether motor initiation and pre- programming for control of volitional limb movement in IPD patients is impaired. Additionally, the effect of levodopa treatment on movement parameters by reaction time test is still controversial. Bilateral subthalamic nucleus-deep brain stimulation (STN-DBS) ameliorates motor complication including bradykinesia effectively via inhibition of overactive STN, which is the main pathophysiological factor on motor dysfunction in IPD. Here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STN-DBS and levodopa treatment on bradykinesia in IPD by assessment of movement parameter in reaction time test.Six patients with advanced IPD who performed bilateral STN-DBS surgery and six healthy control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Patients performed reaction time test from 3 to 6 months after bilateral STN-DBS surgery to fix the setting of STN-DBS parameter and dosage of oral levodopa. Patients performed unwarned simple reaction time test (uSRT), warned simple reaction time test (wSRT), and uncued choice reaction time test (uCRT) in different four treatment conditions (drug-off DBS-off, drug-off DBS-on, drug-on DBS-on, drug-on DBS-on). Controls performed the reaction time test at four different hypothetical treatment condition. Median initiation time (IT) and movement time (MT) was calculated by digitalized equipment for reaction time test. The time for motor preprogramming was calculated by the difference of IT between uSRT and uCRT. UPDRS part III was used to assess clinical motor function of IPD.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of UPDRS part III, IT and MT in uSRT, wSRT, and uCRT test in patient group after STN-DBS and levodopa treatment. Although there was maximal improvement of IT after combined treatment of STN-DBS and levodopa in patient group, significant prolongation of IT was noted in patient group compared with controls. There was no effect of STN-DBS and levodopa treatment on motor preprogramming, and ability to use visual warning information in patient group. Although there was marked reduction of UPDRS part III, IT and MT after STN-DBS during drug “off” condition, there was minimal improvement of UPDRS part III, MT after STN-DBS, and no improvement of IT after STN-DBS during drug “on” condition. In conclusion, the main effect of bilateral STN-DBS and levodopa seems to be attributed to the facilitation of rapid contraction of agonist muscle for ballistic arm movement via common neuronal pathway.
Files in This Item:
T00743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Neurology (신경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Oh, Seung Hun(오승헌)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24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