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3 681

Cited 0 times in

보건소 관리의사의 직무 만족도와 결정요인

Other Titles
 Job satisfaction and it's determinants of physicians working in health centers. 
Authors
 박유미 
Issue Date
2003
Description
보건정책 및 관리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이 연구는 보건소 관리의사들의 직무에 대한 문제점과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분석해 봄으로써 관리의사들의 이직률을 낮추고 관리의사의 역할 정립과 그 기능에 대한 활성화함이 목적이다.

공중보건의사가 아닌 관리의사가 근무하는 전국 98곳 보건소에 설문지를 보낸 후 회수한 결과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건소 관리의사는 30대, 여자 그리고 기혼이 많았고 전문의와 일반의의 비중은 비슷하였으며 계약직 의사가 74%로 의무직 의사보다 많았고 직무 만족도와의 관련성은 근무경력이 길수록 향후 보건소 근무기간이 3년 이상일 확률이 높았으나 계약직 의사인 경우는 향후 보건소 근무기간이 3년 이상일 확률이 의무직 의사에 비해 낮게 나왔다. 또한 여자가 남자에 비해 과거 일년동안 퇴직하려던 회수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왔다.

둘째, 보건소 관리의사는 지역보건사업의 기획과정에 대한 인지도는 매우 낮았고 직무 만족도와의 연관성은 건강증진사업의 인식도가 높을수록 현재 업무만족도가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제3기 지역보건계획상 우선순위를 모른다는 군에 비해 안다는 군에서 현재 업무에 대한 직무만족이 오히려 낮게 나왔다.

셋째, 보건소 관리의사는 의사 한 명당 하루 평균 진료 환자 수는 76명에서 100명 이내인 경우가 31%를 차지하였고 101명 이상인 경우도 33%를 차지하였으며 진료시간은 3분 이내가 60%를 차지하여 과다한 환자 수, 짧은 진료시간 그리고 의사의 결원이 많아 적정진료가 힘든 상황이었다.

넷째, 동료의사들과 rotation하지 않는 경우 현재의 업무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왔는데 이것은 실제 많은 보건소에서 의사들의 rotation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으로 보인다.

다섯째, 보건소 관리의사의 교육에 대한 불만족이 81%를 차지하고 소속학회에 참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지만 참여기회는 매우 낮았다. 특히 지역보건의료에 관련된 교육의 기회가 없어 앞으로 지역보건사업에 중추적 역할을 하기 위해 적절한 교육과 참여기회가 부여되어야 된다.

여섯째, 보건소 관리의사의 연봉수준은 62%에서 5000만원 미만이었고 67%에서 연봉에 대해 불만족으로 답하였다. 현재 업무에 대해 만족정도는 높지만 연봉에 대해 불만족하다고 답한 경우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왔다. 과거 일년동안 퇴직하려던 회수와 연봉 만족도와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일곱 번째, 보건소 관리의사의 입사동기는 시간적 여유가 52%로 가장 많았고 공공의료에 관심이 23%를 차지하였다. 보건소 업무에 대한 자긍심을 느끼는 정도와 소속감정도는 향후 보건소 근무기간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왔다. 자기발전의 기회는 주어지지 않는다고 답한 경우가 많았다. 승진 기회와 현재 업무에 대한 만족도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왔다. 입사동기가 시간적 여유인 군보다 공공의료에 관심인 군에서과거 일년동안 퇴직하려던 회수가 전혀 없을 확률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왔다. 보직이 필요하다는 군에 비해 필요 없다는 군에서 과거일년동안 퇴직하려던 적이 없을 확률이 통계학적으로 낮게 나왔다.

여덟 번째, 현재 관리의사의 역할이 진료서비스만 하는 계약직 직원이라고 가장 많이 답하였고 향후 바람직한 의사의 역할은 보건사업기획에 참여하면서 최소한의 진료서비스를 하는 역할이라는 의견이 높게 나왔으나 진료서비스위주의 계약직 의사라고 답한 경우도 34%를 차지하여 관리의사의 역할정립이 아직 없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보건소 관리의사들의 직무 만족도는 현재 업무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정도가 보통이 41%, 불만족이 36%, 만족이 21%를 차지하였고 향후 보건소 근무기간에 대해서는 특별한 상황이 아니면 지속적으로 근무하겠다는 의견이 36%로 가장 많았고 일년이내 그만 둘 것이라는 의견이 19%를 차지하였다. 과거 일년동안 퇴직하려던 회수가 전혀 없다는 의견이 39%를 차지하였다. 직무 만족도에 관련된 요인으로 내적 요인으로 근무경력, 의사직급, 성, 건강 증진사업 인식 정도, 업무에 대한 자긍심, 소속감, 입사동기가 있고 외적 요인으로 동료의사간의 rotation, 연봉의 만족도, 교육회수, 환자 수 그리고 성과급제도 실시유무, 승진기회 등으로

나타났다.

향후 지역보건의료의 발전을 위해 진료서비스만 담당하는 관리의사의 역할에서 벗어나 지역보건의료에 참여할 수 있는 보건소 관리의사의 역할 정립이 시급한 것으로 보이며 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현 상황에서의 관리의사의 교육, 직위, 보수와 환경의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

We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job contents, job satisfaction and it''s determinants of physicians working in public health centers. Although public health centers play a central role in regional public health projects, these centers are facing crisis due to a high turnover rate of physicians working in health center to the point where there is almost no public health projects. The issues and factors affecting on job satisfaction by physicians working in public health centers are analyzed in the present study in order to utilize the resulting data in lowering the turnover rate of

managing doctors and establishing the roles and activating the functions of physicians working in health center.

Surveys were sent to 98 public health care centers where physicians working in health center rather than public health doctors were working and the results were analysed. According to the results on job satisfaction among physicians working in public health centers, the overall degree of job satisfaction on

current job was average in 41%, unsatisfactory in 36%, and satisfactory in 21%. As for the future of working at public health centers, the majority at 36% answered that they would continue to work in the public health centers unless there is a special circumstance, 19% answered that they would quit working

within one year, and 39% answered that they had not wanted to quit for the past one year. The internal factors affecting on job satisfaction were work experience, position, awareness of health promotion project, pride on work, sense of belonging, and reason for working as a physicians workign in health enter and external factors were rotation with peer doctors, satisfaction on pay, number of training, patient number, bonus, and promotion opportunity.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regional public health, it is urgent to establish the role of doctors working in public health centers participating in local public health projects by letting these doctors to escape the role of just being doctors providing healthcare services. For this purpose, training, position, pay and work environment should be improved at the current situation.
Files in This Item:
T00740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21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