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 413

Cited 0 times in

의약분업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및 태도

Other Titles
 Attitudes and perceptions on the systems of separation between prescribing and dispensing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Authors
 윤지현 
Issue Date
2001
Description
국제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이 연구의 목적은 의약분업 제도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및 태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서 2000년 11월에 간호학, 인문사회, 자연과학 계열의 대학생 540명에 대하여 설문 조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약분업제도에 대한 지식정도는 18점 만점에 7.70점 이었다. 지식정도에 대한 문항 중 의약분업의 정의, 항생제 내성율, 실시배경에 대한 정답율이 높았다.

둘째, 의약분업제도에 대한 기대정도는 4점 만점에 2.66점 이었다. 기대정도가 높았던 문항은 '의약품 오.남용 감소로 인한 국민건강향상' 이었고, '의약품 유통 부조리해소'에 대한 기대정도가 가장 낮았다.

셋째, 임의조제에 대해서는 '금지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고 대체조제는 금지할 필요는 없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국민부담금 상승에 대해서는 반 수 이상이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의약분업 제도에 대한 정부의 정책에 대한 태도는 응답자의 대부분이 '잘못하고 있다'고 답하였고 의약분업제도의 불편정도에 대한 질문에서는 역시 응답자의 대부분이 '불편하다'고 답하였다.

넷째, 가정의 월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의약분업 제도에 대한 기대정도는 낮아졌다. 의약분업제도 실시 후 병.의원 이용경험이 있고 의약분업에 대한 관심이 있을수록 그리고 필요성 인식정도가 높을수록 의약분업 제도에 대한 지식정도도 높았다. 의약분업제도에 대한 관심이 있는 경우에 기대정도와 필요성 인식정도는 높았다. 또한 의약분업제도에 대한 지식정도가 높을수록 필요성 인식정도도 높았다.

다섯째, 건강문제에 대한 관심정도가 높을수록 의약분업 제도에 대한 기대정도와 필요성 인식정도는 높아졌고 의사에 대한 이미지 정도가 낮아질수록 의약분업 제도에 대한 기대정도와 필요성 인식정도는 높아지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 연구의 결과로 의약분업 제도에 대한 인식 및 태도와 관련되는 요인은 의약분업 제도에 대한 지식정도와 관심정도와 의사에 대한 이미지, 그리고 경제적 부담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의약분업 제도의 올바른 정착을 위해서는 의약분업 제도에 대한 지식과 관심정도를 높여 인식 및 태도를 고양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고 국민 부담금의 적정 비율을 정하는 것 또한 중요할 것이다.



[영문]Among the various factors, full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the public is considered as a critical element for ‘the new system of separation of prescribing and dispensing’ to be successfully settled down.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ttitudes and perceptions on the new system among college students and to analyze the associating factor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carried out for the study population of 540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uman civilization, natural sciences, and nursing in Seoul. Frequency distribution was performed to examine overall attitude and level of knowledge on the new system among the study population. To find out factors associated with the attitudes and the level of knowledge, chi-square test, t-test, and ANOVA were conducted.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mean score for the knowledge on the system was 7.70 on a scale of 18, implying the relatively low level of knowledge. The mean score for the expectation on the systems was 2.66 on a scale of 4. The respondents showed high expecta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people’s health status due to reducing misuse and overuse of medicine’ as the effect of the system. However, they didn’t highly expect the system to effectively control the corruption related to the distribution channel of the medicine. Most of the respondents agreed the prohibition of voluntary prescribing by pharmacists, but didn’t think for the prohibition of substitution of prescribed medicines to be necessary. Over half of them had negative opinion on the increase of financial burden as a result of the new system. Criticism about government’s policy and complaint about inconvenience of the system were prevalent opinions. The knowledge level of the system was high among those who had experienced hospital visits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had high interest in the system, or expressed high necessity of the system. People having higher interest in their health problems or less positive impression on physicians showed higher expectation as well as higher perceptions of the necessity of the system.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factors influencing the attitudes and perceptions on the new system were the level of knowledge on the system, personal interest in the system, overall impression on physicians, and financial burden for the medical care.
Files in This Item:
T00654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38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