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35 948

Cited 0 times in

용접 작업 근로자들의 안면보호구 착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Other Titles
 Factor analysis affecting to wearing of person protective equipment in welding workers 
Authors
 이태영 
Issue Date
2001
Description
산업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일상적 작업환경 속에서 다양한 유해물질에 노출되고 있는 근로자들의 건강 보호를 위해 지급되고 있는 보호구의 착용은 근로자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효과를 거두기가 매우 어렵다. 하지만, 근로자들의 보호구에 대한 인식 및 보호구 착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체계적으로 분석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해물질 노출 방지를 위해 일차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보호구 착용에 대한 근로자들의 지식, 태도와 보호구 착용에 대한 행동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보호구 착용을 증진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실시하였다. 근로자들의 호흡 보호구 착용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Kimlin(1999)이 제기한 건강신념모델의 일곱 개의 중요 구성요소들 중 연구의 조건과 부합한다고 생각된 행동에 따른 이익에 대한 인식(Perceived benefit), 장애에 대한 인식(Perceived barrier), 위험에 대한 인식(Perceived risk), 질병 노출 가능성에 대한 인식(Perceived susceptibility), 내/외적 행동 유인(Inter/external cue)과 인구학적 변수 및 추가 질문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2000년 11월 1일부터 20일까지 우리 나라 한 조선소에 종사하는 용접 작업자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이중 178부를 수거하였다. 수거된 설문지 중 내용이 부실한 12부를 제외하고 166부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응답자들의 평균 연령은 36.3세(표준편차 8.4), 부서별로는 조립부가 전체의 78명(46.9%)을 차지하여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응답자들의 일일 평균 작업시간은 9.38시간(표준편차 0.82)이었고, 평균 근속 연수는 10.9년(표준편차 5.8년)이었다.

노동조합 및 회사의 안전보건활동에 대해서는 만족한다는 비율이 각각 16.9%와 9.6%이었던 반면, 만족스럽지 않다는 비율은 24.7%와 37.9%를 나타내어서 정책적인 수정이 필요함을 제기하고 있었다.

보호구 착용에 따른 가장 큰 불편함으로 숨이 참(39.8%), 땀이 남(38.6%)의 순 으로 답하였고 보호구 착용율을 높이기 위한 대책으로는 품질개발(62.0%)을 제시하였다. 행동 요인과 다섯 가지의 요인들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닫힌 공간에서의 보호구 착용 행위는 노출감소(p=.012)에 대한 이익, 노출가능성(p=.000), 구호제창(p=.009)이, 온도가 높은 조건에서도 보호구를 착용하는 행위는 노출가능성(p=.000), 구호제창(p=.008), 짧은 작업 시간에도 보호구를 착용하는 행위는 노출가능성(p=.000)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일반적 변수와 보호구 착용 행위간의 교차 분석 결과 교육 수준(p=.062)과 직업력(p=.007)은 닫힌 공간에서의 보호구 착용 행위와, 교육 횟수(p=.088)는 짧은 작업 시간 보호구 착용 행위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을 이용하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위험에 대한 인식, 장애에 대한 인식, 이익에 대한 인식의 표준화 회귀계수는 각각 .26, -.33, .10을 보여 보호구를 착용하고 작업할 때 느껴지는 장애가 보호구 착용 행위에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있었다.

분석 결과로 볼 때 보호구 착용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첫째, 보호구를 착용하고 작업할 때 느끼는 기능적이고 감정적인 장애를 낮추어야 하고, 둘째, 용접 작업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노출 가능성에 대한 적극적인 교육을 제기되고 있다.



[영문]Protective equipment have provided to protect worker's health that threatened by various harmful materials. However, it is impossible to obtain its purpose without worker's participation.

Up to now, there is a little analysis to the worker's perception on protective equipment and the factors affecting to wearing it.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er's knowledge, attitude and their act concerning wearing protective equipment which were needed primarily to prevent exposure in welding workers of an shipyard company in November 1-20 200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ed to worker's act and to assist on developing the systemic program for promoting the rate of wearing equipment devices.

Major concepts are based on Kimlin(1996).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the demographic, perceived benefit, perceived barrier, perceived risk, perceived susceptibility, inter/external cue, and act.

The average age and daily working hour, work year of respondent(n=166) is 36.3yr, 9.38hr/day, 10.9yr respectively. Difficulty breathing(39.8%), sweating(38.6%) are pointed as big troubles from wearing protective equipment, and improvement the quality of equipment(62.0%) considered as a top countermeasure to increase the act.

The result of crosstabs between act and other five factors shows that the perceived benefit of decreased exposure(p=.012), perceived susceptibility of exposure(p=.000), chant slogan(p=.009) are affecting significantly to wearing equipment in closed working space, and perceived susceptibility of exposure(p=.000) and chant slogan(p=.008) are affecting significantly to wearing equipment at the high temperature day, and perceived susceptibility of exposure(p=.000) is significantly affecting to wearing equipment during short-term working hour. Also,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education level(p=.062), work year(p=.007) and the wearing equipment in closed working area, and between education number(p=.088) and the wearing equipment during short-term working hour.

Standardized regression weights of perceived risk, perceived barrier, perceived benefit are .26, -.33, .10 respectively. Then, Perceived barrier is the major factor affecting to act.

Consequently, in order to increase the wearing rate, First, lessen the technical barrier the equipment and the psychological resistances presented by worker. Second, strengthen the education on the possibility of exposure coming from welding.
Files in This Item:
T00653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38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