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549

Cited 0 times in

외상성 주관절 탈구에 대한 임상적 고찰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민병현-
dc.date.accessioned2015-11-22T06:49:19Z-
dc.date.available2015-11-22T06:49:19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6481-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주관절의 외상성 손상은 소아와 성인에서 비교적 흔히 볼 수 있으며 이중주관절 탈구는 소아에서는 가장 흔한 탈구이며 성인에서는 견관절 탈구 다음으로빈도가 높은 탈구이다. 또한 주관절 탈구는 치료의 성적이 좋고 합병증도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소아와 성인의 주관절 구조는 생역학적으로 차이가 있어 탈구의 기전과 치료 원칙은 달라져야 한다고 추측되는바, 본 연구에서는 1983년 1월 부터 1987년 12월 까지 연세의료원 정형외과에서 치료하였던 58 예의 주관절탈구 환자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주관절 탈구는 총 68예증 남자가 45예 (66%)로 더 많았으며, 소아가 27예 (40%), 성인이 41예 (60%)였다. 2. 연령분포는 소아에서 4-7세애서 가장높고 성인에서는 26-36세에서 가장 많았으며, 45세 이상 노년층에서는 빈도가 낮았다. 3. 손상원 인은 낙상이 가장 많았다. 4. 탈구유형은 후방탈구가 소아와 성인에서 각각 8예 (30%), 16예 (39%)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후외방과 후내방 탈구가 많았다. 5. 소아에서는 부수골절이 성인보다 많이 동반되었으며 (52%), 성인에서는 동반 손상이 많았다 (전7). 6. 치료는 대부분 도수정복술과 장상지 석고 고정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7. 탈구 정복후 고정 기간은 평균적으로 소아에서 짧았으며, 부수골절이 동반된 예에서도 비교적 짧은 고정 기간을 요했지만, 성인에서는 평균 고정기간이 길고, 동반 손상이 많아 4주 이상의 장기 고정을 한 경우가 많았다. 8. 소아에서 3주 이내 고정한 예에서는 운동범위 제한을 별로 보이지 않았으나 (8%), 4주이상 고정한 예에서는 4예 (14%)에서 헌저한 운동범위 제한을 보였으며, 성인에서 1주이내 고정한 예에서는 운동범위 제한이 멀었으나, 2주이상 고정기간이 길어질수록 운동범위 제한이 심해졌다. 9. 소아에서는 치료의 걸과가 좋았는데, 특히 운동범위각도가 적었으며, 다른 합병증의 발병률도 낮았다. 10. 관절운동역의 제한은 신전에서 가장 많았으며, 신전이 같이 온 경우가 많았다. [영문] Traumatic afflictions of the elbew are so common in both adults and children that the frequeney of elbow dislocation is in second to that of the shoulders. Its treatment is so standardized and its complications are well recognized.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biomechanics of elbow structure of children and adult. We had analized clinically 68 cases of acute dislocation of elbow joint who were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from January 1983 to December 1987.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ost prevalent age were 4-7 years old in children and 26-35, years old in adult. 2. The major mode of injury was slip down accident. 3. The most common type was posterior dislocation. 4. .Accessory fractures were more common in child and associated injuries were more common in adult. 5. Good results were obtained from closed reduction and long arm cast immobilization. 6. Immobilization period was shorter in child eyers though in cases combined with accessory fracture . 7. There were few limitation of notion in children which were immobilized within 3 weeks and in adult which were immobilized within 1 week. But the more prolonged immobilization period, the severe limitation of motion was note. 8. There were less complications in child. 9. The most common mode of limitation of motion was extension.-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외상성 주관절 탈구에 대한 임상적 고찰-
dc.title.alternativeClinical study of traumatic fracture and dislocation of the elbow joint-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4433-
dc.contributor.alternativeNameMin, Byoung Hyou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