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1082

Cited 0 times in

환아의 정체관장 수행시 수면유도 관련요인 조사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factors related to sedation using retention enemas 
Authors
 박영열 
Issue Date
1991
Description
간호학교육/석사
Abstract
[한글]

인지능력이나 언어능력이 발달되지 않아 검사에 비협조적인 행동이나 반응을 나타내는 환아에게 안전하고 정확한 검사가 수행되게 하기 위해서 수면을 유도하는 것은 필요한 기술이다. 이에 본 연구는 환아의 검사전 준비로서 정체관장을 이용하여 수면상태를 유도한 결과를 알아보고 이에 관련된 요인들을 파악하여 간호면에서는 시간과 노력을 줄이며 환아에게는 고통을 경감시키고, 안전하고 정확한 검사가 시행될 수 있도록 효과적인 간호중재를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990년 10월 8일부터 11월 3일까지 Y대학 부속병원 소아과 입원했거나 외래를 방문하여 검사 전 준비로서 정체관장을 수행한 환아 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연구자가 작성한 check list를 사용하여 정체관장을 수행하는 과정과 결과를 관찰측정하고, 보호자와의 면담을 통하여 이루어 졌다.

수집된 자료를 근거로 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관장방법의 양상, 수면유도결과는 실수와 백분율, 평균으로 산출하였고, 조사된 변인에 따른 수면유도결과의 차이는 x**2-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현재 임상에서 적용되고 있는 정체관장 방법의 양상에서는 6 Fr의 Catheter를 사용한 60.9%로 가장 많았으며, 용액을 주입하기 위해 직장내 삽입된 Catheter의 길이는 평균 7.26㎝로, 5.1-7.5㎝삽입한 경우가 35.5%로 가장 많았다.

주입한 용액의 양은 환아의 체중에 따라 결정되었고, Catheter에 용액이 남아 있지 않게 하기 위해 주입하는 공기의 양은 평균 2.64cc로 1-2cc주입한 경우가 73.3%로 높게 나타났다.

용액주입에 걸린 시간은 평균 5.31초로 평균 용액주입양과 비교할 때 1초에 1.07cc씩 주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액주입시 자세는 좌측와위가 44.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용액정체시 자세는 다리를 펴서 일직선이 되게 한 경우가 68.9%로 다리를 구부린 경우 31.1%보다 높게 나타났다.

용액정체 방법으로는 항문을 눌러준 후 양쪽 엉덩이를 잡아 준 방법이 75.6%로 항문만을 눌러준 방법 24.4%보다 높게 나타났다.

용액을 정체시키기 위해 항문을 눌러준 시간은 평균 199초이며 241초 눌러준 경우가 31.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수면유도결과

총 45명의 환아를 수면유도한 결과 성공은 44.4%로 배변이 되고 수면이 유도된 경우가 4.4%, 배변이 안되고 수면이 유도된 경우가 40.4%로 나타났고, 실패는 55.6%로 배변이 되고 수면이 유도되지 않은 경우가 40.0%, 배변이 안되고 수면이 유도되지 않은 경우가 15.

6%로 나타났다.

평균수면유도시간은 368초이고, 평균배변시간은 137초로 나타났다.

3. 환아의 상황 및 관장방법에 따른 수면유도결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관장시 환아의 상태(x**2=12.48, p〈0.01), 직장내 삽입된 Catheter의 길이 (x**2=11.02, p〈.01), 주입된 공기의 양(x**2=4.61, p〈.05), 용액주입에 걸린 시간(x**2=12.48. p〈0.01), 용액 정체시 자세(x**2=7.48, p〈0.01), 용액 정체방법(x**2=4.06, P〈0.05), 용액을 정체시키기 위해 항문을 눌러준 시간(x**2=16.31, p〈.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수면유도에 관련된 요인으로 확인된 변수 중 간호중재가 가능한 요인을 실무에 적용시키는 연구를 계속함으로써 성공적으로 수면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정체관장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The inability of most pediatric patient to remain motionless has necessitated the use of sedation technique for children and infants undergoing procedures.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dentify factor which are related to sedation using retention enemas.

The subjects were forty-five children who were given retention enemas in preperation for procedure at Y.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The date were collected during the 26days from October 8 to November's 3, 1990.

The tool used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It included questions on Sex, Age, Weight, Diagnosis, the child's general state, duration from the last defecation to th time of the enema, catheter size, the length of inserted catheter, the amount of

solution, the amount of air, the time required for infusing. retention method, position during retention state, position during infusing state, duration of the pressure was exerted on the anus to aid retention, the time required for sedation, the time required for defeca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numbers, percentages, means x**2-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1. Sedation was successful for 44.4% of the subjects but failed for 55.6%.

For 40.0% of the subjects defecation took place and there was no sedation, but for 15.6% of the subjects there was nodefecation and no sedation.

For 4.4% of the subjects although there was defecation there was sedation, and for 40.4% there was sedation with no defecation.

2. The mean time for sedation was 368 Sec.

The mean time for defecation was 137 Sec.

3. After analysis of relation between the measured factor and Seda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child's general state (x**2=12.48, p<.05), the length of inserted Catheter (x**2=11.02 p<.01), amount of air (X**2=4.51, p<.05), the time required for infusing (x**2=7.56, p<.01), the position during the retention (x**2=7.48, p<.01), the retention method (x**2=4.06, p<.01), duration of that pressure was exerted on the anus to aid retention (x**2=16.31 p<.01).

From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suggested: A more effective retention enema method can be developed which will lead to successfully sedation state by continuing this kind of research.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8385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646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