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581

Cited 0 times in

편마비환자가 인지하는 가족지지와 양질의 삶(quality of life)과의 관계 조사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family support perceived by hemiplegic patients and quality of life 
Authors
 이순규 
Issue Date
1987
Description
간호학교육/석사
Abstract
[한글]

최근 의학의 발달과 생활환경조건의 향상으로 인간의 평균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성인층 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성인층 장애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이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장애를 가진 환자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편마비환자의 재활에 필수불가결한 요소인 가족지지정도와 일상생활에서 얻는 만족이라고 할 수 있는 양질의 삶(Quality of Life)정도에 대하여 분석 및 그 관계를 규명해봄으로써, 간호원이 편마비환자의 양질의 삶정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그들의 지지자원을 활용할 수 있게 도와주며, 현실적인 간호목표와 전략을 수립해 나가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에 위치한 5개의 대학부속종합병원에 입원한 환자와 재활의학과 외래를 내원하는 편마비환자 68명이었다. 자료수집기간은 1987년 5월 8일부터 5월 21일까지 이었고, 자료수집방법으로는 질문지를 이용한 면접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인지된 가족지지측정도구와 양질의 삶측정도구(Quality of Life Sale:QLS)를 사용하였다. 인지된 가족지지측정도구는 최가 결핵환자를 대상으로 사용한 도구에 편

마비상황에 해당하는 내용과 항목을 첨가하여 21문항으로 개발하였고 내용타당도 및 신뢰도 검정을 하였으며, 양질의 삶측정도구는 미국 National Conference on Cancer Nursing에서 제정된 Q.L.S를 연구자가 번역하여, 편마비상황으로 문항을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산통계터리하여 이수, 백분율,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평균평점, X**2-test, t-test, ANOVA, ANC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등의 통계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인지된 가족지지정도는 최소값이 55점이고, 최대값이 105점이며 평균이 87.721이었다.

2. 대상자의 양질의 삶정도는 최소값이 40점, 최대값이 215점, 평균이 131.368점이었고 평균평점이 5.713이었다. 각 영역별로는 신체적안녕영역의 평균평점은 5.419, 진단 및 치료에 대한 반응영역의 평균평점이 6.514, 정신적안녕역역의 평균평점이 5.726, 사회적

관심영역의 평균평점은 5.985, 신체상에 대한 관심영역의 평균평점이 4.982로 나타났는데,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낸 것은 진단 및 치료에 대한 반응영역이었고,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낸 것은 신체상에 대한 관심영역이었다.

3. 대상자가 인지하는 가족지지정도와 양질의 삶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2716, p<.05).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인지하는 가족지지정도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및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중 연령이 높을수록 진단 및 치료에 대한 반응영역의 양질의 삶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R=-.2348, P<.0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중 남자의 경우 신체적 안녕영역의 양질의 삶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2.11, P<.0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중 종교와 사회적관심영역의 양질의 삶정도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3.256, p<.0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중 직업과 정신적 안녕영역의 양질의 삶정도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2.502, p<.0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중 주요 가족지지제공자와는 신체적 안녕영역과 진단 및 치료에 대한 반응영역의 양질의 삶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3.273, P<.05), (F=2.659, p<.05).

결론적으로 편마비환자가 이지하는 가족지지정도가 양질의 삶정도와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가중에서도 정신적 안녕영역, 사회적 관심영역, 신체상에 대한 관심영역에 관계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영문]

With the recent remarkable economic progress and the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 the average span of man's life has been lengthened. But the number one health problem is chronic illness.

There is an increasing awareness the importance of quality of life among people with long-term health problem such as hemiplegia which is often associated with some degree of disability.

This study was an attempt to help nurses to utilize supportive resourses of patient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s with hemiplegia and to give nurse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realistic nursing goals and strategies by analyzing family support which is essential to the rehabilitation of hemiplegic patients. And quality of life that is a satisfaction gained from activities of daily lif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these variables. The subjects were 68 hemiplegic patients. They were both inpatients and

outpatients of rehabilitation departments in five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Data was collected from May 8 to 21, 1987.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the data.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perceived family support scale and the Quality of Life Scale. The perceived family support scale was a 21-item which was modified by adding some items for hemiplegic situation to the instrument used for T.B. patients and test its reliability. For the Quality of life scale, the author translated the Q.L.S. into Korean then reconstructed its item for the hemiplegic situation.

The data was analyzed by means of the spss program using percentile, mean, standard deviation, mean for the each area, X**2-test, t=test, ANOVA, ANC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s for the subjects' perceived family support score, the minimum score was 51, the maximum score was 105 and mean was 87.721.

2. For the Quality of Life Scale, the minimum score was 40, the maximum score was 215, mean 131,368 and mean for the each other 5.713. For each area of Quality of Life, mean for the each area of physical well-being 5.149, the diagnosis/treatment response 6.514, psychological well-being 5.726, social concernes 5.985, body image concerns 4.9823.

3.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revealed between the subjects'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r=.2716, p<.05).

4.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 correlation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perceived family support.

5. The analyzed results of the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each area of Quality of Life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s:

Age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negatives statistical difference in relation to the diagnosis/treatment response(r=-.2348, p<.05)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was noted between religion and social concernes(f=3.256, p<.05).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was noted between the subjects' job and psychological well-being(f=3.273, p<.05), and diagnisis/treatment response(F=2.659, p<.05).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family support perceived by hemiplegic patients correlates with the quality of life and especially correlates with the area of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concerns and body image.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645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