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414

Cited 0 times in

임상 간호원의 사회적 지지도와 직업만족도 및 소진정도와의 상관관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levels among clinical nurses 
Authors
 이해옥 
Issue Date
1987
Description
간호학교육/석사
Abstract
[한글]

최근에 들어 사회적 지지라는 개념이 하나의 중요한 정신사회학적 변수로 대두되고 있다.

사회적 지지는 한 개인이 다른 개인이나 단체, 지역사회에 사회적 결속을 통하여 얻는 지지를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 간호원의 사회적 지지의 형태와 정도를 파악하고, 사회적 지지도와 직업만족도 및 소진정도와의 관계를 밝혀 보므로서 임상간호원의 소진정도를 중재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Y의과대학부속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원 12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도구로는 구조화된 Norbeck의 사회적 지지측정도구, Paula의 건강인력을 위한 직업만족측정도구, Pines의 소진정도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1987년 4월 8일부터 동년 4월 15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일반적 특성은 백분율, 빈도로 산출하고, 제 변수측정에는 평균평점, 일반적 특성과 제 변수와의 관계는 ANOVA, 가설검증은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cy의 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설검증에서는

제1가설, "사회적 지지도가 높으면 직업만족도는 높을 것이다."는 기각되었다.(r=.0627, p>.05)

제2가설, "사회적 지지도가 높으면 소진정도는 낮을 것이다."는 기각되었다.(r=-.0928, p>.05)

제3가설, "직업만족도가 높으면 소진정도는 낮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r=-.4900, p<.001)

2.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도와 직업만족도, 소진정도는 아래와 같다.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의 형태는 가족, 친척이 전체 지지망의 25.6%로 가장 많았고, 친구가 24.1%, 학교동료가 13.6%, 배우자, 애인이 11.7%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도는 전체점수 353.859, 표준편차 190.845였다.

대상자의 직업만족도는 최대평점 5점에 2.832점을 나타냈고, 소진정도는 최대평점 7점에 3.33점을 나타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제 변수와의 관계는 사회적 지지도는 종교와 유의한 관계를 보여(F=4.984, p<.001) 종교를 가지고 있는 간호원이 사회적 지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종교는 직업만족도(F=3.087, P<.05), 소진정도(F=3.639, P<-05)와도 유의한 관계를 보여 종교가 직업만족도, 소진정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만족도는 결혼여부와도 유의한 관계를 보여(T=-2.03, P<.05) 기혼이며 종교를 가지고 있는 간호원이 직업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진정도는 종교, 결혼여부(T=2.33, P<.05), 경력(r=-1.507, P<.05)과 유의한 관계를 보여, 기혼이며 종교를 가지고 있고 경력이 많은 간호원에게 소진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사회적 지지도와 직업만족도, 소진정도는 유의한 관계가 없었으나 사회적 지지의 상실면과 직업만족도와는 깊은 관계가(r=-.3370, P<.05) 있는 것을 알수 있었다. 그러므로 간호원의 직업만족을 높여 줄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 및 행정적 지지를 통해 간호원의 소진정도를 낮추고 간호의 질을 높여 간호전문직 발전을 꾀하여야 하겠다.

[영문]

In recent years, the concept of social support has emerged as a major psychosocial variable. Social support means support that an individual achieves by means of a cohesion of another individual group or community. This study was done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kinds and extent of social support of the clinical

nurses, and further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of social support, job satisfaction and the burn-out leve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8 clinical nurses who work at General Hospital of Medical college of Y university.

The study method was a structure Questionnaire for the social support (Norbeck Social Support Questionnaire: NSSQ), developed by Norbeck et al, Job satisfaction scale developed by Paula et al., and Burn-out scale developed by Pines et at. This study has done a pretest and an internal reliability consistency test through item analysis.

Data was collected from April 8 to 15, 1987.

Analysis of the data was done by use of Mean, Frequency, ANOVA,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Using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hypothesis, it was found is follows:

1) The first hypothesis, "the higher social support, the higher job satisfaction," was rejected. (r=0627, p>.05)

2) The second hypothesis, "the higher social support, the lower burnout level," was rejected (r=-.0928, p>.05)

3) The third hypothesis, "The higher job satisfaction, the lower burn-out level." was accepted.(r=-.4900, p<.001)

2. The extent of social support is as follows:

An analysis of social support shows that family and relatives placed 25.6%, followed by 24.1% of friends, 13.6% of school associates, and 11.7% spouse or partner.

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uch variables as social support and religion was significant at .05 level.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satisfaction, religion and marrital status were significant at .05 level.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burn-out level, religion, marrital status and work experience were significant at the .05 level. In Summary

of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level, loss aspect of soci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had been correlated strongly.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establish an administrative support as a mean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of nurses.

This administrative support should be aimed at developing the nursing profession not only by reducing the burn-out level but by bettering the quality of nursing.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921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644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