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2362

Cited 0 times in

노인의 근관절 운동이 자가간호 활동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he range on motion exercise on selfcare activities and depression 
Authors
 신재신 
Issue Date
1985
Description
간호학과/박사
Abstract
[한글]

인구의 노령화 문제는 선진국에서 이미 당면한 과제로 전세계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도 노인의 건강을 비롯한 여러가지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노인의 신체적 약화는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불안, 우울, 고통으로 이끄는 요인이 되고 있기 때문에 노화과정에 따르는 육체적인 무능력은 노인을 의존적으로 되게 하고 이러한 노화과정에 적응하지 못하면 양가감정(ambivalence)을 갖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노인에게 중요한 간호는 필요한 것을 돌봐주는 동시에 더 심한 퇴행을 막고 나머지 능력을 유지하는 것을 돕는 일이다. 그러므로 노인 스스로 자가간호 능력을 높이는 방법을 배우고 실천하여 능동적이고 긍정적인 생활을 하도록 오렘의 자가간호이론을 근거로 노인간호 현상과 연결하여 노인의 근관절운동이 자가간호 활동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봄으로써 노인간호 중재 방법을 모색하고자 유사실험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노인의 ,근관절운동이 자가간호 활동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건강통제위에 따라 근관절운동이 자가간호 활동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자가간호 활동과 우울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은 1984년 12월 15일부터 부산시내E-양로원에 입소한지 1개월 이상된 60세이상의 남녀 노인으로서 일상생활 활동이 부자유스럽거나 도움이 필요한 72명을 짝을 짓는 방법과 무작위 선정방법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을 배정하여 운동시작 1주전에 두군의 일상생활 활동점수, 우울점수, 건강통제위, 일반적 특성을 조사하고 실험군에게만 6주간의 근관절운동을 시키고 근관절운동 훈련이 끝난 1주후에 두군 모두 일상생활 활동점수와 우울점수를 재측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일상생활 활동점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Kuriansky F. 등에 의해 개발된 일상생활 활동 측정도구를, 우울점수는 Beck의 우울측정도구, 건강통제위는 Wallston 등에 의해 개발된 건강통제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근관절운동 훈련내용은 여러 문헌고찰을 통해 능동적, 수동적 운동을 내용으로 하여 Orem의 자가간호 이론의 지지교육체제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노인의 근관절운동이 자가간호 활동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t-test와 ANCOVA로 건강통제위에 따라 근관절운동이 자가간호 활동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서는 ANCOVA로 근관절운동과 자가간호 활동 및 우울 3변 인간의 관계는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경로분석을 하였다. 또한 자가간호 활동과 우울간의 관계는 단순상관관계분석을 했으며 실험군, 대조군의 주요 변인간의 비교는 t-test로 비교하였다.

연구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1. 노인의 근관절운동이 자가간호 활동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가설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 1 가설 : 근관절운동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자가간호활동점수가 높을 것이다 라는 가설1은 t-test 결과 t=2.95, p<.01로 지지되었다.

·제 2 가설 : 근관절운동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우울점수가 낮을 것이다 라는 가설2는 지지되지 않았다( t=1.33, p>.01), ( F=.617 p>.05). 또한 근관절운동이 우울감소에 미치는 영향이 자가간호활동 증진에 의한 간접적 영향인지 혹은 직접적인 영향인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근관절운동, 자가간호활동, 우울, 3변인간의 관계를 중다회귀분석을 통한 경로분석을 한 결과 근관절운동이 우울감소에 미치는 영향은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건강통제위에 따라 노인의 근관절운동이 자가간호활동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가설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 3 가설 : 근관절운동을 받은 내적 통제위의 실험군은 근관절운동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자가간호활동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본래의 자가간호활동점수를 통제한 ANCOVA 검증결과 내적통제위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자가간호활동점수가 유의하게 증진되었으며(F=5.43, p<.05), 의존성 통제위군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가설3은 지지되었다( F=.029, p>.05).

·제 4 가설 : 근관절운동을 받은 내적통제위 실험군은 근관절운동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우울점수가 낮을 것이다 라는 가설4는 지지되지 못하였다. 즉 건강통제위에 따라 우울감소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F=.001, p>.05).

3. 자가간호활동과 우울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가설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 5 가설 : 자가간호활동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점수는 낮을 것이다 라는 가설5는 단순상관관계 분석결과 역상관이 있는 것으로 지지되었다.(운동전 r=-.281, p≤.01, 운동후 r=-.298, p≤.01).

위의 가설검증을 통해서 노인의 근관절운동은 자가간호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으나 본래의 자가간호활동 정도가 자가간호활동을 회복, 증진시키는데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얻었다. 또한 노인의 근관절운동이 본래의 우울점수를 통제한 ANCOVA 검증결과 우울감소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실험군에서 운동후 우울점수가 t-검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통제위에 따라 내적통제위 실험군은 운동후 자가간호활동이 증진되었다. 또한 자가간호활동 정도와 우울간에는 역상관이 있었으며 근관절운동과 자가간호활동 우울 3변인간에는 근관절운동이 우울감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근관절운동을 하면 자가간호활동이 증진되지 않아도 우울은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노인의 근관절운동은 자가간호활동을 증진시키고 우울증을 감소시키는 간호중재 방법으로 적응될 수 있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영문]

This study attempted of clinical Quasi-experiment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range of motion exercise on self care activities and depression among the E-Institutionalized elderly in Pusan.

The purpose is to test the effect of the range of motion exercise on self care activities and depression, and the effect of it terms of health locus of control, and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self care activities and depressio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72 old persons, men and women who are over 60, residing at E-Institution in Pusan.

As a research method, 72 elderly were divided into experinental and control group by matching and randomization assignment .

The instrument for this study were the performance test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 developed by F.Kuriansky and B.Gurland,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developed by A.T.Beck. and Walls ton's health locus of control scale.

The active-passive range of motion exercise program was developed and utiliz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for this study.

The data used here were collected from Dec. 15, 1984. to Feb.26, 1985. The t-test and ANCOVA were used for the test of hypotheses Ⅰ, Ⅱ, related to the effect of the range of motion exercise on self care activities and depression.

For find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range of motion exercise, self care activities and depression, path analysis was done through multiple regression.

The interrelationship of the variables was analysed by t-test.

The results of the five hypotheses can be summarized as for lows.

1. Hypothesis Ⅰ was accepted by t-test (t=2.95, p<.01)

; The performance score of self care activities of the experimental group to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2. Hypothesis Ⅱ was not supported by t-test, ANCOVA(t=1.33, p>.01), (F=.617 ,p>.05)

; The depression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is b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3. Hypothesis Ⅲ was accepted by ANCOVA(F=5.43, p<.05)

; The performance score of daily living activities of the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in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4. Hypothesis Ⅳ was not supported by ANCOVA. (F=.001. p>.05)

;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pression score by health locus of control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5. Hypothesis Ⅴ was accepted by pearson correlation test.(pre exercise : r=-281, p<.001), (post exercise : r=-.295. p<.001)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ore of self care activities and depress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The obtained results clearly show that the effects of the range of motion excercice on selfe care activities and depression would be beneficial for elderly and also for the internal health lotus of control group.

It was revealed that the relation between the score of selfe care activities and depress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and the range of motion excercice on depression had the direct influence to depression.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care activities and depression was not causal relation. Also it is conclude that the range of motion excercice can be applied for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self care activities and to reduce deppression of the elderly.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4648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641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