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80 879

Cited 0 times in

일 직장 근로자들이 인지한 건강상태, 건강행위 실천정도와 건강증진 프로그램 요구도와의 관계

Other Titles
 (A) study on the health promotion needs in company employees 
Authors
 윤경희 
Issue Date
2000
Description
지역사회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일 직장 직원의 건강증진 요구를 파악하고 그 관계의 분석을 통하여 직장내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은 일 직장에 근무하는 전 직원 중 불충분한 자료를 제외한 225명이었고, 자료수집기간은 1999년 6월 15일 부터 6월 25일 까지 실시하였다.

연구의 도구는 김의숙외(1996)가 개발한 구조화된 자가보고형 질문지를 기본으로 연구자가 문헌고찰을 통하여 수정 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를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남자가 79.6%, 여자가 20.4%로 남자가 많았으며, 연령은 21세에서 58세 까지로 평균연령은 36.5세 였다.

교육수준은 고졸이상이 99.6%로 높은 교육수준을 보였으며, 기혼이 81.3%이며, 49.7%가 종교를 가지고 있었다.

2. 연구대상자의 인지된 건강상태는 대체로 건강하다가 47.1%로 가장 많았다.

3. 연구대상자의 건강행위는 흡연율이 47.1%였고, 음주율은 81.6%이었다.

연구대상자의 운동정도는 12.9%가 주 3-4회 이상, 28.0%가 주1-2회 운동하고 있었으며, 59.1%가 운동을 거의 안하고 있었다.

4. 대상자의 직업적 특성으로 근무년수가 10-14년이 24.8%로 가장 많았으며, 업무만족도는 보통의 경우가 48.4%로 가장 많았고, 만족하는 경우가 39.1%였고, 불만족하는 경우가 12.4%였다.

5.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는 가장 높은 프로그램이 운동프로그램(73.3%)이었으며, 다음은 스트레스관리(60.4%), 체중조절 및 관리(40.0%), 암예방(35.1%), 금연(25.8%), 당뇨(15.6%), 고혈압(13.8%), 절주(12.9%)의 순이었다.

6.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의도는 가장 높은 프로그램이 운동 프로그램(63.1%)이었으며, 다음은 스트레스관리(54.7%), 체중조절 및 관리(32.9%), 암예방(32.9%), 금연(22.7%), 당뇨(15.1%), 고혈압(11.1%), 절주(9.8%)순이었다.

7.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요구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다음과 같다.

대부분의 대상자들이 운동이나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과 같이 전반적인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원하고 있었으며, 스트레스관리, 체중조절 및 관리, 고혈압관리, 금연 프로그램과 같은 프로그램들에 있어서 스트레스 정도, 과다체중, 고혈압, 흡연과 같은 건강위험요소들을 실제로 가지고 있는 대상자들에게 건강위험요소와 관련된 프로그램의 요구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산업장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이전에 근로자의 건강위험요인, 건강행위 변화 등을 파악하여 행위별 프로그램의 대상자 규모를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영문]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of need for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people who are actively employed.

The research design used was a descriptive investigation study.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the employees were accessed, and factors influencing in their health promotion needs were analyzed.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25 employees from a company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15 to 25, 1999 using a self-administrative questionnaire developed by Euisook Kim et al.(1996) and revised through studing reference.

Analysis of the data was done using the SAS window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majority of the subjects were men(79.6%), with a mean age of 36.5 years (range : 21 - 58), having high school graduation or higher (99.6%), married (81.3%) and with 49.7% reporting religious affiliation.

2. For perceived health status the majority of the subjects reported a moderately healthy status (47.1%).

3. Health related behavior of subjects included smoking 47.1%, drinking alcohol 81.6%, regular exercise 3 to 4 times or more a week 12.9%. exercise once or twice a week 28.0%, no exercise 59.1%.

4. The highest frequency for length of employment was 10-14years in the company (24.8%) and 48.4% of the subject were moderately satisfied with their jobs, 39.1% were satisfied and 12.4% of subjects were dissatisfied.

5. Among the types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an exercise program(58.4%) was what the subjects needed the most, followed by a stress management program(60.4%) weight control program(40.0%), cancer prevention program(35.1%), smoking cessation program(25.8%), diabetic melitus management program(15.1%), hypertension management program(13.8%), and a program to control alcohol consumption(12.9%).

6. Among the types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an exercise program(63.1%) was the program that the subjects indicated the highest intent for participation, followed by a stress management program(54.7%), weight control program(32.9%), cancer

prevention program(32.9%), smoking cessation program(22.7%), diabetic melitus management program(15.1%), hypertension management program(11.1%) and a program to control alcohol consumption (12.9%).

7.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ndicating a need for health promotion program were as follows;

1) The need for a stress management program, because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stress symptom scores.

2) The need for a weight control program, because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Body Mass Index.

3) The need for a hypertension management program, because there were more people with hypertension were than with normotension (p=0.001).

4) The need for a smoking cessation program, because men had higher smoking rates than women(p=0.001) and there were more people who smoked than did not (p=0.001).

5) The need for a program to control alcohol consumption, because there were non drinkers than drinkers.
Files in This Item:
T005538.hwp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638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