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596

Cited 0 times in

응급센타 내원 초기의 쇼크계수, 염기 결핍, 유산농도를 이용한 중환자 예후 예측

Other Titles
 Initial shock index, base deficit and lactic acid concentration as predictors of prognosi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uthors
 하영록 
Issue Date
2000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대상성 쇼크 환자의 부적절한 조직 관류 상태를 평가하는 데에 있어 생체징후는 신뢰도가 떨어질 뿐 아니라 예후를 예측하는 인자로서의 역할도 부족하다. 그러나 부적절한 조직 관류 상태의 지연 진단은 이후에 다발성 장기 기능부전 및 사망으로 이끄는 주요 인자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조기에 이를 알아내고 적극적인 감시와 치료를 할 수 있다면 환자 예후를 개선하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내원 초기에 손쉽고 빨리 얻을 수 있는 쇼크 계수, 염기 결핍 및 유산 농도를 측정하여 이들이 관심 대상 환자들의 예후, 즉 사망 및 장기 기능부전 발생에 대한 예측 능력을 갖고 있는지 검증을 시행하고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1998년 7월부터 1999년 6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영동세브란스병원 응급진료센터에 내원한 환자들 중에 생체 징후와 상관없이 환자 주소를 중점으로 선별하여 내원 초기부터 관심을 갖고 소생술을 시행한 환자 8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쇼크 계수를 측정하고 정맥로 확보 전에 동맥혈 가스 검사를 통해 염기 결핍, 유산 농도의 초기 값을 구하고 환자 예후와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쇼크 계수는 부적절한 조직 관류에 대하여 회귀 분석상 p<0.01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고 장기 기능부전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 분석상 p<0.05로 유산 농도와 함께 의미 있는 연관성을 보였다. 염기 결핍도 생사결과 및 장기 기능부전 발생 유무에 따른 대조군과의 비교에서 p<0.01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혈중 유산 농도만이 유일하게 독립적으로 관심 대상 환자의 예후 즉, 사망이나 장기 기능부전 발생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 분석에서 각각 p<0.05, p<0.01로 유의한 예측 능력 및 변별력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대작용곡선을 통해 얻은 사망과 장기 기능부전에 대한 변별력 있는 유산 농도의 분리점은 각각 7.3mmol/L(민감도 74%, 특이도85%), 3.9mmol/L(민감도 81%, 특이도 90%)이었다.

응급센터 내원 초기의 유산 농도는 환자 상태 평가 및 환자 예후를 예측하는데 있어 좋은 지표라고 생각되며 이후에 연속적인 유산 농도 측정 및 정상화에 대한 노력 등을 통해 환자 예후를 개선시키는데 매우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영문]

In the evaluation of the inappropriate tissue perfusion at the compensated shock state, vital signs(blood pressure, pulse rate, urine output) are not only unreliable but poor predictor of prognosis. Because the delayed detection of shock state might fall into multiorgan failure and possible death, the early diagnosis of shock plays essential role to improve the prognosis of the critically ill patients.

To define the predictive value of initial shock index, base deficit and lactate concentration measured at the emergency departmen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above indices, mortality, and organ failure in 86 patients.

Placing emphasis on their chief complaints, patients on this study were selected by regardless of vital signs. Shock index showed th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organ dysfunction and base defici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organ

failure and dead group. However lactate concentration among the indices was alone in predicting both survival and organ failure independently. Through the relative operating characteristics curve, we can get the cutoff values of lactate concentration about the survival and organ failure that was 7.3mmol/L(sensitivity 74%, specificity 85%) and 3.9 mmol/L(sensitivity81%, specificity 90%),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initial lactate levels are reliable indicators of

morbidity and mortality in the emergency department in estimating the prognosis of compensated shock patient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668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633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