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856

Cited 0 times in

윤리교육이 간호사의 도덕판단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 of ethics education on nurse's moral judgement 
Authors
 김용순 
Issue Date
1999
Description
간호학과/박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두 가지의 교육방법 즉 Kohlberg의 딜레마 토론식인 '자유토론윤리교육'과 도덕이슈를 중심으로 전문가가 참여하여 토론하는 '전문가 참여토론 윤리교육'을 임상간호사에게 제공하고 그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된 비동등성 두 그룹 사전사후 설계에

의한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의 개념적 기틀은 Kohlberg(1969)의 도덕발달단계이론과 Greipp(1992)의 윤리적 의사결정 모델을 기초로 도출하였다. 연구기간은 1998년 10월 14일부터 1998년 12월 15일까지였고, 중환자실의 간호사를 선정기준에 따라 임의표출하여 근무경력, 종교, 연령을 중심으로 짝짓기 하여 자유토론 집단에 16명,전문가 참여 토론집단에 16명 할당하여 처치 전 조사를 하고, 곧 실험처치를 다섯 차례 시행한 후 처치 후 조사를 하였다.

종속변인 측정도구로써 도덕발달단계는 문용린(1984)이 번역한 Rest의 DIT(도덕판단력 진단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간호사의 도덕판단은 Ketefian(1998)이 개발한 JAND를 연구자가 번안하여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변인들의 분석은 SPSS PC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유토론집단과 전문가참여토론집단의 동질성 검증에서 일반적 특성은 차이가 없는 동일한 집단이었고 대체로 자유토론집단의 도덕판단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나 사례3 -의학연구와 부검사례- 의 현실적 점수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였다.

2) 가설 1 "윤리교육이 제공되기 전과 후의 간호사의 도덕판단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이상적, 현실적 도덕판단에서 교육전 점수가 낮게 나타난 사례에서는 윤리교육이 간호사의 도덕판단에 상승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간호사들이 자주 경험하는 딜레마에서는 감소영향이, 평소 경험하지 못하는 딜레마에서는 상승의 영향이 나타났는데 이러한 교육전후 점수 차이는 일부사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가설 1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3) 가설 2 "간호사의 도덕 발달지수에 따라 윤리 교육의 효과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는 P(%)점수가 낮은 집단과 중간집단의 교육 전 후 점수차이는 서로반대의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P(%)점수가 낮은 집단의 경우에는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 현실적 도덕판단에서 모든 사례에 있어 상승의 영향이 나타났고, 중간 집단과 높은 집단에서는 교육 후 대체로 감소의 영향이 나타났는데, 이런 교육 전후 점수 차이는 일부사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가설 2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4) 가설 3 "윤리 교육 제공 방법에 따라 간호사의 도덕 판단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는 두 집단에서 이상적/현실적 도덕판단의 교육 전 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아 제 3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단 전문가 참여토론 집단이 교육 후 딜레마를 해결할 때 더 다양한 측면을 고려해야겠다는 견해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윤리교육이 간호사들이 자주 접하는 자신들의 문제에는 감소의 영향을, 평소 거의 접하지 못하던 딜레마에는 상승의 영향을 미치었다. 또한 간호사의 도덕발달지수에 따라 윤리교육의 영향이 사례별로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특히 윤리교육은 도덕발달지수가 낮은 집단에게 효과적인 전략임이 검증되었다. 끝으로 두 가지 윤리교육방법이 도덕판단에 미치는 영향에는 통계적으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전문가 참여토론방법이 딜레마 해결에 대한 사고의 폭을 더 넓혀주었다. 그러나 본 연구의 제한점 즉 표본수가 적고, 단기적 윤리교육기간 및 도덕판단에 영향 미치는 다른 변수들을 통제하지 못한 점들 때문에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영문]

This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two different types 7f ethics education on the moral judgement of clinica lnurses. One type was free discussions among nurses with given specific moral issues and the other type was discussions guided by experts on specific moral issues.

The study employed a quasi-experimental, nonequivalent Pre test-post test design using two different control groups.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e study was derived from the Kohlberg's Moral Development Theory(1969) and the Greipp's Ethical Decision-Making Model (1992).The data was collected during the period of October 14 through December 15, 1998. Sample consists of 32 nurses working in the ICU who met research criteria. 16 nurses were assigned to the free discussion group and 16 nurses to the group for the guided discussion with experts group.

For the pre-test, the DIT which was developed by Rest (1984) and JAND by Ketefian (1998) were used with some modification by the author. After the education, only JAND was used to assess the changes in mural judgement. The collected data was analysed using SPSS PC progra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Only difference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wo groups was that realistic score on Case 3/Medical Research and Autopsy was higher in the free discussion group.

2. Hypothesis 1: "There will be a difference on the moral judgement of nurses before and after they receive an ethics education". This hypothesis was supported Partially, Those who had low scores on moral judgement before the education tended

to have higher scores after the education on the same issues. And, after the education, the nurses tend to give lower scores on the dilemmas they had experienced frequently at work; while giving higher scores on those dilemmas they had no prior experience.

3. Hypothesis 2: "The effect of education may differ depended upon them oral development index [P(%)] score of nurses", The effect of education was different depend on moral development level. The group who's P(%)scores was low at the pretest has higher scores in realistic moral judgement after the education, while the groups with middle or high P(%)scores went down after the education. These chang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ome cases, thus, the Hypothesis 2 was partially supported.

4. Hypothesis 3: "The method of ethics education will have different effects un the moral judgement 7f nurses". Even though several nurses attended the guided discussion stated that the education program broadend their perspectives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not significant and this hypothesis was nut supported,

In conclusion, both types of ethics education had helped the nurses to acquire the skills to deal some nursing dilemmas. The effects of ethics education may differ according to the moral development index - P(%)score. However, because of sume of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mainly small sample size, short term

education, unable to control other variables which may affect moral judgement of nurses, further research is warranted.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652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615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