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843

Cited 0 times in

치매노인 가족간호자의 사회적 지지와 부담감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burde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f family caregivers of elderly dementia patients 
Authors
 김병희 
Issue Date
1999
Description
지역사회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과학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간의 평균수명이 연장되면서 노인인구는 급격하게 증가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노인의 퇴행성질환인 대표적인 "치매"에 대한 보건학적 및 사회 복지적 측면에서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치매는 연령증가에 따라 높은 유병율을 보이고, 장기간의 질병 이환기간과 질환의 지속적인 악화 경로를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치매노인을 돌보고 있는 가족 간호자는 치매노인의 문제행동으로 초래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어려움과 불편감을 경험하게 되어 부담감이 축적된다.

부담감은 가족간호자가 치매노인을 돌보면서 야기될 수 있는 부정적 경험으로써 부담감이 감소되지 않고 계속 누적되면 신체적 피로, 정신적 긴장으로 스트레스에 시달려 고통을 경험하면서 인간으로서의 기본적인 욕구까지도 희생하게되어 피폐해진다. 만성질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부담감을 완화시킬 수 있는 변수로 "사회적 지지"가 제시되어 왔으며, 돌보는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데 도움이 되므로 가족의 부정적인 결과를 완화해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치매노인을 돌보면서 가족간호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부담감을 파악하고 두 변수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부담감에 관련된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치매노인을 가장 가까이에서 간호하는 가족간호자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간호중재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했다.

본 연구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서 종합병원(치매 크리닉, 가정간호사업소), 치매노인 주간보호소, 치매가족모임을 중심으로 치매라고 진단 받은 65세 이상의 노인을 주로 돌보고 있는 만 20세 이상인 가족간호자 90명을 대상으로 1999년 3월 7일부터 4월 20일 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박지원(1995)이 개발한 사회적 지지 측정도구 중 구조적 측면과 기능적 측면의 사회적 지지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부담감 정도는 Novak과 Geust(1989), Zarit 등(1980)의 도구를 서울대학교 지역의료체계 시범사업단(1994)이 수정, 보안한 부담감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C-SAS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comparison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치매노인의 일상활동 수준은 3점 척도에서 평균평점 2.18점으로 타인의 보조가 많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간호자가 지각한 치매노인의 일상생활 활동 의존도는 독립적으로 가능한 경우가 17.8%(16명), 도움이 약간 필요한 경우가 45.6%(41명), 도움이 많이 필요한 경우가 36.6%(33명)이었다. 일상활동의 각 항목별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항목은 "목욕하기"로 2.68점이었다.

2. 치매노인의 치매정도는 경증 33.3%, 중등증 41%, 중증 25.6%였으며, 치매노인 90명중 기억력 영역에서는 "중증 기억력 감퇴"(47.8%)에 가장 많았으며, 지남력 영역에서는 "시간과 장소에까지 비이상적인 지남력"(54.4%)에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판단력과 문제해결능력 영역에서는 "판단력이나 문제해결능력이 불가능함"(44.4%)에 많았고, 가정생활과 취미 영역에서는 "가정에서 의미 있는 기능을 못함"(45.6%)에 많았고, 개인간호 영역에서는 "보조가 필요함"(36.7%)에 많았다.

3. 가족간호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점수는 총평균 74.4점으로 척도범위 최고 5점 수준에서 평균평점 2.92점으로 보통수준 정도였으며 그중 평가적 지지(3.24)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정서적 (3.10), 정보적(2.83), 물질적(2.64) 지지의 순으로 나타났다. 가족간

호자가 지각하는 지지제공자의 수는 평균 5.11명이었으며 지지원은 배우자, 자녀, 의사·간호사의 순으로 나타났고, 가족간호자가 제공받고 있는 지지의 유형에서 정서적 지지는 주로 자녀, 정보적 지지는 주로 의사·간호사, 물질적 지지는 주로 배우자, 평가적 지지

는 주로 배우자, 형제·자매에게서 였다.

4. 가족간호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는 다른 간호자와 교대유무(t=2.37. p=.0197), 치매가족모임 참석여부(t=2.19, p=.0308)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보였으며 정보적 지지는 방계가족인 경우가 직계가족에 비해 높았다(t=2.11, p=.0374). 한편, 치매노인의 특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 정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변수는 치료유형이었다(t=2.52, p=.0136)이었다.

5. 가족간호자의 부담감 점수는 총평균 68.76점으로 척도범위 최고 4점 수준에서 평균평점 2.36점으로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시간-의존적 부담감(3.23)이 가장 높았고, 발달적(2.73), 신체적(2.26), 정서적(2.06) 부담감이 높았으며 사회적 부담감(1.93)은 보통 정도였고, 재정적 부담감(1.91)이 가장 낮았다.

6. 가족간호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담감 정도는 종교(t=-2.06, p=.0417), 건강상태(F=5.51, p=.0056), 치매노인과의 관계(F=3.98, p=.0222), 다른 간호자와 교대유무(t=-2.25, p=.0269), 치매노인 예후견해(t=3.98, p=.0222), 치매노인 간호기간(t=-2.25, p=.0269)

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한편, 치매노인의 특성에 따른 가족의 부담감 정도는 치매노인의 연령(t=2.87, p=.0051), 치매정도(F=6.55, p=.0022), 일상활동수준(F=5.59, p=.005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7. 가족간호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부담감과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역상관을 보였다(r=-.35, p=.0010). 전체 사회적 지지 정도는 발달적 부담감(r=-.28, p=.0104), 신체적 부담감(r=-.38, p=.0118), 사회적 부담감(r=-.38, p=.0003), 재정적 부담감(r=-.23, p=.0380)과 유의하였지만 낮은 역상관으로 나타났다.

8. 다단계 다중회귀분석 결과, 가족간호자의 부담감과 관련이 있는 예측변인은 사회적 지지12%, 치매노인과의 관계에서 딸 7.1%, 가족간호자의 건강상태 7%, 치매노인의 치매정도 6.8%, 가족간호자의 종교 4%, 치매노인과의 관계에서 아들 3%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

며 이를 모두 합하면 가족간호자 부담감 변이의 40%가 유의하게 설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사회적 지지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인은 치매노인의 치료유형, 다른 가족간호자와 교대 유무, 가족간호자의 가족형태, 치매가족모임참석 여부가 총 23%의 설명력으로 유의하게 사회적 지지를 예측하였으며, 가족간호자의 부담감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인은 가족간호자의 건강상태, 가족간호자의 종교, 치매노인과의 관계, 치매정도가 총 40%의 설명력으로 유의하게 부담감을 예측하였다. 이 결과는 가족간호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부담감을 줄일 수 있으므로 간호실무에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들과 사회적 지지의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사회적 지지활용을 의한 간호전략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겠다.

첫째, 가족간호자의 부담감을 덜어줄 수 있는 가족을 위한 교육과 지지적인 상담 및 치매가족모임 등의 프로그램을 포함한 간호중재법을 개발, 활용하여 가족간호자들에게 정확하고 충분한 정보를 제공한다.

둘째, 가족간호자가 치매노인을 돌보면서 겪게되는 가족 상호간의 경험을 공유할 수 있도록 치매가족모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도와준다.

셋째, 가족간호자의 부담감을 줄여 줄 수 있는 치매 주간보호소를 활용해 환자의 문제행동으로 인한 돌봄을 서로 교대하여 간호함으로써 가족간호자가 휴식을 갖도록 도와준다.

[영문]

As the average human life span increases due to the progress in science and medical technology, the elderly population is expanding rapidly. As a result, the importance of dementia is being recognized, both in social health and social welfare aspects. Because dementia is a long term degenerative disease and the disruptive behaviors of the dementia patients cause various hardship and discomfort to the family caregivers, the burden of family caregivers can accumulate. If the burden is allowed to accumulate, the family caregivers suffer from the stress of physical fatigue and emotional tension. Social Support mediates the burden, helps family caregivers cope with the stress, and assists family caregivers in providing effective caregiver services.

By identifying and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rden of family caregivers and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this report attempts to present theoretical understanding to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in solving physical, emotional, and social problems of family caregivers of dementia pati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0 family caregivers of ages twenty(20) and older who are providing care to dementia patients of ages sixty-five(65) and older.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Caregiver Burden Inventory developed by

Novak and Geust(1989), and Zarit et al(1980) and modified by Seoul University, Regional Medical Service Organization Project Group(1984), and Social Support Scale developed by Park, Jee-Won(1985).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ith questionnaires from 7 March to 20 April, 1999.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by PC-SAS program and analyzed based on the charateristics of variables, by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comparison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1) In average, dementia patients required a large amount of family caregivers' support for day-to-day activities.

2) The severity of the dementia patients' illness were reported as; mild condition(33.3%), moderate condition(41%) and sever condition (25.6%).

3)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of family caregivers was average with a mean score of 2.92(0 to 5 scale). The appraisal support(3.24) was the highest. The average number of perceived support providers was 5.11.

4) Statistically significant family social support caregivers' burdens related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family caregiver were availability of another caregiver(t=-2.37, p=.0197) and participation in demential patients family group(t=2.19, p=.3080). However, the variable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ocial support level related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demential patients was treatment method (t=2.52, p=.0136).

5) The mean score of the burden of family caregivers was found to be 2.36 in a 0 to 4 scale and it was relatively high. The time burden(3.23) was reported as the highest burden and the financial burden(1.91) was reported as the lowest.

6)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between family caregivers' burden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caregivers and religion(t=-2.06, p=.0417), health(F=5.51, p=.0056), relationship with the dementia patient(F=3.98, p=.0222), availability of other caregivers(t=-2.25, p=.0269), prospect of the patient(t=3.98, .0222), and duration of caregiving(t=-2.25, p=.0269).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between family caregivers' burden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dementia patients and age of patient(t=2.87, p=0051), severity of patient(F=6.56, p=.0022) and physical activity level of patient(F=5.59, p=,0052).

7)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mily caregivers' burde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r=-.35, p=.0010).

The total social support level showed significant but low negative correationship with developmental burden (r=-.28, p=.0104), physical burden(r=-.38, p=.0118), social burden(r=-.38, p=.0003), and financial burden(r=-.23, p=.0380).

8) Based on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family caregivers' burden were social support(12%), daughter in relationship with patient(7.1%), health of caregiver(7%), severity of patient(6.8%), religion of

caregiver(4%), and son in relationship with patient(3%). The total of these variables explained 40% of the family caregivers' burde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hip between family caregiver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the level of burden. Therefore, since the family caregivers' burden decreases as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increases, there is a need for nursing strategy which promotes increased social support. Therefore, based on this report and previous studies of social support, the medical members including nurses should develop effective nursing care programs which include educational and support programs for family members to reduce the burden of family caregivers of dementia patients.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614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