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 1356

Cited 0 times in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골반근육운동치료 후 복압성 요실금 여성의 골반근육운동 지속 실태와 요실금 양상

Other Titles
 Effects and compliance of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using biofeedback in women with stress urin 
Authors
 박정옥 
Issue Date
1999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골반근육운동 치료 후 복압성 요실금 여성의 골반근육운동 지속 실태와 요실금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S병원에서 복압성 요실금 진단을 받은 후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골반근육운동을 1주에 2회씩 총 12회를 수행한 여성으로, 치료 후 요실금이 호전되어 더 이상 다른 치료가 필요하지 않고 패드를 사용하지 않으며 1주일에 요실금 횟수가 1화 미만인 4

8명의 여성이다. 이들과는 전화 면담을 통해 골반근육운동 지속 기간과 요실금 호전 정도를 조사하였고, 병원 방문이 가능한 대상자는 패드 검사와 질 수축압 측정, 최대요도폐쇄압 측정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chi square, Kruskal-Wallis test, Wilcoxon signed ranks test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골반근육운동 치료 후 골반근육운동 지속 실태

골반근육운동 치료가 12회 종료된 후 하루에 40회 이상 골반근육운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한 대상자 비율은 치료 종료 후 1개월 경과 시는 77.0%, 2개월 66.7%,3개월 41.7%로 나타났으며, 개월이 증가할수록 운동지속 비율은 감소하여 11월과 12월에는 운동을 지속할

대상자가 한 명도 없었다. 특히 골반근육운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한 비율이 가장 크게 감소한 기간은 2개월과 3개월 사이로, 그 비율은 25%였다.

2. 골반근육운동 지속 정도에 따른 운동군 분류

골반근육운동 치료 후 골반근육운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운동 지속군은 총 대상자 48명중 17명(35%), 운동 중단군은 21명(44%), 운동 안한군은 10명(21%)이 었다.

3. 골반근육운동 지속 정도에 따른 요실금 양상

1) 주관적 요실금 양상의 변화

운동 지속군에서는 연구시점 시 골반근육운동 치료 직후의 요실금 호전을 유지하고 있는 비율이 82%, 운동 중단군은 57%, 그리고 운동 안한군은 40%였다. 그리고 요실금 상황점수는 운동 지속군에서 연구시점 시 운동 치료 전에 비해 유의하게 상황 점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 .018). 그러나 운동 중단군과 운동 안한군에서는 운동 치료 전에 비해 연구시점 시의 상황점수의 유의한 감소가 없었다.

2) 객관적 요실금 양상의 변화

평균 질수축압은 운동 지속군과 운동 중단군에서 골반근육운동 치료 전에 비해 연구시점 시 평균 질수축압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 .008, p= .018). 그러나 운동 안한군에서는 운동 전에 비해 연구시점 시의 평균 질수축압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패드검사를 통한 요실금 양의 변화는 운동 지속군에서만 골반근육운동 치료 전에 비해 연구시점 시 요실금 양이 유의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p= .012).

4. 지속적인 골반근육운동을 위한 재 강화 시기

운동 중단군의 평균 운동 수행기간은 2.57 개월이고, 기간 경과에 따라 골반근육운동을 지속한 대상자 비율이 1개월은 77%, 2개월은 67%, 그리고 3개월은 42%로 2개월과 3개월 사이에 25%로 가장 크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골반근육운동치료 종료 후 2개월이 대상자가 골반근육운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재강화 시기에 해당한다.

[영문]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PFME) is recommended as an initial treatment for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SUI). However, this treatment is often unsuccessful because of patient noncompli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sects and compliance of PFME using biofeedback in women with SUI and to determine the timing for reinforcement PFME.

The data were collected at Female Urinary Incontinence Clinic at the Samsung Cheil hospital & Women's Healthcare center in Seoul, Korea between March 2 and May 30, 1999.

Forty-eight women urodynamically diagnosed as SUI participated in a 12 sessions of PFME program for 6 weeks. The quantity of invaluntary urine loss was measured by 30 minutes pad test, the relative strength of PFM by meanvaginal pressure, the objective strength of PFM by maxium urethral closurepressure. The period of

continuing PFME was assessed by telephone interview for assessing compliance and the scores of symptoms questionaire was checked by subjects. This study was cross-sectional design and all subject was included between one and 12 month after PFME treatment.

The data analysis was done by chi square, Kruskal-Wallis test, Wilcoxon signed ranks test using SPSS PC.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ercise patterns, the patien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continuous exercise (CE) group, drop out exercise (DE)group, no exercise (NE) group.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mean vaginal pressure (p: .008), decrease in the quantity of urine loss in pad test (7p: .012) and the scores of symptoms questionnaire (p: .018) in CE group. The compliance gradually declined over the months and the highest drop outrate (25%) was noted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month among the three groups. The median period of continued exercise was 2,6 month in DE group. Therefore, second month after PFME treatment may be the optimum time for reinforcing continued PFME.

These findings suggest long term ef(acts of PFME treatment in SUI depend on continuing PFME and second month after PFME treatment may be the critical time to reinforcement for continuing PFME.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137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Yonsei Authors
Park, Jeongok(박정옥) ORCID logo https://orcid.org/0000-0003-4978-817X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611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