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597

Cited 0 times in

성인비만증에서 체지방분포도가 당대사, 지질대사 및 성장호르몬 분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body fat distribution on glucose, lipid metabolism and growth hormone secretion in adult obesity 
Authors
 허애정 
Issue Date
1999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단순한 비만도 보다 체지방 분포의 차이가 당대사 및 인슐린 저항성에 더 중요하며, 중심성 비만이 대사질환과 상관성이 높음이 알려져 있다. 내장지방의 축적은 당대사 장애와 연관되어 있으며 당뇨병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1명의 정상대조군 및 69명의 비만군을 대상으로 체지방분포양상과 당대사, 지질대사 및 성장 호르몬 분비능과의 상호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군은 30에서 60세까지의 중년 남녀로 하였고, 비만군을 경구당부하검사 결과에 따라 단순비만군, 내당능장애군, 당뇨병군으로 세분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신장, 체중 및 직립자세에서 허리둘레와 엉덩이 둘레를 측정하였고,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를 측정하였으며, 체지방 분포도를 평가하기 위해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여 제대수준에서의 총지방량과 피하지방 및 내장 지방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경구당부하검사를 시행하여 당대사의 정도를 평가하였고 혈청 지질농도를 측정하였다. L-Dopa를 투여하여 성장 호르몬 분비능 검사를 시행하였다. 이들 측정치로부터 각각 포도당-분비반응면적, 인슐린-분비반웅면적 및 유리지방산-분비반응면적을 계산하였으며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표준체중백분율은 정상대조군 남자 94.5±14.9%, 여자 104.4±18.5%이었고, 단순비만군 남자 135.4±9.6%, 여자 134.5±17.9%이었으며, 내당능장애군 남자 142.4±25.6%, 여자 140.1±18.7%, 비만한 당뇨병군에서는 남자 138.1±4.0%, 여자 136.3±13.2%이었다.

임피던스로 측정한 체질량지수는 정상대조군은 남자 20.7±3.3%, 여자 22.0±3.9%, 단순비만군은 남자 29.7±2.0%,여자 28,2±3.7%, 내당능장애군은 남자 31.0±5.1%, 여자 29.6±4.0%, 비만한당뇨병군은 남자 27.6±2.3%, 여자 28.7±2.8%로 비만환자 세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내장지방면적/체중비는 정상대조군은 남자 0.92±0.77, 여자 0.59±0.24, 단순비만군은 남자 1.32±0.36, 여자 1.38±0.49, 내당능장애군은 남자 1.60±0.55, 여자 1.42±0.50, 비만한 당뇨병군은 남자 1.86±0.33, 여자 1.45±0.49으로 당뇨병군에서 가장 증가되어 있었다.

3. 경구당부하검사시 시행한 인슐린-분비반응면적은 단순비만군에서 가장 증가되어 있었고, 유리지방산-분비반웅면적은 정상대조군에서 비만한 당뇨병군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되었으며 성장호르몬-분비반응면적은 점차 감소되었다.

4. 비만한 당뇨병군을 제외한 모든 대상군에서 내장지방면적/체중비 및 허리둘레는 표준체중백분율, 체질량지수, 공복시 인슐린, 인슐린-분비반응면적 및 유리지방산-분비반응면적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성장호르몬-분비반응면적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5. 표준체중백분율, 체지방도, 내장지방면적, 내장지방면적/피하지방면적비 및 내장지방면적/체중비등 체지방 분포지수들과 인슐린-분비반응면적, 유리지방산-분비반응면적,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를 및 중성지방등의 대사장애의 지표들과 다중 회귀 분석한 결과 내장지방면적/체중비 및 허리둘레가 가장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내장지방면적/체중비 및 허리 둘레는 인슐린 저항성, 지질대사장애 및 성장 호르몬 분비장애를 반영하는 여러 지표들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내장지방량이 증가할수록 혈청 유리지방산이 증가되고 이로 인해 당대사장애, 지질장애 및 성장호르몬 분비능 장애가 유발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허리둘레는 내장지방축적 및 대사장애의 정도를 반영하는 임상적으로 간편하고 유용한 지표로 생각된다.

[영문]

Body fat distribution, rather than the level of obesity per se, appears to be a strong predictor of abnormalities in metabolic complication. Visceral fat accumulation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glucose intolerance and is constituted 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of the diabetes mellitus.

The impact of body fat distribution on glucose, lipid metabolism and growth hormone secretion was investigated in obese subjects with varying glucose tolerance, and lean controls were matched according tosex and age. Sixty nine obese Koreans and twenty one lean Koreans were recruited. Anthropometric parameters and impedence for total body fat were measured and computed tomography of abdomen at the umbilicus level for visceral and subcutaneous fat areas was performed. All subjects undenvent standard oral glucose tolerance test and GH stimulation test by

L-dopa.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Obese patients had greater ideal body weight and lean body mass than lean control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ideal body weight and lean body mass among three obese groups.

2. The 25 obese NIDDM had the highest FFA-AUC during OGTT and the lowest GH-AUC to L-Dopa stimulation test. The insulin-AUC during OGTT was the highest in 24 obese subjects with normal glucose tolerance.

3. All male groups had visceral fat area/subcutaneous fat area ratio of more than 0.4, which was designated visceral fat obesity. In contrast all female groups had visceral fat area/subcutaneous fat area ratio of lesser than 0.4 but obese DM

subjects had the highest visceral fatarea/subcutaneous fat area ratio. Visceral fat area/body weight ratio showed increasing tendency in obese, IGT, and DM groups.

4. Waist circurrlference and Visceral fat area/body weight ratio showed strong correlation with metabolic parameters among anthropometric parameters. The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FFA-AUC during OGTT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GH-AUC to L-dopa stimulation.

In conclusion, visceral fat accumulation is associated with insulin resistance, dyslipidemia and impairment of growth hormone secretion via an increase of free fatty acid. The simple waist circumference may beone of the practical indicator that correlates with abdominal fat distribution and metabolic parameters associated with obesity.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791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608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