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519

Cited 0 times in

서울시 일부지역에서의 대기오염에 의한 사망발생 연구

Other Titles
 Air pollutants and daily mortality in a part of (a residential area) of Seoul City, Korea : by longitudinal data analysis : 경시적 자료 분석을 통하 
Authors
 박혜연 
Issue Date
1999
Description
환경관리학과/석사
Abstract
[한글]

1900년대 초반에 일어난 London smog사건들은 극심한 대기오염 물질로 인해 발생하는 건강장애에 많은 관심을 증대시켰다. 우리 나라의 경우 자동차 증가 등으로 NO₂,O₃ 의 발생량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근래 들어 대기오염으로 인한 건강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려는 시도와 노력이 많이 이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기오염물질(NO₂,SO₂,TSP, 0₃)의 변화에 따른 일일사망률의 증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시 서대문구 남가좌동을 대상으로 1996.1-1998.2까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독립변수는 NO₂,S0₂, TSP, 0₃의 농도와 기온, 상대습도이며 종속변수로는 남가좌동에서 당일 발생한 사망자수이다. N0₂,SO₂ , TSP는 일일 24시간 평균농도, 0₃은 일일 1시간 최대농도를 사용하였고 기온, 상대습도는 당일자료를 이용하여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GEEs)으로 모수를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모델에서 유의한 변수는 S0₂, 0₃이었으며 기온, 상대습도를 통제한 후 이들 오염물질이 50ppb 증가할 때 일일사망률이 각각 27%, 12%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반면에 NO₂,TSP의 영향은 일관되게 관찰되지 않았으며 따라서 이들 물질이 다른 오염물질에 의해 교란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S0₂,0₃ 의 대기오염물질이 현재 환경기준치 이하로 관찰됨에도 불구하고 일일 사망률 증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이러한 기준치가 결코 안전한 수준이 아님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건학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영문]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increase of daily mortality and ambient air pollutant(NO₂,S0₂,TSP, 0₃) in Namgajwa-dong, Seodamnun-gu, Seoul from 1996.1 to 1998.2.

The associations were analysed with Poisson regression analysis, taking into account of potential confounding factors such as meterological variables.

According to the study, in final model daily mortality went up to 30%, 12% irrespectively in the increase of 100ppb S0₂and 0₃with controlling meterological variables such as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On the other hand, the TSP effect on mortality, reported a lot in many studies, wasn't observed in this study. The significant effect of NO₂disappeared when other pollutants were considered together, Therefore, it can't be ignored that TSP, NO₂were confounded by other pollutants.

Th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crease of daily mortality at S0₂,0₃level, even below the current National Ambient Air Quality Standard, could be observed, suggesting that the standards for S0₂,0₃are by no means a safe limit.

Further research should study using data of PM^^10 , PM^^2.5 as well as TSP and observe the consistent effects of S0₂continually in different area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678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608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