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2213

Cited 0 times in

간헐적 자가도뇨법을 이용한 방광훈련프로그램이 광범위자궁절제술 환자의 배뇨장애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Effect of a bladder training program using intermittent self catheterization on voiding dysfunction of pa 
Authors
 송현주 
Issue Date
1999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자궁경부암 환자가 광범위자궁절제술후 경험하는 배뇨장애증상의 정도를 감소시키고, 잔뇨량 증가로 인한 방광의 과대팽만을 예방하여 비뇨기계 합병증을 최소화하기 위한 간호중재로, 간헐적 자가도뇨법을 이용한 방광훈련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배뇨장애증상과 잔뇨량에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비동등성 사전사후 유사실험 연구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내에 위치한 5-종합병원에서 1998년 9월 15일 부터 1998년 12월 20일 사이에 광범위자궁절제술을 받고 입원한 자궁경부암환자를 선정 기준에 의해 편의추출한 실험군 10명, 대조군 10명으로 총 2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처치는 Joiner (1982)와 이정숙(1989)의 간헐적 자가도뇨법을 참조하여 수정보완한 【간헐적 자가도뇨법을 이용한 방광훈련프로그램】 이고, 종속변인은 연구자가 개발한 배뇨장애 측정도구로 측정된 배뇨장애증상점수와 잔뇨량이며, 이러한 변인들의 분석은 SPSS PC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특성은 없었다.

2. 실험군과 대조군의 처치전 동질성 검증에서 차이를 보인 것은 잔뇨량으로, 처치전에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잔뇨량이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3. 배뇨장애증상점수는 실험군의 경우에는 처치후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나, 대조군의 배뇨장애증상점수는 감소되지 않았다 즉, 간헐적 자가도뇨법을 이용한 방광훈련프로그램이 광범위자궁절제술 환자의 배뇨장애증상점수를 감소시켰으며, 전통적 방법의 대조군에서는 배뇨장애증상점수를 감소시키지 못했다.

4. 잔뇨량에서도 실험군의 경우에는 처치후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나, 대조군의 잔뇨량은 감소되지 않았다. 즉, 간헐적 자가도뇨법을 이용한 방광훈련프로그램이 광범위자궁절제술 환자의 잔뇨량을 감소시켰으며, 전통적 방법의 대조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처치전 조사시 26cc에서 처치후조사시 98cc로오히려 잔뇨량을 증가시켰다.

5. 배뇨장애 각 증상의 점수는 배뇨시작의 어려움이 가장 높았으며, 뇨의, 배뇨시 불편감, 소변줄기의 세기 항목이었는데 이러한 불편감은 실험군의 경우 처치후 6주에는 유의한 차이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조군에서는 처치후뇨의와 배뇨시 불편감만이 유의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추가분석으로, 소변내 백혈구 수치는 실험군과 대조군 두 군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균적 자가도뇨법이 아닌 간헐적 자가도뇨법을 시행하여도 비뇨기계 감염율을 높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간헐적 자가도뇨를 이용한 방장훈련프로그램은 광범위자궁절제술을 시행받은 자궁경부암 환자의 배뇨장애증상점수와 잔뇨량 감소에 효과적인 간호중재임을 알 수 있었다.

[영문]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a bladder training program using intermittent self catheterigation on voiding dysfunction of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who have received a radical abdominal hysterectomy. This study employed a quasi-experimental non-equivalent pre and post test to compare voiding dysfunction symptoms and amount of residual urine between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September 15 and December 20, 1998 from20 subjects at the gynecologic OPD of one general hospital located in Seoul. Ten subjec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en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A Bladder Training Program revised by the researcher from the Intermittent Self Catheterization Method developed by Joiner was used in this study.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a voiding dysfunction symptom scal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nd a mesurement of the residual urine.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PC.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core on the voiding dysfunction scale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U=19.00, p=.02). Also, the amount of residual urine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U=2.00, p=.00).

In summary, the Bladder Training Program using the Intermittent Self Catheterization w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voiding dysfunction symptoms and amount of residual urine for cervical cancer patient recived the radical abdominal hysterectomy. It is suggested that the gynecologic unit needs to

develop a nurse managed voiding training program for patients who have had a radical abdominal hysterectomy. Also, it is suggested that this study be replicated with a large sample size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Bladder Training Program using Intermittent Self Catheterization.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4011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604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