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300

Cited 0 times in

신규간호사 오리엔테이션을 위한 preceptor의 업무 조사

Other Titles
 (The) survey of preceptor's performance in the orientation for new graduate nurses 
Authors
 백혜진 
Issue Date
1999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최근 병원조직에서는 의료수요의 양적인 증가 뿐 아니라 고급화 다양화가 요구되고 있다. 외부 변화에 따른 생존을 위해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큰 이슈 중 하나로, 효과적인 인적자원관리는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작업이다. 특히 처음 간호 조직내로 투입되는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오리엔테이션은 학생에서 전문간호사로서의 역할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매우 중요하다 할 것이다.

그러나 강의식위주인 오리엔테이션의 경우 신규간호사의 만족도가 낮으며 그들의 역할변화에 효과적이지 못해, 새로운 프로그램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최근 간호단위에서 Preceptor를 이용한 실무위주의 1:1 교육방법을 통해 보다 친밀한 관계 속에서 오리엔테이션을 시행하는 새로운 방법이 국내에 도입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Preceptor의 업무수행 및 기대되는 업무의 중요도를 파악함으로서 차후 보다 효과적인 오리엔테이션을 위해 현행 프로그램을 수정하고 Preceptor의 업무개선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Preceptor를 이용하여 오리엔테이션을 시행하는 서울시 소재 일개 대학부속종합병원에서 1994년부터 1998년 10월까지 Preceptor로서 활동한 60명을 임의 표출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1998년 10월 26일부터 11월 7일까지였다. 연구도구로는 Schiwirian(1978)의 업무수행정도 평가도구와 Preceptor의 업무에 관한 문헌고찰을 기반으로 연구자에 의해 작성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도구는 리더쉽, 신규간호사 교육수행 및 평가, 대인관계의사소통, 일반간호수행의 5개영역 49개 항목으로 1점에서 5점으로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Preceptor의 업무수행과 기대되는 중요도는 각각 평균과 표준편차로 산출하고, 차이는 t-test로, 각 영역별 관계는 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receptor의 업무수행정도는 평균 3.72점으로 보통이상이었다. 각 영역별로는 일반간호수행영역이 가장 높았고, 전문직발달, 리더쉽, 대인관계 의사소통순으로, 신규간호사 교육수행 및 평가영역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기대되는 업무의 중요도를 평균 4.40점으로 Preceptor의 업무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영역별로는 일반간호수행영역이 평균 4.47로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리더쉽, 전문직발달, 대인관계 의사소통순으로 신규간호사 교육수행 및 평가영역의 중요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 Preceptor의 업무수행능력에 비해 기대되는 중요도가 더 높았고, 각 영역별에서 업무수행정도와 기대되는 중요도 차이는 특히 대인관계의사소통영역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고 일반간호수행 영역의 차이가 가장 작았다.

3.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업무수행정도는 연령, 최종 학력, 근무부서, 현 부서 근무기간, Preceptor로 활동한 시작시기, 교육한 신규간호사 수에 따라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간호사로서 총 근무기간과 현 병원 근무기간에 따른 업무수행정도는 Tukey 검정결과

모두 근무기간이 4년에서 6년된 Preceptor들이 2년이하의 그룹에 비해 유의하게 업무수행정도가 높았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기대되는 업무의 중요도는 최종학력을 제외한 연령, 근무부서, 현 부서 근무기간, Preceptor로 활동한 시작시기, 교육한 신규간호사 수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Preceptor의 업무수행정도 및 기대되는 중요도는 일반간호수행에 치우쳐 있어 그들이 교육업무수행과 신규간호사의 적응 및 사회화를 촉진시키는 업무를 수행하는 것에 대한 인식과 역량강화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Preceptor 교육 관계자나 수간호사는 Preceptor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에서 성인 학습이론 및 교육 요구 사정, 계획, 수행, 평가 및 피드백에 관한 것과 대인관계나 의사소통기법에 관한 교육프로그램을 강화하고, Preceptor를 위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며, 자격증 수여등의 업무수행에 대한 보상과 동기부여에 대한 뒷받침을 마련해야할 것이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Preceptor's Performance in New Graduate Nurses Orientation, their expectation of performance.

Their performance arid expectation were evaluated using a modified Schiwirian' tool(1978), done by the investigator. Five nursing performance domains including 49 content areas were identified. The domains were:

① leadership, ② teaching/evaluation for the new graduate nurse, ③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mmunication, ④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⑤ general nursing activiti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60 subjects between October 26 and November 7, 1998 at one of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were used to analyse the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for preceptor performance was 3.72 points of a possible five points. As for domain, general nursing activities(M=3.98) had the highest score, followed by professional development (M=3.80), leadership(M=3.70),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mmunication(M=3.55), and teaching/evaluation of the new graduate nurse(M=3.54)

2. The mean score of preceptor performance expectation was 4.40 points of a possible five points. As for domain, general nursing activities and leadership (M=4.47) had the highest score, followed by professional development (M=4.44),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mmunication (M=4.35), and teaching / evaluation of the new graduate nurse(M=4.29)

3. Statistical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erformance and expectation (p=.000). The mean score for performance was higher than that of expectations in all five domains.

4. Statistic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erformance and expecta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but the number years in nursing correlated with performance(p<.05). Especially, the mean score for performance of nurses with four to six years of nursing was higher than that of

those with less than two year of nur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preceptor educators and head nurses must be empowered in their abili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mmunication and in teaching/evaluation of preceptors.

The study result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define the performance preceptors in Korea and guidelines for their training program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085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99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