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431

Cited 0 times in

남극세종기지 근무전·후의 건강변화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hanges of the health status of the winter-over personnel at King Sejong station in antarctica 
Authors
 이명주 
Issue Date
1998
Description
보건정책 및 관리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남극세종기지 근무전·후의 건강변화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인간의 활동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1987년 세종기지를 건설함으로써, 우리 나라는 남극에 진출하게 되었으나, 남극기지와 관련된 의학적 논문은 거의 없다.

본 연구는 세종기지에서의 1년간의 근무가 종사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살펴보았다. 세종기지 근무전에 실시한 건강진단 자료와 근무후에 실시한 건강진단 자료를 비교함으로써 세종기지 근무전·후의 변화를 살펴보았고, 의사들에 의해 작성된 보고서 등

을 통해 임상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1987년에 시작된 대한민국 남극과학 연구프로그램에 참가한 종사자 중 1차부터 10차까지 근무한 144명이었다. 이중, 근무전·후 건강진단 자료가 있는 종사자 90명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33.9세로 기혼자가 전체의 74.4%를 차지했다.

2. 근무전·후 검사값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은 간기능 검사값, 혈액학적 검사값,콜레스테롤치, 전해질검사값이였다.

1) 간기능 검사값 중 AST는 근무전 평균이 21.1IU였으나, 근무후는 25.4IU로, ALT는 근무전 평균은 22.6IU였으나, 29.4IU로, ALP는 근무전 평균은 146.9IU였으나, 근무후 평균은 166.0IU로 증가하였다.

2) 혈액학적 검사값 중 적혈구 용적률의 근무전 평균은 45.1%였으나, 근무후 평균은 47.4%로, 혈색소의 근무전 평균은 15.5g/㎗에서 근무후 평균은 15.9g/㎗로, 백혈구의 근무전 평균은 6.9(10³/㎣)에서 근무후엔 평균이 7.7(10³/㎣)로 증가하였다.

3) 콜레스테롤은 근무전 평균은 178.7㎎/㎗에서 근무후 평균은 186.7㎎/㎗로 증가하였다.

4) 전해질 검사값 중 칼슘은 근무전 평균은 9.6㎎/㎗에서 근무후 평균은 10.0㎎/㎗로,인의 근무전 평균은 3.5㎎/㎗에서 근무후 평균 3.7㎎/㎗로 증가하였다.

3. 임상적으로는 1건의 결핵발생이 있었으며, 정형외과적 질환을 중심으로 하는 다양한사고가 있었다. 정상군에서의 검사값의 변화는 임상적 의미가 적었으나, 위험군은 근무후에 건강상태가 많이 악화되었다. 당뇨와 고혈압이 있었던 종사자는 근무후 고혈압이 악화

되었으며, 허혈성심증 소견을 보였다. B형 간염 양성자 세명 중 두명이 1년간의 근무후복부초음파 검사에서 만성간염 소견을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세종기지 종사자 대부분은 근무후에 건강했다. 그러나, 근무전 건강검진에서 이상 소견을 보인 고위험군은 남극이 가지는 지역적 특성에 따라 필요시에 적정한 의료를 즉각적으로 받을 수 없다는 위험성이 있으므로, 근무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대원선발을 위한 적정한 신체적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세종기지 근무가 장기적으로 신체적 측면, 사회적 측면, 정신적 측면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앞으로의 추적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우리 나라도 극지연구에 의료분과를 포함시켜야 하며, 의학적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해야 한다.

[영문]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the 1 year stay at King Sejong Station on the health status of the members of the expedition team. From 1987 to 1997, the total number of person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Korea Antarctic Research Expedition program was 144. The size of the analytical sample was 90 persons, with both the pre-and post-winter-over health exam records availab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age of the subject was 33.9 years old and 73.6% of the subjects were married.

2.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liver function test, hematologic exam, cholesterol level and electrolyte level after winter-over.

1) The mean AST level increased from 21.1IU to 25.4IU after winter-over. The mean ALT level and ALP level increased from 22.6IU to 29.4IU, from 146.9IU to 166.01IU, respectively.

2) The mean hematocrit level increased from 45.1% to 47.4% after winter-over. The mean hemoglobin level increased from 15.5g/㎗ to 15.9g/㎗, and WBC count, from 6.9(10³/m³) to 7.7(10³/m³).

3) The mean cholesterol level increased from 178.7㎎/㎗ to 186.7㎎/㎗.

4) The mean calcium level increased from 9.6㎎/㎗ to 10.0㎎/㎗, and the phosphorus level, from 3.5㎎/㎗ to 3.7㎎/㎗.

3. One case of tuberculosis was reported and many accidents, mainly related to orthopedic injury, occurred. Changes in the value among normal individuals did not show significant clinical meaning, but the health status of the high risk person aggravated after winter-over. For example, a researcher with diabetis

mellitus and hypertension had an aggravated hypertension after winter-over and developed ischemic heart disease. Two-thirds of the person with hepatitis B antigen developed chronic hepatitis in the abdominal sonogram taken after winter-over.

Overall, most of the people were healthy following winter-over. But high risk persons with abnormal pre-winter-over health status may need to be cautioned because of their high risk of aggravation of conditions and insufficient medical supply in antarctica. It may be necessary to consider selection criteria for winter-over personnel.

Further research on the long- term health effects of the antarctic experience through continuous follow-up of expedition members is necessary. A human biology and medicine part need to be established in the Korea Antarctic Research Program to facilitate this study.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90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