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003

Cited 0 times in

적응장애 병사들의 인지행동 치료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military adjustment disorder soldiers 
Authors
 김희경 
Issue Date
1998
Description
지역사회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군 적응에 문제를 지닌 병사들에게 Beck의 인지 모델에 근거한 개인 인지 행동 치료를 실시하여 인지행동치료가 군 적응에 문제를 지닌 병사들의 역기능적 태도와 우울 및 불안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사례 연구이다.

군 병원에 적응장애로 입원한 환자들 중에서 역기능적 태도 척도(Dysfunctional Attitude Scale: DAS), Beck의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Spielberger의 상태- 특성 자가 평가 불안척도(State- Trait Inventory; STAI)를 측정 하여 우울이나 불안정도가 높은것으로 나타난 4명이 대상자로 선정되었다. 연구자는 대상자들에게 개별적으로 1998년 3월 15일부터 1998년 4월 12일까지 약 4주에 걸쳐 1주일에 2회씩 8회의 인지 행동 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인지 행동 치료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프로그램종결 직후와 4주일 후에 각각 역기능적 태도 척도(DAS), 우울척도(BDI), 상태- 특성 자가평가 불안척도(STAI)를 재측정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지 행동 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연구자는 대상자들의 인지 과정에서 긍정적이고 적응적인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본 치료가 대상자들의 역기능적 태도변화와 우울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대상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보면, 사례 1에서는 인지 과정에서 보이던 임의적 추론 및 일반화의 오류들이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변화되었음이 치료과정에서 관찰되었고,대상자 자신이 타인이나 주변 상황에 대하여 지나치게 부정적으로 보는 것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 하고자 하는 동기가 유발되었으며, 군생활과 대인관계 형성에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 역기능적 태도 검사인 DAS 점수의 변화는 치료전 184점에서 치료후 138점, 추후평가에서는 140점으로, 우울 정도는 BDI 점수에서 치료전 20점에서 치료후 8점으로 감소하였으며 치료후 1달뒤의 추후평가에서는 10점으로 나타나 치료효과가 유지되고 있었으며 불안정도는 상태불안 점수는 45점에서 치료후 44점으로 나타났으며 추후평가에서도 44점

을 보였고 특성불안 점수는 치료전 44점에서 치료직후 40점으로 4점의 감소가 있었고 추후평가에서 42점을 보였다.

사례 2는 자신의 가치를 타인에게 두었던 역기능적 가정이 변화되고 자존감이 증진되었으며 상황에 대한 지각과 해석이 다양해졌음을 볼 수 있었다. 특히 상황에 대한 여러 가지 대안을 탐색하는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해야한다의 규칙, 자신의 단점을 확대시키고 장

점을 축소시키던 사고, 그리고 내가 노력만 한다면 모든 면에서 뛰어날 것이라는 개인적 계약으로서의 규칙들이 수정되었으며, 대상자 자신의 경직된 사고에서 벗어나 우울이나 불안증상이 감소되었음을 표현하였다. 그리고 측정 검사에서 DAS 점수는 치료전 174에서

치료후 157점으로 감소하였으며, 추후평가에서는 160점으로 나타났으며BDI 점수는 치료전20점에서 치료후 7점으로 감소하였고 추후평가에서는 10점으로 나타나 치료를 통해 역기능적 태도와 우울정도가 감소하였고 치료효과가 유지되고 있었다. 불안점수는 상태불안 점수에서 치료전 43점에서 치료종결후 40점으로 3점이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변화는 아니며 추후평가에서 42점으로 측정되었고, 특성불안 점수는 치료전 52점에서 치료종결후 46

점을 보여 여전히 높은 수준의 불안점수를 보였으나 6점이 감소되었으며 추후평가에서는 47점을 보여 치료종결시의 불안수준이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례 3은 치료과정에서 자기 개방과 문제탐색에서 저항을 보이고 과제 수행의 어려움을 호소하였으나 자동적 사고의 탐색과 부적응적인 자동적 사고의 변화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게 되었으며 지나치게 다른 사람들의 관심을 받기를 원하는 자기 충족적 예언으

로서의 규칙과 해야한다의규칙, 개인적 계약으로서의 규칙이 변화되었다. DAS 점수는 치료전 218점에서 치료후 180점으로 높은 수준의 점수이지만 38점이 감소되었으며, 치료종결후에도 184점으로 치료효과가 유지되고 있었다. BDI 점수는 치료전 32점에서 치료후 10

점으로, 대상자들중 가장 많은 감소를 보였고, 추후평가에서는 BDI는 12점을 보여 치료효과가 유지되고 있었다. 불안점수에서는 상태불안, 특성불안 두 측정도구에서 큰 변화를 보였는데 상태불안 점수는 치료전 49점에서 치료종결후 33점으로, 추후평가에서는 36점을

보였고, 특성불안 점수는 50점에서 치료종결후 38점으로 감소되었고 추후평가에서도 38점을 보여 이 대상자의 경우 인지행동치료가 역기능적 태도와 우울 감소에서 뿐만이 아니라, 불안 감소에서도 효과가 있었음을 보여 주었다.

사례 4는 미래에 대한 비관적인 생각으로 평상시에도 불안수준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취약하였으나, 치료후에 미래에 대해 보다 낙관적으로 보게 되었으며 불안과 우울정도가 감소하였다. DAS 점수는 치료전 160점에서 치료후 137점으로 감소

하였고 추후평가에서는 140점을 보였으며, BDI 점수는 치료전 23점에서 치료후 0점으로 감소되었고 추후평가에서 4점으로 치료효과가 유지되고 있었다. 불안점수는 상태불안이 치료전 44점에서 치료후 40점을 보였고 추후평가에서 42점으로 나타났으며, 특성불안 점수는 치료전 54점에서 치료후 50점으로, 추후평가에서도 50점을 나타내어 상태- 특성불안에서 약간의 감소는 있었으나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위의 결과들을 보면 인지 행동 치료는 군 적응장애자들의 역기능적 태도와 우울정도에는 유의한 감소를 보였지만 불안 정도에는 치료 전후에 큰 변화가 없었다. 이는 대상자들이 현재 군 병원에 입원한 상태이므로 향후 자대복귀라는 문제가 남아 있으므로 이에 대한 불안감이 잔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적응장애 병사들을 위한 행동 치료 프로그램이 병사들의 역기능적 태도 변화와 우울의 정도를 감소시키는데 지속적인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음으로 대상자의 수를 확대한 추후연구를 통해서 효과가 있음이 좀 더 입증된다면 앞으로 인지행동 치료가 간호중재로써 군 병원에서도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영문]

This study was a case study whi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CBT) based on Beck's cognitive mode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 the effect of CBT for decreasing depression and anxiety through modifying the distorted and negative perception of situations or self, by applying CBT program to military adjustment disorder soldiers with depression or anxiety.

The research process of this study was follows: The subjects were 8 inpatients of a military hospital psychiatric ward who were diagnosed a 'Adjusted disorder' by a psychiatric medical officer. TO measure their level of depression and anxiety, two tests were given;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Beck, 1978) and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STAI- T & STAI- S, Spelberger, Gorsush & Lushene, 1970). From the results, four subjects with high score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y completed dysfunctional attitude scale(DA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BT on negative cognitive processes. The subjects received an eight- session CBT program at the psychiatric nursing station over a four week period from the fifth of March to the twelfth of April, 1998. Depression(BDI), anxiety(STAI), dysfunctional attitude(DAS) were remeasured as soon as terminated, and 4 week after the termin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Case 1 changed his negative thoughts that contained various logical errors such as arbitrary inference and generalizations to objective and rational thoughts. The DAS score decreased from 184 to 138, BDI 20 to 8, STAI(T) 45 to 44, STAI(S) 44 to 40. After 4 week, DAS score was 140, BDI 10, STAI(T) 42, STAI(S) 44.

2)Case 2 increased self- esteem, and was able to perceive the situations from more than one perspective. The DAS score decreased from 174 to 157, BDI 20 TO 7, STAI(T) 52 to 46, STAI(S) 43 to 40. After 4 week, DAS score was 160, BDI 10, STAI(T) 47, STAI(S) 42.

3) Case 3 has difficulties in self -disclosure, solving problems, and accomplishing his assignment. He realized the necessity of changing the maladaptive automatic thoughts, and the DAS score decreased from 218 to 180, BD I 32 to 10, STAI(T) 50 to 38, STAI(S) 49 to 33. After 4 week, DAS score was 184, BDI 12, STAI(T) 38, STAI(S) 36.

4) Case 4 reported a decrease in excessive need to control his future. The DAS score decreased from 160 to 137, BDI 23 to 0, STAI(T) 54 to 50, STAI(S) 44 to 40. After 4 week, DAS score was 140, BDI 4, STAI(T) 50, STAI(S) 42. Judging from the results, CB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ubject's cognitive process and depression, and CBT's effects persisted after 4 week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degree of anxiety.

In conclusion, CBT could be considered an effective technique for treating military adjustment disorder soldiers. These results support the use of cognitive- behavioral treatment as a mental health nursing intervention.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89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